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정
교정
교열
개혁
개회
개조
개작
d라이브러리
"
개정
"(으)로 총 377건 검색되었습니다.
된장녀, 트랜스지방 탈출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분류돼 있어 트랜스지방 규제의 사각지대에 놓인 셈”이라며 “현행 식품법
개정
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내가 중독된 걸까삼양웰푸드 기술연구소 이진학 팀장은 “기름에서 트랜스지방을 서서히 줄여나가는 동시에 원래의 맛을 유지하는 일이 관건”이라고 말한다. 사람들은 트랜스지방을 쏙 ... ...
PART1 실험동물 복지시대 열리나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동물실험을 둘러싼 논의가 이제 막 시작된 것이나 다름없다. 이번 동물보호법
개정
안 통과를 계기로 과학연구와 실험동물의 복지 사이에 절충점이 찾아지길 기대해본다. 동물실험의 역사문헌상 최초로 동물실험을 한 인물은 고대 그리스의 아리스토텔레스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동물을 해부해 ... ...
말라리아 약초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腦症狀) 등을 주요 증상으로 하는 유행성·악성·리케차성 전염병 1969년 7월
개정
된 세계보건기구(WHO)의 보건규칙에 의해 정해진 국제감시전염병의 하나이기도 하다병원체는 리케차 프로바제키이다1888~1956 독일의 이론물리학자 A 코셀의 아들 14년 원자물리학을 연구하고 X선 스펙트럼의 방출기구에 ... ...
유럽 환경지킴이 3色 스토리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때부터 지역주민, 환경단체,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도록 올해 1월 환경정책기본법이
개정
돼 앞으로 환경문제 논쟁이 완화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독일에서는 베를린 국제공항을 신설하기로 결정했을 때 항공기 이착륙에 따른 소음과 진동 피해 보상 문제를 7년이란 긴 대화 끝에 지역주민과 ... ...
은하수를 건너가는 이삿집을 위한 그림 이야기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취할 만한 관점이기는 했지만.이번에는 뒤따라온 젊은 직원이 설명할 차례였다.“최근에
개정
된 행성간 화물 운송규정에 의하면, 퀀튜터를 제외한 모든 ‘우발적 변이경향을 내포한 물품’들은 행선 행성의 이동속도, 지금의 경우에는 화성의 공전 속도인 초속 24.01km 보다 빠른 선박에는 실을 수 ... ...
명왕성 퇴출! 행성이 뭐길래?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다음 IAU 총회에서 행성의 정의를 둘러싼 논란이 다시 재연될 가능성이 높다. 교과서
개정
은 좀더 시간을 두고 지켜본 뒤 해도 늦지 않을 듯하다. 왜행성 : 태양 주위를 돌며 둥근 천체로 영어명은 ‘dwarf planet’이다. 태양 같은 별의 최후인 고밀도 천체를 ‘백색왜성’(white dwarf)이라 부르는데서 ... ...
목숨 살리는 '생명 빨대'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사용하는 방식이다소프트웨어는 모든 사람들에 의해 자유롭게 실행되고 복제되며,
개정
된 프로그램에 대해서 배포상의 제한을 받지 않아야 한다는 정신으로, 저작권을 의미하는 copyright에 대비되는 말이다두 개 이상의 주기적인 패턴이 겹쳐질 때 빛의 간섭 무늬가 나타나는 현상소프트웨어를 ... ...
열대지역이 넓어진다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ASA)가 1947년 제정한 필름 감도측정법에 따른 필름감도지수 현재의 ASA 감도는 1961년에
개정
된 새로운 ASA법에 따르고 있다 사진촬영에서 노광량(露光量)을 결정하기 위한 조건은 피사체의 밝기와 사용하는 필름의 강도 ASA 감도는 ASA100 또는 200 등으로 표시되는데, 숫자가 2배가 되면 감도도 2배가 ... ...
2. 바닷속 우리 땅 우리 이름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8월 IHO에서 발행한 ‘해양과 바다의 경계’ 제4판
개정
안이 세계 회원국들에게 전달됐다.
개정
안은 ‘해양과 바다의 경계와 명칭’으로 바뀌면서 세계 156개 바다 이름과 경계를 재정비했다. 하지만 아쉽게도 백지로 남아있는 부분이 있다. 정치적 쟁점 지역이라는 이유로 아직도 인정받지 못한 우리 ... ...
교육 현장 속으로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3390만년전)와 신제3기(3390만년~533만년전)로 구분해 사용하고 있다고 제시했다.연구자들은
개정
되는 지구과학 교과서에는 이와 같은 공인된 지질연대를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