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간
매개
d라이브러리
"
간접
"(으)로 총 845건 검색되었습니다.
암흑물질 3파전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시작이었다.앞서도 이야기했듯 암흑물질은 직접 관측이 불가능하다. 다른 물질을 통해
간접
적으로 관측해야 한다. ‘중력렌즈 효과’로 불리는 방법이 그 중 하나다. 질량이 큰 천체는 시공간을 휘기 때문에 뒤(먼 곳)에 있는 천체에서 오는 빛이 질량이 큰 천체 주변을 지나가게 되면 마치 ... ...
‘과학동아’ 청소년기자단 농촌진흥청을 가다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구분을 위한 간단한 실험을 통해 유전자 변형 작물(GMO) 대해 이뤄지고 있는 연구들을
간접
경험하는 시간을 가졌다. GMO는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유전자 변형 농산물)의 약자로 말 그대로 유전공학기술을 이용해 유전자를 필요한 용도에 맞게 인위적으로 변형하여 개발된 농산물이다. 육종과는 조금 ... ...
야구 최강 타순 어떻게 정할까? 마르코프 연쇄
수학동아
l
2012년 09호
영향을 받으니, 결국 연쇄적으로 따진다면 내일 조는지 여부는 태어날 때의 상태와
간접
적으로 마치 사슬처럼 관련이 있다. 물론 1차 마르코프 연쇄에서는 내일 졸지 여부는 오늘의 상태만 알면 된다. 직접 보지 않아도 예측할 수 있다마르코프 연쇄를 이용하면 현재의 상태를 정확히 알지 못해도 ... ...
원하는 동영상 콕 찍어 찾는 법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없는 경우가 허다하다. 또 어떤 맥락에서 이 장면이 나왔는지 글로 풀어줘야 한다.
간접
체험에 그친다. 아쉬움이 남고 궁금할 수 밖에 없다.동영상을 꼭 보고 말겠다는 집념(?)을 불태우는 이들의 다음 행위는 무엇일까. 해당 장면이 담긴 동영상과 연관된 글로 검색하는 것이다. 이를테면 ‘연예인 ... ...
중국이 이모작하면 한국엔 더 센 장마 온다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그러나 이 방법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기후모델을 사용해서 그 영향을
간접
적으로 연구하기로 했다.기후모델은 미래 기후를 예측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지구에서 일어나고 있는 날씨 및 기후 현상을 수학으로 표현한 것으로, 여러 복잡한 수학, 물리 방정식을 컴퓨터코드로 만든다. ... ...
당신은 무엇을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도전하면서 넓어졌다. 도저히 볼 수 없을 것 같은 고차원 공간이나 암흑물질도, 비록
간접
적으로라도 증명할 수 있는 실험을 고안한다. LHC와 같은 고에너지 실험시설이 그 중요한 역할을 맡는다. 이론은 이들을 이끄는 첨병 역할을 한다.이렇게, 미지의 대상을 마치 본 것처럼 알게 하는 힘이 ... ...
문과냐 이과냐 그것이 문제로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일단 다양한 경험을 해봐.” 부족한 시간에 다양한 경험을 직접 하기는 어렵다. 때문에
간접
경험이 중요하다. 짧은 시간에 다양한 경험을 하는 데는 영상독서가 효과적이다. “성적은 어떻게 올리죠?” “지금은 올리는 게 우선이 아냐. 왜 네가 성적을 올려야 하는지, 얼마만큼 올려야 하는지, ... ...
Part 1. 태양보다 100억 배 무거운 블랙홀 있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50년이 더 지난 뒤에야 그 존재가 관측됐지만 거대질량 블랙홀은 거꾸로 그 존재(
간접
적인 증거)가 1930년대 처음 관측됐다. 그러나 천문학자들은 1960년대 퀘이사가 관측될 때까지 거대질량 블랙홀의 존재 가능성을 전혀 예상하지 못했다(퀘이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2파트에서 다룬다). 사실 지금도 ... ...
Part3. 비판과 한계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도깨비 뿔’로만 치부할 수는 없다는 뜻이다.관측을 통한 검증, 입자물리 실험을 통한
간접
검증, 그리고 이론 자체의 수학적 엄밀성에 따른 검증이 꾸준히 시도되고 있다. 물론 아직 갈 길은 멀다. 예를 들어 중력파 검증은 우주 탄생 초창기의 중력파를 검출할 수 있도록 검출기의 저주파수 ... ...
디지털 시대의 눈 건강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읽어야 하지. 책과 30~40cm 떨어지는 건 필수야. 그림자가 생기거나 어둡다면 책상에
간접
조명장치를 설치하는 게 좋아. 그리고 공부를 하거나 책을 볼 때는 30~40분에 10분 정도는 쉬면서 해야 해. 쉴 때는 먼 산같이 먼 곳을 보며 가까운 곳에 맞춰진 눈을 풀어 줘야 눈이 건강하게 유지된단다.비법3 TV와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