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농도
밀집 상태
비중
에너지밀도
에너지
에네르기
빽빽함
스페셜
"
밀도
"(으)로 총 357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페이스X 스타링크 위성들 지구 위협하는 소행성 발견 방해" 美 연구팀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0.03.25
책임연구원은 이에 대해 “태양 근처 방향으로 망원경이 향해야 (관측되는) 소행성의
밀도
가 높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지구 근처 소행성은 주로 화성과 목성 사이에 펼쳐져 타원 궤도를 따라 태양을 돈다. 타원 궤도의 중심을 태양이라고 하면 타원의 중심에서 떨어진 지구에선 태양쪽을 ... ...
20번 빨아 쓰는 마스크·치료용 항체 개발했다는데 당장 못쓰는 이유
2020.03.24
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인 미세한 필터를 만드는 기술을 확보하고 섬유 종류와 두께,
밀도
등을 조절해 KF80~KF95까지 여과 성능을 낼 수 있는 필터를 개발했다고 소개했다. 연구팀은 이와 함께 “하루 1500매 생산하는 제조 설비도 갖췄다”며 마스크 품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소개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폐열의 빛으로 전기 만든다
2020.03.24
결과 350도 열원에서 나온 적외선으로 제곱센티미터 당 61마이크로와트의 최대 전력
밀도
를 얻는 데 성공했다. 에너지변환 효율은 0.4%에 불과하지만 기존 열광전지 장치로 얻을 수 있는 값의 수십 배에 해당한다. 연구자들은 이번에 개발한 열광발전 시스템이 기존 반도체 소재와 기술을 이용한 ... ...
20번 빨아도 재사용 가능한 마스크용 나노필터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16
1nm는 10억 분의 1m)인 미세한 필터를 만드는 기술을 확보하고, 여기에 섬유 종류와 두께,
밀도
등을 조절해 KF80~KF95까지 여과 성능을 낼 수 있는 필터를 만들었다. 이 필터는 에탄올을 이용해 살균 세척을 20번 반복해도 여과효율이 94%까지 유지됐고, 손세탁을 하거나 4000번 구부려도 구조가 변하지 ... ...
삼성전자, 車배터리 크기 줄이는 '전고체전지' 혁신기술 공개
연합뉴스
l
2020.03.10
안전성과 수명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기존보다 배터리 음극 두께를 얇게 만들어 에너지
밀도
를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리튬이온 전지보다 크기를 절반 수준으로 줄이는 특징을 갖췄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임동빈 마스터는 "전기자동차 주행거리를 혁신적으로 늘리는 핵심 ... ...
"북한 코로나19 발생 가능성...치명률 높지만 대규모 전파 없을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03.05
방문해 건강을 미리 관리하는 예방의학 시스템이 구축돼 있다"며 "또 한국에 비해 인구
밀도
가 낮은 데다, 지역간 이동이 자유롭지 않으므로 방역과 봉쇄가 비교적 쉬워 지역간 전파도 잘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 내 코로나19 퍼진다면 치명율 높을 것 3월 4일 현재 전 세계 80개국에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자연의 무심함에 대하여
2020.02.25
빈도가 높아질 거라는 단순한 수식인 ‘전파 속도 = 감염자 수 × 전파 가능 숙주
밀도
× 운(우연)’에 기반한 결론일 뿐이다.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김우주 교수는 ‘신동아’ 3월호에 실린 인터뷰 기사(2월 14일 진행)에서 “지역 사회 감염 전파가 시작되고 나면 국경 강화의 가치가 뚝 ... ...
[표지로 읽는 과학] 뒤틀린 신경 키워 성장 발판으로 삼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22
주변 암세포를 자극해 암 조직의 성장을 돕는다. 연구팀은 이같은 발견을 토대로 신경
밀도
가 암 예측의 새로운 지표가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 연구팀은 암세포가 아드레날린성 신경을 이용하는 만큼 이 신경을 억제하는 특성을 갖는 고혈압 치료제 ‘카베딜롤’을 생쥐에게 투입했다. 그 결과 ... ...
[강석기의 과학카페]스트레스는 어떻게 흰 머리카락을 늘리나
2020.02.18
배선의
밀도
차이로 보인다. 어떤 이유에서인지 몸(또는 두피)에 분포한 교감신경 뉴런의
밀도
가 일정하지 않다. 교감신경 배선이 촘촘하게 깔려 스트레스 반응으로 방출된 노르아드레날린 농도가 높은 부위의 줄기세포가 더 민감하게 반응해 먼저 고갈된다는 말이다. 피부 멜라닌세포는 수명 ... ...
눈사람 모양 소행성 '아로코스' 두 소행성 뭉치며 생겼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5
존 스펜서 미국 사우스웨스트연구소 우주연구부 연구원팀은 아로코스의 분화구
밀도
를 토대로 표면이 형성된 시기가 최소 40억 년 전이라고 밝혔다. 윌 그룬디 미국 애리조나주 로웰천문대 연구원팀은 천체의 표면은 물질이 균질하고 메탄올 얼음과 탄소를 함유한 유기물질을 가져 붉은 빛을 띤다고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