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념"(으)로 총 3,952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 상위 1% 비밀무기] KAIST, 서울대 동시 합격 비결은?수학동아 l2023년 05호
- 내용을 제대로 공부했다면 혼자서 다시 봤을 때도 충분히 이해할 수 있게 돼 있어요. 또 개념이 이해가 안 되더라도 문제집에서 유형별로 어떻게 푸는지도 알려주고 있어서 그 방법대로 문제를 풀어보면 오히려 이해가 되기도 했어요. Q. 다양한 수학 공부법은 어떻게 터득했어요? 여기저기서 ... ...
- '갓생'에 대해서 뇌과학이 알려줄 수 있는 것과학동아 l2023년 05호
- 겁니다. 도파민을 분비하는 자극을 끊어내 중독에서 벗어나자는 ‘도파민 디톡스’란 개념이 나쁘진 않아요. 하지만 스마트폰을 멀리해 잠시 자극을 차단하는 방법으로 그간의 중독상태에서 벗어 나기는 쉽지 않습니다. 수용체의 양이 쉽게 줄어들지 않거든요. 오히려 중장기적인 노력이 필요한, ... ...
- [이달의 책] 45억 년 지구가 보여주는 가장 놀라운 지형들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좀처럼 볼 수 없는, 지구라는 거목의 나이테인 셈이다. 막연했던 지리와 지구과학 개념들이 파노라마처럼 펼쳐진 아름다운 사진, 지형 형성의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3D 지형도와 지층 단면도 등의 시각 자료와 결합해서 세계 여행의 생생한 경험으로 바뀐다.오스트레일리아 북동해안을 따라 ... ...
- [통합과학 교과서] 과자를 먹고 두드러기 난 사연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있는 것 같습니다.”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통합과학 개념 이해하기알레르기 반응은 어떻게 일어나는 걸까? 꽃가루, 집먼지진드기, 우유, 달걀, 땅콩, 새우, 고양이 털 등. 대부분 사람은 이런 물질에 전혀 반응하지 않아요. 하지만 어떤 사람들은 이렇게 일상적으로 ... ...
- [통합과학 교과서] 꿀벌 때문에 속상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꿀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숙지해야 양봉도 잘 할 수 있는 거니까요.” ●통합과학 개념 이해하기꿀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꿀벌은 봄부터 꽃을 따라 수 킬로미터를 날아다니며 꽃가루와 꿀을 모읍니다. 이때 꿀벌은 1분에 만 번 이상의 날갯짓을 해, 그만큼 엄청난 에너지가 필요해요. 꿀에는 80%의 ... ...
- 60년 묵은 생체시계 난제 해결수학동아 l2023년 04호
- 이는 우리 몸속에 생체시계가 있어서 가능한데요. 이 연구에는 시간, 주기 같은 개념이 중요하니까 수학이 이 주제에서 큰 역할을 하겠다 싶었어요. 저희 연구 결과를 다시 살펴보니, 사용한 폴저 교수의 식에 오류가 보였어요. 제 제안으로 2년간 식을 고쳐서 2012년에 생체시계에 관한 수리모형을 ... ...
- 수학자와 수학 교사 부부는 자녀에게 수학을 어떻게 가르칠까?수학동아 l2023년 04호
- 문제에 나온 수학 개념을 다양한 수준으로 체득하게 돼요.딸 수학에 대해 궁금한 개념이 있으면 거기에 대해 수다를 떨어요. 혹은 사고력 문제집을 풀다가 안 풀리는 문제가 있으면 같이 토론하며 문제를 풀었어요. 근데 아빠는 대부분의 문제를 틀려요.아빠 하, 진짜예요. 너무 어려워요. 며칠이 ... ...
- [러셀 탐구생활] 제 4장 수학을 향유하는 인생 친구를 만나다수학동아 l2023년 04호
- 못했습니다. 특히 그를 경악하게 만든 것은 ‘미적분학’이었습니다. 미적분학의 대표 개념인 접선의 기울기를 구하는 과정을 예시로 러셀이 어떤 부분에서 실망했는지 볼게요. 아래의 곡선은 y = x²입니다. 이 곡선과 (1, 1)에서 접하는 직선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 직선의 기울기를 구하고 싶다면 ... ...
- [킹앤카] 벚나무가 가장 많은 지역은?수학동아 l2023년 04호
- 꼭 필요한 수학 개념을 누구보다 잘 알고, 그에 맞는 문제를 내 줄 사람은 과연 누구일까요? 바로 얼마 전까지 여러분과 같은 고민을 했던 대학생 선배일 겁니다. 2023년 킹앤카에서는 KAIST 수학 문제 연구회(수문연) 회원 안녕하세요. KAIST 수리과학과 2학년이자 수문연에서 킹앤카를 담당하고 있는 ... ...
- 두 번째 질문 I 수학에선 무한을 어떻게 정의할까?수학동아 l2023년 04호
- 수학자들은 어떤 집합과 다른 집합이 일대일대응이 된다면 이 두 집합의 크기가 같다는 개념을 내세워요.자연수 집합과 짝수 집합을 한번 비교해볼게요. 자연수 집합에서 1, 2, 3, 4에 2를 곱한 짝수를 대응하면 빠지는 숫자가 없이 모두 일대일대응이 돼요. 그렇기 때문에 두 집합의 크기가 같아요 ...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