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념"(으)로 총 3,952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취미 부자 신데렐라. 이번엔 축구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7호
- 들키는 건 시간 문제인데, 혹시 상처를 빨리 낫게 하는 법은 없을까요?”● 통합과학 개념 이해하기I 우리 몸이 상처를 회복하는 과정 넘어져서 까지고, 긁히고, 멍이 들고, 날카로운 데 베고, 뜨거운 것에 데는 등 우리 몸엔 종종 크고 작은 상처가 생겨요. 피부는 우리 몸의 1차 방어벽인데, 상처가 ... ...
- [Reth?nking] 대수와 기하는 어떤 관계인가?수학동아 l2023년 07호
- 4차원 구를 생각해보면 우리 눈에 보이게 그릴 수는 없지만, 변수가 4개인 식을 만들어 개념적으로 나타낼 수는 있지요. 인문학자 : 이렇게 대수학과 기하학이 통합된 상황에서 기하학 문제를 푼다는 것은 기하학적 대상을 나타내는 방정식을 연구하는 건가요? 수학자 : 네, 맞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 ...
- [에디터 노트]막을 수도 피할 수도 없다면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살면서 알아두면 유용한 수학 개념을 딱 한 가지만 꼽는다면 뭘까요?” 몇 해 전 한 수학계 석학을 인터뷰하며 이런 질문을 했습니다. 되돌아보니, 석학에게 던질 질문은 아니었다 싶지만 어쨌든, 배려심 깊은 수학자는 찌푸리지 않고 그의 생각을 답했습니다. 바로 확률입니다. 세상은 여러 가지 ... ...
- [뉴스&인터뷰] 키를 결정하는 80%의 비밀...유전자 읽어 미래 키 알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7호
- 그 결과 키라는 표현형이 어떻게 결정되는지를 40%까지 밝힐 수 있었죠. 앞서 유전율의 개념이 특정 표현형과 관련된 유전적 다양성과 연결된다고 설명했었죠? 이 연구는 이런 맥락에서 키의 유전율인 80% 중에서 40%가 구체적으로 어떤 유전자에 의해 결정되는지 밝혔다는 의의가 있습니다. 비셔르 ... ...
- [커리어] 우리학교 과학시간엔요! 과학중점학교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상당히 부담을 준다고 생각합니다. 제 경우엔 학습지 등의 도구를 이용해 학생들이 주요 개념들을 스스로 파악하도록 돕고 있어요. 또한 과학 과목에서 좋은 성적을 내기 위해선 역시 예습보단 복습이 훨씬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오늘 배운 건 오늘 다시 공부하고 바로 풀어보면 이해가 잘 되고 ... ...
- [일타 수맨스] 일타 강사가 말하는 ★수학 공부해야 하는 이유★수학동아 l2023년 07호
- 고3을 대상으로 이차함수 개념 강의를 시작했는데 대박이 났어요. 개강 전엔 고3에게 개념 강의는 너무 쉬워서 수요가 적을 것이라는 우려가 많았지만 말이지요. 3교시 : 인생 수업 / 원하는 대학 가면 행복할 거라고? 착각이야! Q. 강사님은 ‘계획한 대로 풀리는 인생은 존재하지 않아’, ‘이 ... ...
- [어수티콘 사전] 다각형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6호
- 6개의 각 형제가 모여 이야기를 나누고 있어요. 그중에서 한 각이 다른 각들을 바라보며 “다~각형이네요!”라고 말하고 있네요. [수달에게 묻는다!] 각은 적어도 3개는 있어야 해! 어수동 : 말하고 있는 각이 가장 어린가 봐요. “다 각 형이다”라고 말하는 걸 보면요! 하하하. 그런 의미도 ... ...
- 영재학교 학생이 챗GPT 쓰는 이유는? 빠르고 문제 해결 힌트 준다!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이전엔 문제를 풀다가 모르는 개념이나 이해하기 어려운 복잡한 식이 나오면 일일이 개념과 식의 과정을 인터넷에서 검색하면서 이해해야 했다. 선형대수학, 미적분방정식 등 대학 수준의 수학 정보는 구글 같은 해외 검색 포털에서 오랜 시간 찾아보거나 선생님을 찾아가 물어봐야 할 때도 있었다 ... ...
- AI 시대에 알맞은 수학 공부법, 비판적 사고와 질문하기수학동아 l2023년 06호
- 개념을 설명해주세요’라는 질문과 ‘수학 교과서의 문자와 식 단원에서의 복소수 개념을 구체적인 예와 함께 설명해주세요’라는 질문의 답이 확 다르거든요. AI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조만간 인터넷이나 스마트폰처럼 AI도 대중화되리라는 것을 충분히 예상할 수 있습니다. 예컨대 스마트폰 ... ...
- 챗GPT 과연 수학자를 위협할까?수학동아 l2023년 06호
- 받을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아요. 수학자의 중요한 역량인 문제를 제기하고, 새로운 개념을 정의하며, 복잡한 연역적 사고를 수행하는 능력에서 아직까지는 부족한 점이 많다고 생각합니다. 수학자가 하는 일은 추상적이기 때문에 챗GPT의 도움을 받기는 어려워요. 하지만 수학자의 연구를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