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허가
통과
패스
가결
철조
뉴스
"
투과
"(으)로 총 593건 검색되었습니다.
캄캄한 재난현장에서 레이더 센서로 벽 너머 피해자 탐지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2.03
제한된 상황에서도 피해자를 빠르게 찾기 위한 센서 반도체기술을 연구했다. 전파의
투과
성능을 이용해 재난현장에서 장애물 뒤에 있는 피해자의 존재까지 파악할 수 있는 기술을 구현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연구진은 두 종류의 레이더 센서 반도체를 개발했다. 그중 하나인 임펄스 무선 ... ...
코로나 감염에 백신 접종 더하면 ‘슈퍼면역’...풍토병화 예상도
동아사이언스
l
2022.01.28
후 백신을 맞으면 '슈퍼면역'을 가지게 될 확률이 높다는 연구결과를 내놨다. 사진은
투과
전자현미경(TEM)으로 촬영한 코로나19 바이러스. 미국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걸린 후 백신을 맞으면 '슈퍼면역'을 가지게 될 확률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 ...
5000명중 1명 앓는 난치병 '미토콘드리아 질환' 치료 한 걸음 더 다가섰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1.20
탈이펙터 단백질보다 절반 이하로 작아 다양한 디자인이 가능하고 활용도 쉽다. 세포를
투과
하는 능력이 있어 핵산이 없이도 유전체를 바꿀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연구팀은 징크핑거 염기교정효소의 구조를 24가지로 만든 다음 미토콘드리아 DNA를 교정하는 데 가장 적합한 구조를 찾아냈다. 이를 ... ...
친환경 수소 생산 소자 만든 문주호 연세대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동아사이언스
l
2022.01.05
사용하면, 구조체의 기공 크기 제어를 통해 다양한 빛 흡수 물질을 이용해 적절한
투과
도와 높은 효율을 동시에 갖는 상부 전극의 제작이 가능하다. 즉, 재료 고유의 물리적 특성과 무관하게 태양전지가 흡수할 수 있는 빛 파장대와 광량의 정밀한 조절이 용이해 흡수층 재료 선택 범위가 넓어진다.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촉매 반응 활성 정량 분석 가능한 플랫폼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2.29
발광 분석이 어려운 나노 다이아몬드와 같은 ‘와이드 밴드갭 물질’ 분석을 위해
투과
전자현미경에 음극선 발광 검출기를 결합하는 새로운 분석법을 썼다.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의 지원을 받은 연구결과는 13일 국제학술지 ‘미국화학회(ACS) 나노’에 발표됐다 ... ...
백신 안통하는 오미크론 변이...새해 코로나 바이러스 진화 방향은
동아사이언스
l
2021.12.24
투과
전자현미경(TEM)으로 촬영한 코로나19 바이러스. 미국립알레르기감염병연구소(NIAID) 제공.미국립알레르기감염병연구소 제공. 지난달 말 등장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가 급속히 확산하며 각국에서 속속 우세종으로 자리잡고 있다. 과학자들은 코로나19 바이러스가 ... ...
국내 연구진 코로나19 잡는 인공광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12.23
투과
도가 높은 근자외선은 피부에 노출될 경우 질병을 유발한다. 반면 심자외선은 피부
투과
도가 낮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과학자들은 이에 따라 심자외선 LED 개발을 노력해왔다. 소재로 주로 질화알루미늄갈륨이 사용됐는데, 이 소재는 파장이 짧아질수록 발광 ... ...
증상은 경증·감염력 델타변이 2.5배 이상·재감염 위험…추가접종 통해 면역력 보완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1.12.05
투과
전자현미경(TEM)으로 촬영한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모습.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의 새로운 변이인 ‘오미크론’의 위협이 커지고 있다. 오미크론은 감염과 백신 면역에 연관된 스파이크 단백질에 집중적으로 변이가 생겨 기존 변이보다 ... ...
한국 과학기술 이끌 젊은 과학자 33명 '차세대과학기술한림원' 회원에 선출
동아사이언스
l
2021.12.01
저감기술 분야에서 혁신적 연구성과를 내고 있는 황윤정 서울대 교수, 유기연성소재의
투과
전자현미경(TEM) 분석법 개발 분야를 선도하고 있는 이은지 광주과학기술원(GIST) 교수 등 여성과학자 4인도 선출됐다. 정책학부에서는 김영환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연구위원, 박주영 고려대 교수가 ... ...
[랩큐멘터리] 2차원 물질이 만드는 공간, 에너지·환경 혁신 이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01
특성을 찾고 있다. 대표적인 2차원 물질인 이황화몰리브덴 조각을 적층시켜 만든 막을
투과
하는 물질 전달 양상을 연구하고 있다. '3세부 연구실'에서는 앞선 연구실에서 합성한 멤브레인 소재를 에너지기술과 환경기술에 적용하기 위해 공학적으로 디자인하고 실험을 통해 검증한다. 해수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