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특이"(으)로 총 2,099건 검색되었습니다.
- 네가닥으로 꼬였다! DNA 4중나선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교수는 DNA 염기인 아데닌, 티민의 유도체로 실험을 하던 중 특이하게도 왓슨-크릭 염기쌍보다 결합각이 작은 염기쌍 형태를 새롭게 발견했다. 연구팀은 이것을 ‘후그스틴 염기쌍’이라 명명하며 DNA가 예상보다 다양한 구조를 이룰 수 있음을 예측했다. doi: 10.1107/S0365110X5900238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196,883 차원의 대칭 괴물수학동아 l2020년 10호
- 괴물 같은 정리 속 괴물 같은 군 유한군의 바다에서 ‘보물찾기’를 하는 마음으로 특이한 산재군들을 찾던 콘웨이는 어느 날 어마어마한 크기의 산재군을 예측합니다. 콘웨이의 추측이 맞다면 이 산재군은 무려808,017,424,794,512,875,886,459,904,961,710,757,005,754, 368,000,000,000개의 원소를 ...
- [꽃가루의 변신1] 탐정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조합을 보면 사건이 벌어진 장소, 이동 경로 등을 알아낼 수 있죠.하지만 요즘 사람들은 특이한 수입 식물을 정원에서 많이 길러요. 이게 추리를 어렵게 하죠. 수입 식물의 꽃가루가 발견되면 국내 정원에서 유래한 것인지, 아니면 해외 다른 곳을 거쳐온 것인지 추가로 분석해야만 하죠. Q 꽃가루 ... ...
- [SF에 묻는다] 최후의 질문 vs. 두 번째 유모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얘기하는 SF는 현실의 우리를 변화시키고, 우리는 다시 앞으로 다가올 미래를 만듭니다. 특이점에 대한 논의는 기술 발전에 따라 우리 사회에 급격한 변화가 올 가능성을 인지하고 대비하게 하는 것 이상의 가치를 지닐 수 있습니다. 지금 우리가 관심을 갖고 보는 기술 외에도 훗날 사회를 급변하게 ... ...
- 유리는 고체, 액체? 구글 딥마인드의 답은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않는다. 이런 특징은 수십 년간 과학자들을 어리둥절하게 했다. 과학자들은 유리의 특이한 구조에 유리 상태(glass state)라는 이름을 붙였고, 유리를 ‘비결정질(또는 무정형) 고체’라는 특별한 카테고리로 분류했다. 비결정질 고체에는 우리가 먹는 엿도 포함돼 있다. 유리 입자 움직임 들여다 본 ... ...
- [비하인드 로켓] 절치부심, 두번째 도전에 나서다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분출됐고 분출된 약품도 나로호에 직접 닿지 않았다. 사건 후 나로호 점검 결과에서도 특이한 문제점이 발견되지 않았다. 만일을 대비해 몇 가지 부품을 교체하는 선에서 이번 일을 수습할 수 있었다. 나로호가 날아갈 필리핀 동쪽 해상에 원격측정수신장치를 싣고 미리 나가 있는 해경도 보유한 ... ...
- [특집] 세 장, 냄새나도 괜찮아! 또~옹을 연구한 사람들수학동아 l2020년 08호
- 이야기를 듣는 이유는 아마 사람들이 더러운 소재로 진지한 연구를 하는 것이 특이하다고 느끼기 때문일 거예요. 하지만 똥오줌에 관한 연구는 생물학, 의학, 환경공학 등 여러 분야에서 매우 중요해요. 양 연구원이 참여한 연구 중에 국제적인 똥 대란 현상에 관한 것이 있는데, 이는 현재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감자의 변색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환각버섯속’에 속한 버섯들이 유명합니다. 그런데 환각버섯속의 버섯들에는 특이한 비밀이 있어요. 버섯을 캐서 자르면, 공기 중에 노출된 부분이 파란색으로 변하는 거예요! 어떻게 파란색으로 변하는 걸까요?작년 11월, 독일의 라이프니츠 천연물 연구 및 감염 생물학 연구소의 클라우디우스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8화. 바이러스와 싸우는 군론수학동아 l2020년 08호
- 바이러스를 관찰해 연구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바이러스는 생물학적으로 굉장히 특이한 존재입니다. DNA 혹은 RNA 같은 유전 정보를 담은 핵산을 보호하는 단백질 껍질(캡시드)이 둘러싸고 있는 간단한 구조로, 스스로 번식하지 못합니다. 하지만 숙주 세포를 이용해 자신의 유전 정보를 복제하며 ... ...
- [기초과학의 힘] RNA 연구단,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완벽한 유전체 지도 완성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액세서리단백질(ORF3a, ORF6, ORF7a, ORF7b, ORF8)을 만드는 sgRNA가 여기에 해당한다. 일부 RNA에 특이한 화학적 변형이 일어났다는 점도 새롭게 밝혔다. RNA상에서 ‘수식현상’이라고 불리는 화학적 변형이 최소 41군데 관찰됐다. 김 연구원은 “적절한 대조군을 설정해 RNA에 화학적 변형이 일어났음을 ... ...
이전1819202122232425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