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서열"(으)로 총 705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질병 연구의 ‘내비게이션’을 꿈꾸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변환해 용량을 수백 GB로 줄인다.생명의료HPC연구센터에서는 환자에게서 얻은 염기서열 정보를 정상인과 비교해 돌연변이가 일어난 유전자를 찾아낸다. 최근에는 수천 명에서 수만 명 단위로 특정 질병을 가진 환자들의 유전체 정보를 분석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 이 센터장은 “현재 KISTI에서 보유한 ... ...
- Part 1. 그들의 동거는 언제 시작됐을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1980년대에 처음 밝혀졌다. 유전자 계통도를 그릴 때 기준이 되는 단백질인 16s 리보솜의 서열을 확인한 결과, 미토콘드리아가 알파프로테오박테리아(Alphaproteobacteria)의 후손이라는 사실이 드러났다(Proc Natl Acad Sci U S A. 1985 Jul; 82(13): 4443–4447). 이후 연구에서 알파프로테오박테리 ...
- [News & Issue] 장기기증자의 눈물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한국에서 가족 사이의 기증을 거부하긴 사실상 어렵다”고 말했다.이 때문에 가족 내 서열에서 가장 아래에 있는 사람이 기증을 하게 된다는 2차 문제가 생긴다. 하 연구원은 “결혼 적령기를 넘긴 미취업 여성이나 중년 여성이 자주 기증을 권유받는다”고 말했다. 실제로 결정 과정에서 압력을 ... ...
- Part 2. 미토콘드리아에 새겨진 인류의 기원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읽는 것은 비용이 꽤 비싸지만, HVR구간은 5000원 정도면 충분하다). 3. 일주일 뒤, DNA 서열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해 하플로그룹을 확인하다.‘울산게놈 1만 명 프로젝트’를 준비하고 있는 박종화 UNIST교수에게 전화를 걸어 부탁을 했는데, 예상치 못한 문제가 터졌다. 국내에서는 개인이 유전자 검사를 ... ...
- [News & Issue] 지카 잡으러 총출동한 과학자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지카바이러스는 앞서 지카바이러스가 유행했던 프랑스령 폴리네시아의 바이러스와 서열이 가장 유사했다. 때문에 연구팀은 2013년 6월에 브라질에서 열린 피파 컨페더레이션스컵을 방문했던 폴리네시아 여행객이 브라질에 바이러스를 옮긴 보균자일 수 있다고 추정했지만, 확정할 수는 없다고 ... ...
- [Tech & Fun] 이래도 사람, 저래도 사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개념은 환상에 불과하다고 말하는 시대에 살고 있지만, 만연한 문화적 편견이 인간의 서열을 여전히 자연적인 현상으로 돌린다는 것이다. 굴드는 말했다. “우리의 생물학적 통일성이 제공하는 유리한 기회를 틈타 성공을 거두기는커녕 실패를 되풀이하는 까닭은 무엇인가. 왜 협력을 시도하지 ... ...
- PART 2 "젊은 연구자들에게 기회를"과학동아 l2016년 05호
- 고분자연구소 박사후연구원은 “대학서열 완화”를 꼽았다. “한국은 극단적인 대학서열화 때문에 연구비가 최상위 5개 대학에 과도하게 몰려있습니다. 여기서 만들 수 있는 박사급연구자 일자리는 한계가 있습니다. 독일은 대학평준화로 평균 이상의 연구 환경을 제공하는 대학이 많고, 인재도 ... ...
- Part 2. 기자가 도전해 본 디지털 생물학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맞춰 부품화했다는 뜻이다. 하지만 생물의 특성상 종마다 ‘주로’ 사용하는 유전자 서열이 조금씩 다르다. 동일한 아미노산을 만드는 유전자 정보(코돈)라 하더라도 종마다 주로 사용하는 코돈이 달라 그 빈도를 맞춰주는 작업이 필요하다. 예컨대 아미노산 중 아르기닌의 정보를 가진 DNA는 네 ... ...
- Part 4. 숨을 불어 넣어 다시 태어난 합성생물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구절을 모스 부호로 바꾼 뒤 이를 다시 염기서열로 바꾼 작품이다. 새롭게 탄생한 염기서열을 화학적으로 합성한 뒤 박테리아에 주입했다. 배양접시 위에 올려진 합성박테리아 위에는 자외선 등을 설치했고, 관객은 원격으로 이 자외선을 끄고 켤 수 있었다. 자외선에 의해 합성 박테리아의 유전자는 ... ...
- Part 1. 최소유전자로 디자인 생물학 문 열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유전자를 실험실 조건에서 인위적으로 만들어내는 기술이다. 유전자를 이루는 염기서열 A(아데닌), G(구아닌), T(티민), C(시토신)은 모두 화학물질이기 때문에 화학적으로 합성할 수 있다. 읽기 기술은 2000년 초반부터 지수곡선 형태로 급격히 발전한 반면, 쓰기 기술은 합성할 수 있는 염기쌍 수가 ... ...
이전1819202122232425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