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특이"(으)로 총 2,099건 검색되었습니다.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8화. 바이러스와 싸우는 군론수학동아 l2020년 08호
- 바이러스를 관찰해 연구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바이러스는 생물학적으로 굉장히 특이한 존재입니다. DNA 혹은 RNA 같은 유전 정보를 담은 핵산을 보호하는 단백질 껍질(캡시드)이 둘러싸고 있는 간단한 구조로, 스스로 번식하지 못합니다. 하지만 숙주 세포를 이용해 자신의 유전 정보를 복제하며 ... ...
- STEP ③ 유전체 복제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보통 오류를 수정하는 기작이 없다. 코로나19의 원인인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만 특이하게도 잘못 결합한 RNA 염기를 복구할 수 있는 교정(proofreading) 기능이 있다. 사스코로나바이러스-2가 일반적인 RNA 바이러스에 비해서는 돌연변이가 적은 편이라는 뜻이다. 돌연변이가 많은 바이러스를 꼽자면 단연 ... ...
- 세포에 바이러스를 기억시켜라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질병에든 반응하는 선천(innate) 면역반응과, 한 번 노출된 질병을 기억해 해당 질병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후천(adaptive) 면역반응이 있다. 백신은 그 중 후천 면역을 이용한다.후천 면역반응은 외부에서 들어온 항원에 의해 활성화된다. 병원체가 인체에 침입하면 면역세포 중 대식세포나 수지상세포 ... ...
- [노벨상 수상자 특별 인터뷰] 피터 도허티 "백신 개발 전까지 코로나19는 위험한 질병"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수용체결합부위(RBD)가 결합하며 숙주세포 안으로 침투한다. 따라서 스파이크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단일클론항체(monoclonal antibody)를 이용한 예방이 가능하다. 면역 원리를 이용한 백신인 셈이다.우리 몸이 바이러스에 감염됐을 때 면역반응을 일으키며 항체를 만들어내는 것과 같은 ... ...
- 2002년 사스코로나바이러스┃ 만만했던 코로나바이러스 위력 처음 실감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단백질이다. ACE2도 체내 수분과 혈압을 조절하는 단백질이지만 ACE와는 다른 기질 특이성을 갖는다. 과학자들은 ACE2와 결합하는 항체나 물질로 사스 치료제나 백신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연구를 진행했지만, 2004년 7월 WHO가 사스의 대유행 중단을 선언한 이후 지금까지도 효과적인 ... ...
- STEP ② 숙주세포 침투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감염시키기 때문이다. 반면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의 경우 숙주세포의 CD4 수용체에만 특이적으로 결합한다. CD4 수용체는 T림프구 표면에서만 발견되는 단백질이다. 결과적으로 HIV는 도움 T림프구, 대식세포 등 특정 면역세포에만 결합해 면역 시스템을 교란시킨다.일단 바이러스가 숙주세포의 ... ...
- Chapter 04.면역┃ 인체를 지키는 면역세포 5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우리 몸의 면역세포가 항원을 먹어치우는 건 선천 면역반응에 해당하고, 항원에 특이적으로 맞서 싸우고 항원을 제거할 항체를 생성하는 건 후천 면역반응에 해당한다.오랜 기간 인간은 이런 면역시스템을 작동시켜 외부 물질의 침입을 막아오고 있지만, 항상 방어에 성공한 것은 아니다. 2019년 말 ... ...
- 1919년 바이러스 파괴하는 보체를 발견하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혈청 연구는 더욱 중요했다. 당시 과학자들은 병원체에 감염된 혈액에는 해당 병원체를 특이적으로 공격하는 항체가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벨기에 출신 면역학자인 쥘 보르데도 면역 혈청을 연구하고 있었다. 그는 면역 혈청을 체내에 주입했을 땐 혈청이 병원체를 공격하지만, 시험관에서는 ... ...
- 1972년 항체의 구조, Y를 알아내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분해하는 파파인 효소로 항체를 세 부분으로 나눴다. 이 중 두 개는 동일하며 항원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부분이었다. 나머지 하나는 항원과 결합에 관여하지 않는 부분이었다. 포터는 실험 결과를 토대로 동일한 두 부분은 Y의 가지 부분, 나머지 하나는 줄기 부분을 이룬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19 ... ...
- 2011년 선천 면역과 후천 면역의 시작을 알아내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유래 단백질을 인식해야만 각각 세포독성 T림프구와 형질세포로 활성화돼 항원을 매우 특이적으로 인식해 제거한다. 후천 면역반응의 핵심인 T림프구과 B림프구가 활성화되려면 수지상세포의 도움이 필수인 셈이다. 공교롭게도 스타인먼은 노벨상 수상 발표 사흘 전인 2011년 9월 30일, 약 4년 6개월에 ... ...
이전1920212223242526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