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념"(으)로 총 3,952건 검색되었습니다.
- [어수티콘 사전] 공약수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0호
- 숫자 6과 8이 축구를 하고 있어요. 숫자 6 옆에는 3이 있는 걸 보니, 둘은 같은 팀인가 봐요. 숫자 4와 8이 한 팀이고요. 그런데, 6과 8이 함께 찬 공에 붙어 날아가고 있는 1과 2는 각각 누구의 팀일까요? ‘공약수’라는 말이 힌트인 것 같아요! [수달에게 묻는다!] 공통의 약수를 찾아라! 어수동 : ... ...
- [수학 상위 1% 비밀 무기] 중1 때 을 독학한 비법수학동아 l2023년 10호
- 예를 들어 명제의 역은 성립하는지 증명해보는 거지요. 그러면 개념이 이해되면서 개념을 증명하거나 문제를 풀 수 있는 단계가 돼요. Q. 지난 4월 *적분대회에서 1등을 했다면서요? 1등을 했을 때 친구들이 헹가래를 해줘서 아주 기뻤어요. 원래 제가 이기면 친구들이 춤을 추기로 했는데, 제가 ... ...
- [수학체험 유랑단] 친구야! 꼬인 매듭을 풀어줘!수학동아 l2023년 10호
- 수학 개념을 활용한 조건을 돌아가며 제시해요. 이를 통해 수업 시간에 배운 다양한 수 개념을 다시 떠올리면서 수와 친해질 수 있어요. 또 ‘두 수를 더해서 짝수가 되는 카드 2장’이라는 조건을 들었다면 ‘홀수+홀수’ 혹은 ‘짝수+짝수’처럼 조건이 성립하는 경우를 고민하면서 수의 성질에 ... ...
- [킹앤카] QUIZ KING & KAIST수학동아 l2023년 10호
- 관심을 가졌어요.효과적인 투표 방법을 알아보던 중 투표에 관한 여러가지 수학적 개념을 배웠는데, 일반적이지 않은 상황이 발생했을 때 이를 다른 상황에 적용해 보는 힘을 기른 경험이었다고 해요. 여러분께 이런 경험을 소개하고 싶어서 투표 문제를 출제했습니다. 지금 바로 만나보세요 ... ...
- 슬기로운 수학생활 멘토링수학동아 l2023년 10호
- 회원도 여기서 조금 헷갈렸지만 방향을 잘 찾아갔다”면서, “서 회원의 말처럼 앞으로 개념서의 내용보다 세밀한 부분을 생각하면 큰 도움이 될 것이고, 지금도 충분히 잘 공부하고 있다”고 다독였어요. 멘토링에 참여한 회원들의 소감은 어땠을까요? 송지후 회원은 “이번 멘토링을 통해 엄밀한 ... ...
- [최신이슈] 지구 밖 ‘보물섬’을 향한 여정...프시케 미션 시작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우주 채굴 시대는 언젠가 온다”고 답했다. “전 세계에서 수십 년 동안 이뤄진 수많은 개념 연구가 인류의 미래가 소행성에 있다는 결과를 한목소리로 내고 있다”고 말이다. 물론 한국은 아직까지 소행성 자원 채굴을 목표로 하는 민간 기업이 없고, 국가 주도의 소행성 연구도 더딘 상황이다. ... ...
- [과학사 극장] 홍대용은 조선의 코페르니쿠스 였을까?과학동아 l2023년 10호
- 따르면, 사율(비례식)이 곧 승제였던 것이다. 즉, 홍대용은 수학 문제 풀이의 기본 개념으로서 승제를 강조하고, 이 승제를 매개로 수학 문제와 천문학 문제를 연결했다. 그리고 그런 수학적 방법론을 제시하는 수학서를 저술한 것은 수학적 수준이 낮거나, 서양 수학을 이해하지 못해서가 결코 ... ...
- [Reth?nking] 미적분은 어떻게 꽃피웠는가?수학동아 l2023년 10호
- 두 번째 의문 : 라이프니츠는 뉴턴의 미적분을 표절했다? 비슷한 시기에 같은 개념에 관한 아이디어가 함께 무르익을 때가 많은데요. 뉴턴과 라이프니츠도 비슷한 시기에 미적분을 발표합니다. 문제는 뉴턴이 라이프니츠가 동시대에 독립적으로 미적분을 통합했다는 걸 인정하지 않을뿐더러 ... ...
- 공중에서 쏘고 돌팔매질로 날리고 친환경 로켓 발사수학동아 l2023년 10호
- 우주공학 개척자인 콘스탄틴 치올콥스키가 지극히 과학적 발상으로 고안한 것이다. 이 개념은 나중에 SF소설의 거장인 아서 클라크의 작품에서 여러 번 등장하면서 대중적으로 유명해졌다. 지금까지 연구된 가장 진보된 건설 방법은 밑에서 쌓아 올리는 것이 아닌 정지궤도 너머에서 지구로 줄을 ... ...
- [우리학교 과학시간엔요] 공동교육과정과학동아 l2023년 10호
- 물체에 현재와 다른 물리량이 주어지면 어떤 영향이 미칠지 파악할 수 있어야 합니다. 개념, 수식, 물리 상황을 함께 입체적으로 이해하면 물리 공부를 좀 더 잘할 수 있습니다. 일상 생활에서 접하는 물리적 상황의 원리가 무엇인지 교과와 연결지어 생각하며, 포기하지 않고 고민하는 태도도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