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geometry
기하
위상기하학
위상
유클리드기하학
유클리드
유크리드
뉴스
"
기하학
"(으)로 총 356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달의 KIST인'에 조영욱 선임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19.04.24
양자측정 시 반드시 반작용(양자 측정반작용)이 일어난다. 조 선임연구원은
기하학
적 위상 현상과 측정반작용이 서로 밀접한 관계라는 사실을 최초로 밝혀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피직스' 15일자에 발표됐다 ... ...
[주말N수학] 함수 품은 블랑망제 푸딩
수학동아
l
2019.04.20
직관적인 아이디어 양쪽 다 중요하지만 수학에서 이미지를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는
기하학
적 통찰력도 필요하다고 설명한 것입니다. 아직 배우지 못한 표현이나 기호, 개념이 많다고 수학을 탐구하는 일에 제한을 느낄 필요 없습니다. 톨의 말처럼 그냥 연필을 들고 자유롭게 상상하고 자신만의 ... ...
[인터뷰]"수학 난제 해결, 인내심도 좋지만 안풀리면 잠시 놓는 것도 방법"
수학동아
l
2019.04.20
부아쟁 교수는 아홉 자매 중 막내로 태어났다. 어린 시절 엔지니어인 아버지가 곧잘
기하학
을 알려줬지만, 부모님 누구도 공부하라거나 수학자가 되라고 강요하지 않았다. 고등학교 시절부터 진로에 관한 결정을 스스로 내리며 수학자의 길을 걸었다. 부아쟁 교수는 "부모님이 자매들을 일일이 ... ...
'과학은 예술로 통한다' 작품으로 다시 태어난 빅뱅머신
동아사이언스
l
2019.04.17
IBS 제공 2012년 '빅뱅의 증거' 힉스 입자의 흔적을 찾아냈던 역사적인 현장 CMS는 사실
기하학
적인 구조와 알록달록 색감을 자랑한다. 아직도 밝혀낼 것이 많은 우주의 비밀처럼 형형색색 신비롭다. ... ...
양자컴퓨터 구현할 양자물리계 핵심 두 개념 관계 밝혀
동아사이언스
l
2019.04.17
조 선임연구원은 “이번 연구결과는 큐비트 양자상태 및 검증에 활용될 수 있다”며 “
기하학
적 위상은 큐비트의 양자적 특성을 유지하는데 도움되기에 향후 양자컴퓨팅 분야 등 양자정보처리연구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피직스’ 15일자에 ... ...
[주말N수학] 수학 교과서는 거짓말쟁이
수학동아
l
2019.04.07
무작정 미워할 필요는 없습니다. 도리어 유클리드
기하학
을 잘 배워서 비유클리드
기하학
까지 공부하면 두 배로 유익합니다. 관련기사: 수학동아 4월호. 수학교과서는 거짓말쟁이? 진실 혹은 거짓 청문회에서 파헤친다! ... ...
'수학 노벨상' 아벨상 첫 여성 수상자에 '수학계 여성 롤모델' 울렌베커 교수
2019.03.20
이론’이다. 이를 기반으로 울렌베커 교수가 개발한
기하학
분석 도구는 현재 전 세계의
기하학
자와 분석자들이 활용하고 있다. 이후 울렌베커 교수는 1966년 필즈상 수상자이자 2005년 아벨상 수상자이면서 올해 1월 세상을 떠난 영국의 수학자 마이클 아티야 경에 영향을 받아 게이지 이론에 ... ...
빛 쪼이면 2분 안에 뚝딱, 회전하는 3D 프린터 나왔다
과학동아
l
2019.03.07
기계공학과 교수는 “새롭게 개발한 3D 프린터는 지지대가 필요하지 않아 다양한
기하학
적 모양의 물체를 만들 수 있고, 기존 방법보다 표면이 더 매끄럽게 제작된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1월 31일자에 실렸다. doi: 10.1126/science.aau7114 ... ...
일상용품을 예술 작품으로~ 마르셀 뒤샹의 ‘샘’
수학동아
l
2019.02.23
이는 본질적으로 뒤샹에게 다른 시각을 열어주는 기회로 작용했습니다. 뒤샹은 리만
기하학
에서 나오는 4차원의 개념을 수학적인 의미가 아닌 현재 3차원 세계를 ‘보충하는 차원’으로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때로는 색채를, 때로는 사랑이라는 감정을 4차원으로 여겼습니다. 이렇듯 ‘새로운 ... ...
핵융합 3파전…한국 인공태양이 최종 승자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2.21
유지하고 조절하기가 까다롭다. 독일의 스텔러레이터 W7-X의 내부 구조. 매우 복잡한
기하학
적 구조를 보인다. 이런 복잡성 때문에 연구개발이 늦었지만, 최근 속도를 내고 있다. 막스플랑크플라스마물리연구소 제공 이 가운데 먼저 좋은 성과를 내고 있는 것은 단연 토카막이다. 핵융합 주요 연구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