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농도
밀집 상태
비중
에너지밀도
에너지
에네르기
빽빽함
스페셜
"
밀도
"(으)로 총 357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 킬로그램, 130년 만의 전진
2019.06.27
놀랍기도 하다. 2018년에야 자연표준으로 바꾸기로 결정할 수 있었던 이유는 충분한 정
밀도
를 확보하기 위해서였다. 국제도량형국의 질량 및 관련량 자문위원회에서 제시한 재정의 필요조건은 독립적으로 3개 이상 실험으로 구한 플랑크 상수 값들이 1억 분의 5 이내로 일치해야 하며 그 중 최소 ... ...
[강석기의 과학카페]사람마다 '약발' 다른 이유는 장내미생물
2019.06.25
관련해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 있다. 어떤 약물의 대사는 특정 박테리아의 존재나
밀도
보다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의 양에 더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28명의 분변 시료에서 얻은 장내미생물 배양액에 딜티아젬을 넣어 대사되는 정도를 분석한 결과 박테로이데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손가락 비율은 과학적 근거가 있을까
2019.06.11
건 약지의 뼈가 남성호르몬에 더 민감한 결과일지 모른다. 아마도 남성호르몬 수용체의
밀도
가 더 높지 않을까. 그럼에도 아직 정확한 이유는 모른다. 그런데 손가락 비율 이야기는 여기가 끝이 아니라 이제 시작이다. 손가락 비율은 검지와 약지의 길이를 재면 쉽게 알 수 있기 때문에 이런 ... ...
'스마트시티는 미래 도시의 대안인가' 스마트시티MP·공학계 원로 '갑론을박'
동아사이언스
l
2019.06.05
대해서는 “고려하겠다”며 “이미 자연에 순응해 지형을 보존하면서 약간의 고
밀도
로 개발하는 방안을 채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초고층은 에너지 효율 면에서 자립이 어렵고 경관을 해쳐 장기적으로 상황을 봐서 추진할 계획을 밝혔다. 정 교수는 “스마트시티의 성공 여부를 결정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체이면서 동시에 초유체인 물질은 정말 존재할까
2019.06.04
‘피지컬리뷰레터스’에 실린 논문을 소개한다. 이번 실험을 이해하려면 ‘물질의
밀도
변이가 주기적인 상태’로 고체의 개념을 넓혀야 한다. 여러 원자로 이뤄진 방울이 주기적인 구조를 형성하는 상태(고체)에서 초유체 현상이 나타나 초고체가 존재함을 증명했다는 것이다. 양자 기체 ... ...
항우연·한국석유관리원, ‘누리호’ 엔진 전용 연료 함께 개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29
새롭게 만드는 개념은 아니고, 정유사에서 만든 연료 가운데 보다 고급으로 평가 받는
밀도
가 높은 연료를 한국석유관리원이 발굴해 누리호 엔진용으로 공급하는 방식이다. 항우연 관계자는 "러시아 등 항공우주 선진국에서는 별도의 시설을 이용해 전용 연료를 만들어 쓰기 때문에 실험 데이터 ... ...
몸속 뼈 건강 유지하는 핵심 유전자 발견···골다공증 치료 새 길
동아사이언스
l
2019.05.28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골다공증이 유발된 생쥐실험에서도 HIF-2α가 결핍되면 골
밀도
가 증가되고 파골세포 형성이 감소했다. 류 교수는 “조골세포와 파골세포의 분화 및 활성에서 HIF-2α가 뼈 항상성을 유지하는 과정을 명확하게 밝힌 연구”라며 “비정상적인 골 흡수 및 골 생성 장애에 따른 ... ...
'리틀포레스트는 허구?' 도시보다 농촌 비만 더 심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9
2008년부터 농촌에 사는 인구가 세계 인구의 50% 밑으로 떨어졌다. 농촌의 비만 인구
밀도
가 도시보다 높다는 뜻이다. 연구팀은 이런 경향이 저개발국이나 개발도상국 등 중저소득 국가에서 더 심하다는 사실도 밝혔다. 증가된 농촌 비만 인구의 80%는 중저소득 국가에 집중돼 있었다. 비만의 ... ...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황제펭귄 무리가 사라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6
추운 계절이나 폭풍이 볼 때는 이보다 빼곡하게 수천~수만 마리가 모여 있다. 모여 있는
밀도
는 일정하기 때문에, 위성 촬영으로 면적을 알면 대략적인 개체수를 구할 수 있다. 사진제공 NOAA 남극에서 두 번째로 큰 황제펭귄 집단의 개체수가 지난 3년 사이에 갑자기 1만 마리 이상 줄어들면서 군집이 ... ...
[표지로 읽는 과학] 태양계 기원 간직한 소행성
동아사이언스
l
2019.04.21
형성된 원시 행성임을 추정할 수 있는 결과다. 류구의 지형적 특성도 분석됐다. 류구의
밀도
는 1㎝당 1.19g이고, 내부에 구멍이 50% 이상으로 많은 소행성이다. 가파르게 형성된 표면의 경사도 류구가 만들어질 당시 현재 자전 속도의 두 배로 돌면서 암석들이 뭉쳤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