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식물
부식 상태
용식
주입
감화
부식품
소작
뉴스
"
부식
"(으)로 총 245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리뷰] 갤럭시S7의 핵심 기능, 캡리스 방수와 가상현실
동아닷컴
l
2016.03.14
수 있다. 전후면 강화유리와 부품 곳곳에 방수테이프 처리를 했고, 외부 케이스에는
부식
방지 코팅을 했다. 또한 모든 단자를 니켈과 백금으로 구성해 녹이 슬지 않게 했다. 방진/방수를 이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준비를 하지 않아도 된다는 뜻이다. 제품을 물속에서 꺼낸 후 바로 충전할 경우 감전의 ... ...
원자 하나까지 반응하는 ‘궁극의 촉매’ 개발
2016.01.27
전기화학 반응에 적용시키는 데 성공했다고 27일 밝혔다. 백금은 공기 중에서 쉽게
부식
되지 않고 색깔이 화려해 장신구 소재로 잘 알려진 귀금속으로 화학 분야에서는 촉매로 널리 쓰인다. 다만 가격이 비싸 들어가는 백금의 양을 최대한 줄이는 것이 관건이다. 이때 백금 입자의 크기를 줄이면 ... ...
태양전지도 ‘gold’ 시대
2016.01.25
최적의 크기라는 사실을 규명했다. 또 학계에서는 ‘아이오딘(요오드)계 전해질’이
부식
성이 강해 금 나노클러스터 태양전지에 사용되지 못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연구팀의 실험 결과 태양전지의 화학적 안정성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광전환 효율을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 ...
‘울퉁불퉁’한 유기태양전지로 세계 최고 효율 기록
2015.12.23
수집하는 층을 위에 뒀다. 문제는 양전하 수송층에 쓰이는 소재가 산성도가 높아 전극을
부식
시킨다는 점이다. 최근에는 양전하 수송층 대신 금속산화물로 된 전자수집층을 아래에 두고, 위쪽에 전자를 잘 내어주는 금속을 두는 유기태양전지 연구가 활발하다. 다만 이 경우 각 소재들이 잘 붙지 ... ...
플랙서블 티타늄, 3D몽타주…
2015.12.16
최종 선정했다. 재료연구소에서 개발한 ‘플렉서블 타이타늄 메탈’은 바닷물에도
부식
되지 않고 인체에 알레르기를 일으키지 않으며 강도가 뛰어난 점이 특징이다. 안경테나 골프채 재료로 쓰일 만큼 탄성력이 뛰어나고, 강도는 이론적으로 합금이 도달할 수 있는 수준의 70%에 이르러 현재까지 ... ...
아이폰과 영화 ‘터미네이터’의 공통점
2015.10.11
전문가는 “액체금속은 철보다 가볍지만 강도는 3배 이상”이라며 “일반 금속과 달리
부식
도 전혀 없어 다양한 형태로 손쉽게 가공할 수 만능물질”이라고 평가했다. ... ...
태양전지에 붙이면 효율 쑥 올라가는 필름 나왔다
2015.09.09
효율을 높이는 필름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연구진은 알루미늄 기판을 산화시킨 뒤
부식
시키는 공정을 통해 수십 나노미터(nm·10억 분의 1m) 두께의 나노선을 제작했다. 이 나노선은 스스로 조립되며 필름 형태가 되는데, 자세히 보면 여러 개의 산이 모인 것 같은 미세구조를 나타냈다. 이 ... ...
역구조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수명 연장 성공
2015.07.09
중성 소재로 그동안 역구조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에서 수명을 줄이는 원인이 됐던
부식
현상을 일으키지 않는다. 연구팀은 이 소재를 이용하면 균일한 결정을 가진 태양전지를 만들 수 있어 정공 수송 속도가 기존 역구조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보다 60배 빨라진다는 사실도 새로 알아냈다. ... ...
인천대교 ‘건강검진 시스템’ 24㎞ 말레이시아 최장 다리에도 적용
2015.05.26
페낭2교에 기존 교량계측시스템의 단점을 보완한 첨단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부식
에 약했던 금속 센서를 광섬유 센서로 대체해 반영구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했고, 기존보다 정밀한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을 적용해 교량 주요 부위의 위치 변화를 정밀하게 파악하도록 했다. 각 센서가 측정한 ... ...
빛으로 수소 만드는 효율 7배 높였다
2015.04.06
코팅한 결과 탄소나노소재가 산화아연 표면에 있는 산소 원자와 결합하면서 표면
부식
이 잘 일어나지 않았다. 또 빛을 흡수한 뒤 수소가 발생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전자가 이전보다 빠르게 이동해서 광촉매의 효율이 7배 이상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손 연구원은 “이번 연구 결과는 광촉매를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