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경영학
경영학부
d라이브러리
"
경영학과
"(으)로 총 278건 검색되었습니다.
3. 중국대학 4인방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크다. 복단대에서 정책적으로 지원하고 있는 학과는 문과와 이과의 접경지대로 여겨지는
경영학과
. 아예 경영대학원을 만들어 중점 육성하고 있다.중국은 외국인과 자국인에게 서로 다른 요금을 받는 이중가격제를 실시하고 있다. 대학도 예외는 아니다. 외국인 학생의 수업료(외국유학생은 ... ...
4. KAIST 해커 구속 사건이 남긴 이야기 "배우면 써보고 싶은 게 사람심리"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시스템에 침투해 자료를 지운 행위로 해커가 구속되는 일이 일어났다. 금전적 이해를 구하기 위해 침입한 것이 아닌 해킹으로는 국내 처음을 기록한 이번 사건은 많은 사람들에게 해킹 행위 자체를 바라보는 이전의 시각을 교정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지난 5월 7일 서울지검 정보범죄수사센터는 포 ... ...
최초의 농사꾼 잎꾼개미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몸무게 4배 이상의 흙덩이를 10억번 이상 끌어내 보금자리를 마련하고, 3백kg의 짐을 입에 문 채 시속 24km로 달리는 잎꾼개미. 철저한 분업으로 단칸방에서 시작해 지하 대도시를 건설하는 억척스런 살림꾼의 모습을 살펴보자.필자는 '동물 행동학' 분야의 젊은 권위자다. 1977년 서울대 동물학과를 졸 ... ...
3. 세계톱10을 준비하는 KAIST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KAIST는 과학한국의 주역이 되기 위해 제 2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주마가편이라던가. 잘 달리는 KAIST에게 더욱 갈 달리기를 바라면서 졸업생들이 가하는 채찍질을 들어본다. 고객중심의 연구교육이 필요 명 문유헌KAIST를 졸업한지 올해로 벌써 1년 모자란 20년이 된다. 사회에 첫발을 내디딘 후 지 ... ...
2. 공통과학 성공의 조건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공통과학의 성공 여부는 교사의 능력, 학교의 실험시설, 학생수에 달려있다" 고 서울대 물리교육학과 박승재교수는 말한다. 공통과학은 통합과학으로서 생활 속에서 보는 소재들을 통해 개념과 지식의 관련성을 따지는 것이라고 한다. 그러므로 이를 지도하는 교사의 능력에 따라 학생들은 올바른 ... ...
2. 나의 젊은 시절 보금자리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1만 5천여명의 졸업생을 배출한 KAIST. KAIST맨들은 지금 어디서 무엇을 하고 있는가. 창업을 한 사장님이 있는가 하면 연구소에 남아 기술연구에 매진하는 사람도 있다. 각계에 퍼져있는 KAIST맨들을 찾아봤다.(주)메디슨 대표이사 이민화 뿌린씨앗을 거두는 마음으로공학도라면 석사졸업 후 기업에서 ... ...
항생제 개발의 문 연 설파제
과학동아
l
1995년 10호
상처부위를 감염시켜 환자를 괴롭혔던 박테리아. 독일 과학자 도마크의 천재성과 사명감이 항균제 개발의 활로를 열였다. 설파제는 페니실린의 발견에도 커다란 기여를 했다.1865년 영국 글래스고대 외과교수 조지프 리스터(Joseph Lister)는 페놀에 담근 붕대로 상처 부위를 소독, 이 부위를 통해 병원 ... ...
원반·부메랑, 공중묘기의 비밀
과학동아
l
1995년 08호
것이고 1백 94m라는 프리스비 비행기록을 능가하는 것이다.이 기구는 4년전 당시 베일러대
경영학과
학생이었던 마크 포티가 발명했다. 그는 친구들과 종이 날개로 실험을 했었다. 요즘 포티는 전에 항공 우주 산업에 종사했던 아버지 윌리엄 포티와 함께 이 장난감의 마케팅에 힘쓰고 있다. 그는 ... ...
표본추출방법따라 결과 180도 달라지는 통계의 속임수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통계는 많은 정보를 간단한 숫자나 진술로 압축해줌으로써 인간에게 도움을 준다. 그러나 통계를 잘못 활용하면 엉뚱한 결과를 얻을 수도 있다. 통계에 속지 않고 통계를 이용하는 길은?통계학계에서 고전이 되다시피한 인용구 중 디즈레일리의 것이 있다."거짓에는 세가지가 있다. 거짓, 새빨간 거 ... ...
1. 사용자 신체·심리 특성 맞춰 제품 만든다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인류의 역사를 '인간이 보다 인간답게 살기 위한 노력의 흔적'으로 해석한다면 일(노동)은 인류에게 부여된 신성한 의무이자 생존과 삶의 향상을 위해서 피할 수 없는 짐이 되어 왔다. 그리고 과학과 기술의 발전은 보다 인간다운 삶을 살고자 하는 인류의 소망을 어느 정도 이룰 수 있도록 기여했으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