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나노"(으)로 총 1,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페이지 뉴스] 달 콘크리트의 원료 ‘트로일라이트’엔 전류가 흐른다?과학동아 l2020년 05호
- 빛이 원자와 전자에 충돌해 산란되는 정도를 분석하면 물체의 구조와 특성을 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수준까지 밝힐 수 있다.분석 결과 공동연구팀은 트로일라이트가 온도에 따라 자석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고온에서는 트로일라이트 원자의 자기 스핀(magnetic spin)이 무작위로 ... ...
- [한페이지 뉴스] 극저온, 진동, 마모에 강한 무인항공기 소재 개발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정도가 적은 것으로 분석했다. 슬리오츠버그 연구원은 “폴리우레탄-우레아에 탄소나노튜브를 첨가한 신소재는 기존에 사용하던 군사장비 소재보다 내구성, 탄성 등 다양한 측면에서 우수한 특성을 보였다”며 “이 소재를 활용하면 열악한 환경에서 군사장비가 손상되는 일이 줄 것”이라고 ... ...
- [팩트체크] 청색광은 망막을 얼마나 손상시킬까과학동아 l2020년 05호
- 걱정할 수준 아냐” 태양에서 오는 빛 중에서 지표면에 도달하는 빛은 250~2500 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로 파장대가 다양합니다. 그보다 파장이 짧은 빛은 대부분 성층권에 위치한 오존층에 흡수돼 버립니다. 사람이 볼 수 있는 빛은 보라색부터 빨간색까지 흔히 무지개의 일곱 색으로 대표되는 ... ...
- [가상인터뷰] 나비, 날갯짓으로 체온을 유지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5호
- 비늘구조에서 반사된 빛이 만들어낸 색이야. 현미경으로 나비 날개를 확대해 보면, 나노 크기의 비늘들이 마치 기와를 얹은 것처럼 층층이 쌓여 있지. 여기에 빛을 비추면 특정 파장의 빛만 반사되고 나머지는 통과해. 이때 반사되는 빛이 우리의 눈에는 나비의 색으로 보이는 거야. 이러한 구조를 ... ...
- [퀀텀닷 완전정복] 카드뮴 없앤 친환경 퀀텀닷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사용한 탓에 판매가 원활히 이뤄지지 않은 것이 주원인으로 알려졌다. 배완기 성균관대 나노공학과 교수는 “현재 퀀텀닷 연구에서 카드뮴으로 대표되는 12족 원소를 16족 원소와 합성(2-6족 퀀텀닷)하는 방식은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며 “대부분 13족 원소를 15족 원소와 합성(3-5족 퀀텀닷)하는 ... ...
- [한페이지 뉴스] 평면렌즈 하나로 6m 거리까지 선명하게 찰칵!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빛이 다양한 위상값을 가질 수 있도록 회절시키는 평면렌즈를 고안했다.렌즈 위에 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크기의 미세한 평면구조를 설계해 먼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빛과 가까운 피사체에서 반사된 빛 등이 모두 렌즈의 초점으로 들어오는 MDL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파장이 850nm인 빛으로 ... ...
- [4·15 총선] 긴급 여론조사, 과학계 민심을 듣다과학동아 l2020년 04호
- 김일두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은 최근 지름이 100~500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인 나노섬유로 20회 이상 세탁해도 재사용 가능한 멤브레인(얇은 면)을 개발했다. 서울시 산하 서울기술연구원은 5월 8일까지 상금 총 2억 원을 걸고 대체 필터와 신개념 마스크 기술을 공모하고 있다.한편 ‘만렙 ... ...
- 스마트폰 100배 줌해도 화질 선명한 이유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이미지 센서를 연구 중인 최재혁 성균관대 반도체시스템공학과 교수는 “반도체 나노 공정이 고도화될수록 이미지 센서의 화소와 정보처리 능력은 점점 더 좋아지고 있다”며 “줌 성능을 향상시킬 기술적인 여력은 많지만, 소비자의 수요에 따라 기업이 이를 실제 제품에 도입할지를 결정해나갈 ... ...
- [퀀텀닷 완전정복] 퀀텀닷으로 암 진단까지?!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미국 에너지부 산하 로스알라모스 국립연구소에서 반도체 입자인 셀레늄화납(PbSe)을 나노미터 크기로 아주 작게 만들면, 즉 퀀텀닷으로 만들면 낮은 파장의 빛을 받았을 때 열이 발생하지 않고 오히려 두세 배의 전자가 이동하는 것을 실험으로 관측한 것이다. doi: 10.1103/PhysRevLett.92.18660 ... ...
- 전기자동차 배터리 엔지니어 “싫은 일부터 하나씩 지워보세요”과학동아 l2020년 04호
- 것은 없다. 시간이 오래 걸릴 뿐이다.”지도교수인 셜리 멍(Shirley Meng) UC샌디에이고 나노공학과 및 재료공학과 교수는 윤 책임연구원이 연구 결과가 예상대로 나오지 않아 힘들어 할 때마다 이렇게 격려해줬다. 시간이 아주 오래 걸려야 해결될 문제이고, 힘들어하는 이 시간조차 해결의 실마리를 ... ...
이전1819202122232425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