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간
매개
d라이브러리
"
간접
"(으)로 총 845건 검색되었습니다.
[Life & Tech] EXO직캠 찍어볼까?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지구와 외계항성 사이에 외계행성이 들어오면 그림자가 져서 항성이 어두워지는 걸 보고
간접
적으로 찾는 것이다.“멀리 떨어진 항성을 카메라로 찍을 때는 ‘밝기’와 ‘크기’가 비례합니다. 행성이 일정한 주기로 항성을 공전하면서 그림자를 만드니까, 항성의 크기도 커졌다 작아졌다를 ... ...
[Life & Tech] 전자담배 해롭긴 마찬가지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아닌 ‘증기’를 분석한 결과라는 데 더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전자담배가
간접
흡연의 위험이 존재한다는 걸 시사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 수행된 연구도 이를 뒷받침한다. 2012년 국내 시판 중인 전자담배 증기의 유해성을 연구한 신호상 공주대 환경교육학과 교수는 “액상에 든 ... ...
[hot science] 천문학자가 본 ‘인터스텔라’ 중력은 차원을 넘나들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설명에 따르면 외계행성에 대한 정보는 그 행성에서 나오는 빛의 분광 스펙트럼으로만
간접
적으로, 그것도 극히 일부만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지상에 있는 8~10m급 거대 망원경에서나 분석 스펙트럼을 얻을 수 있고, 외계 행성 중에서도 극히 일부에서만 분광 스펙트럼을 얻을 수 있다.심지어 ... ...
[life & tech] 운석 연구하면 ‘□’를 알 수 있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어느 것도 생명체 존재의 결정적인 증거는 되지 못한대. ‘생명체의 흔적일 수 있다’는
간접
적인 증거일 뿐이라나. 과연 외계 생명체 논란은 언제쯤 풀릴까? 화성에 발 디딘 탐사선들이 증거가 담긴 시료를 직접 가져오길 기대해보는 수밖에. 당시 미국 UCLA 박사과정 학생이었습니다. 앨런힐스 ... ...
PART4. 핵융합 실현 기술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형태로 만드는 방식이다. 앞서 말한 추가 자기장을 토카막은 플라스마에 전류를 흘려서
간접
적으로 유도한다. 즉 플라스마 내부에 수평(토로이달) 방향의 전류를 흘려 수직방향(폴로이달 방향)으로 유도자기장을 만든다. 반면 스텔러레이터는 기계적인 방법을 쓴다. ‘헬리 컬(helical) 코일’이라 ... ...
[knowledge] 겨울 한파 미스터리 풀렸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또한 최근 북반구 겨울에 불어닥친 한파가 지구온난화의 파생적인 현상일 수 있다는
간접
적인 증거를 제시했다. 올 겨울, 내년 겨울, 앞으로는 어떻게 될까앞으로 우리나라의 겨울 날씨는 어떻게 전개될까. 현재 북극의 해빙은 빠르게 줄고 있다. 자연스럽게 지금보다 더 많은 열이 해양에서 대기로 ... ...
PART2. 한국은 에볼라 무방비 국가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있다”고 말했다.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몇 가지 검사를 더 한다.
간접
면역형광항체법(IFA), 효소면역분석법(ELISA), 바이러스 분리배양 등이 있다. 여러 번 검사하다보면 점점 100%에 가까워진다. 이런 과정을 거쳐 ‘확진’을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이것이 불가능하다. RT-PCR ... ...
왼손잡이 남성 겨울에 더 많이 태어나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왼손잡이는 겨울철에 더 많이 태어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히 남성에게서 이런 경향이 두드러졌다. 오스트리아 비엔나대 울리 트란 교수팀은 겨울철 ... 차이 때문이라는 설명도 있다.연구팀은 “테스토스테론과 왼손잡이의 상관관계에 대한
간접
적인 증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과학뉴스] 쿼크 6개로 이뤄진 新 입자 발견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달릴 수 있는 극히 짧은 시간인 10-23초 동안만 존재하기 때문에 붕괴 생성물을 통해서만
간접
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연구팀은 양자역학적 특성(스핀)을 통제시킨 중수소 핵을 가속기를 이용해 양성자에 충돌시켰다. 두 입자는 충돌 뒤에 새로운 입자들을 만들어냈는데, 이들이 튀어나오는 각도는 ... ...
다람쥐원숭이 수컷은 왜 빨간 색을 보지 못할까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조상이 야행성이었다는 사실이 밝혀졌어요. 영장류 조상은 3원색을 볼 수 없었다는
간접
적인 증거지요. 밤에는 주로 막대세포가 활동하기 때문에 색을 보는 데 쓰이는 원추세포가 활성화되지 않고, 따라서 원추세포가 진화 과정에서 선택되고 발달할 이유가 없기 때문이지요.가장 오래된 무리인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