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념"(으)로 총 3,952건 검색되었습니다.
- [어수티콘 사전] 자리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2호
- 숫자 1, 2, 3, 4가 오른쪽에서부터 일의 자리, 십의 자리, 백의 자리, 천의 자리에 나란히 자리를 잡았어요. 만의 자리만 텅 비어 있네요. 혼자 떨어져 있는 숫자 5의 자리일까요? 수달에게 묻는다!자리에 따라 달라져요! 어수동 : 숫자 5 혼자만 자리를 못 찾고 있네요. 맨 앞의 빈자리에 들어가면 ... ...
- [인터뷰] 필즈상 허준이 교수 아버지 허명회 고려대학교 통계학과 명예교수수학동아 l2023년 02호
- 추천한다. 예를 들어 수학을 공부할 때 그룹을 짜는 거다. 학생들이 서로 배운 수학 개념을 설명하고, 가르쳐 주고, 어떤 정리를 공부했는데 왜 중요한지, 어떤 부분에서 큰 감동을 받았는지를 이야기 나누면 어떨까. 일타 강사가 가르치는 강의를 듣고 공부한 사람은 비슷한 생각을 하게 되기 때문에 ... ...
- [킹앤포] 숨은 닮음을 찾아라!수학동아 l2023년 02호
- POSTECH의 수학·물리 동아리 MARCUS(마르쿠스) 회원들이 중고생 때 좋아했거나 어려워했던 개념들을 소개하고, 수학적 사고력을 높일 수 있는 문제를 제공합니다. 오늘은 어떤 선배가 어떤 문제를 가지고 왔을까요? 안녕하세요. POSTECH 컴퓨터공학부 2학년 학생이자 마르쿠스 부회장을 맡고 있는 ... ...
- [커리어]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와 안성천의 생물다양성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여러 가지 분석 방법과 통계 방법을 고려해보면서 전공 수업에서 이론적으로 배웠던 개념들에 대한 시각이 확장됐음을 느꼈고 부족한 부분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번 기회를 통해 시민과학자 데이터로 직접 매미 개체수 감소와 다양한 요인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는 과정으로 환경 변화에 대한 ... ...
- [기획] 24마리에서 2억 마리로 늘어난 사연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토끼와 사람의 치열한 전투를 들려주기 위해서 말이야. 토끼와의 추격전부터 생물보안의 개념까지! 지금부터 내 이야기를 잘 따라와 봐!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기획] 24마리에서 2억 마리로 늘어난 사연은?Part1. [기획] 24마리의 토끼 한반도 면적 78배를 뒤덮다Part2. [기획] 끈질겼던 ... ...
- [Data math] 케첩 짤 때 팍 튀지 않게 하는 방법은?수학동아 l2023년 02호
- 얇은 튜브에 액체와 공기를 함께 넣고 압축을 가하는 연구를 하기로 했지요. 이렇게 초기 개념을 잡고 나서 논문 초고를 제출하기까지 약 18개월이 걸렸어요. Q ─ 왜 케첩에 관심을 가지게 됐나요? 처음부터 케첩을 연구하려던 건 아니었어요. 대신 튜브와 같은 좁은 공간에서 액체를 공기로 ... ...
- [Space Math] 세밀한 제어 기술로 승부한다! 우주발사체 기업들수학동아 l2023년 02호
- 수 있게 해준다. 라플라스 변환은 시간을 태초부터 또는 지금부터 영원히 적분한다는 개념을 가지고 있다. 이를 시간에 대해 적분함으로써 시간 변수를 없애고 복잡한 미분 방정식을 풀기 쉬운 모습으로 바꿔 준다. 라플라스 변환은 18세기 후반과 19세기 전반에 활약한 프랑스 수학자 피에르-시몽 ... ...
- 최정담이 말하는 최-정-담, 공부만 잘하는 사람이고 싶지 않아!수학동아 l2023년 02호
-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나. 선행학습을 반대하지 않는다. 선행학습을 하면 한번 들어본 개념과 문제가 수업시간에 나와 수학에 대한 자신감이 생기기 때문이다. 수학은 자신감이 중요하다. 그런데 꼭 자신의 학년보다 몇 년 더 앞서는 공부를 할 필요는 없다. 상황에 따라 몇 개월만 먼저 해도 ... ...
- [특집] 인공지능과 함께 살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AI가 사용자의 행동, 선호도, 특성 등을 분석해 개개인에게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념이다. 우리가 좋아할 영상을 추천해주는 유튜브 알고리즘이 그 예다. 현재 관건은 사용자와 나눈 대화를 기억하고, 활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2022년 5월 네이버가 1인 가구를 위해 출시한 ‘클로바 ... ...
- [성진우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인공생명체 배아 착상을 모방하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멀리 떨어진 영양막줄기세포는 자궁 착상을 돕습니다. 2018년 블라스토이드라는 개념이 처음 세상에 나온 지 5년도 채 지나지 않았지만, 블라스토이드는 수많은 개량을 거치며 조금씩 실제 배아에 가까워지고 있습니다. 2021년부터는 쥐뿐만 아니라 인간의 블라스토이드를 만들어 초기 배아의 착상과 ... ...
이전1819202122232425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