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농도
밀집 상태
비중
에너지밀도
에너지
에네르기
빽빽함
스페셜
"
밀도
"(으)로 총 357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티븐 호킹은 왜 노벨상을 받지 못 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3.14
위원회로서도 검증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을 주기는 곤란할 겁니다. 호킹 박사는
밀도
가 무한한 '특이점'은 충분히 있을 수 있는 현상이란 점을 수학적으로 증명, 오늘날 빅뱅 이론의 정착에 기여했습니다. 이를 통해 우주의 시작이 있었으니 종말도 있으리란 사실을 제시하며 우주에 대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 시대를 풍미한 과학자 스티븐 호킹을 기리며...
2018.03.14
단계가 있었음을 뜻하기 때문이다. 호킹은 “수축하던 우주가 높지만 유한한 어떤
밀도
에 이르러 다시 팽창하기 시작했는가?”라는 물음에 대한 답을 찾았고 이해 저명한 이론물리학자 로저 펜로즈가 증명한 특이점(singularity)에 주목했다. 특이점은 죽음을 맞이하는 별이 특정 반지름까지 수축하면 ... ...
시간과 우주 수수께끼 풀러...스티븐 호킹 박사 별로 떠나다
2018.03.14
이론을 접목하며 우주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개척했다. 그는 블랙홀의 중심에 있는
밀도
가 무한대인 점을 말하는 ‘특이점’(singularity)을 우주 전체에 적용, 우주가 팽창하고 일반상대성 이론이 참이라면 이 우주 전체가 하나의 특이점에서 탄생했어야 한다는 이론을 수학적으로 증명하는 논문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글은 왜 벌거숭이두더지쥐에 주목했나
2018.02.06
대사 지표가 특별한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왔다. 세포를 들여다봐도 미토콘드리아의
밀도
나 유전자 발현 패턴 등이 나이에 관계 없이 안정적이다. 또 DNA 복구 메커니즘도 거의 완벽하게 유지되고 있다. 다만 벌거숭이두더지쥐가 암에 걸리지 않는다는 얘기는 지난 해 암에 걸린 개체의 사례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카페라테의 유체역학
2018.01.02
바뀌는 계단식 아가로스 젤을 만들 수 있다. 연구자들은 아가로스를 4% 함유한 용액을
밀도
가 높은 소금물에 부어 레이어드 액체를 만든 뒤 이를 식혀 굳힌 멀티레이어드 아가로스 젤을 얻었다. 연구자들은 이 기술이 식품이나 조직공학 등 다양한 연성물질(soft material) 분야에 응용될 것으로 ... ...
백두산은 과연 어떻게 생겨났나?... BMW vs 판구조론 격돌
동아사이언스
l
2017.09.27
위치한 해구 밑으로 파고드는 과정에서 탈수 작용으로 물이 생긴다. 이 물로 인해 맨틀
밀도
가 떨어져 위로 상승할 때 물이 뜨거워져 한곳에 모이면서 마그마 방(房)을 형성하며, 이후 에너지가 축적되다 폭발해 백두산이 생성됐다는 설명이다. 이는 현재 동북아 지역의 화산 생성 과정을 설명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객성과 신성과 초신성
2017.09.05
태양의 0.26~1.5배인 별은 핵융합 반응이 끝나면 수축해 크기가 지구만한 백색왜성이 된다(
밀도
는 지구보다 훨씬 높다). 물론 태양도 이런 운명을 맞을 것이다. 그런데 홀로인 태양과는 달리 많은 별이 쌍성계를 이루고 있다. 만일 두 별 사이의 거리가 가깝고(근접쌍성계라고 부른다) 하나가 질량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내미생물을 활용해 건강하게 살 방법은?
2017.08.08
보내야 한다. 침팬지가 사람에 비해 상대적으로 몸통이 훨씬 큰 이유도 이처럼 영양
밀도
가 낮은 음식을 잔뜩 먹어야하기 때문이다. 미국 하버드대의 영장류학자 리처드 랭엄은 2009년 펴낸 책 ‘요리 본능’에서 침팬지가 즐겨 먹는 열매나 씨앗, 잎을 먹어본 경험을 들려준다. 예를 들어 침팬지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린 어떻게 습기를 느낄까
2017.07.25
이들 습도수용체는 어떻게 습도를 인식해 활성화될까. 습도란 공기 중의 수증기(물분자)
밀도
인데 그 차이가 수용체 단백질의 구조에 영향을 주는 것일까. 연구자들은 논문에서 이 부분은 여전히 미스터리라면서도 그럴듯한 메커니즘을 제안하고 있다. 즉 습도가 높으면 더듬이의 큐티클이 습기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에너지, 당분간은 천연가스에 기대야 할까...
2017.07.11
액체처럼
밀도
가 높을 때도 기체처럼 행동한다. 초임계유체 이산화탄소는 수증기보다
밀도
가 훨씬 높아 강력한 힘으로 터빈을 돌릴 수 있기 때문에 기존 증기터빈의 10분의 1 크기로도 같은 전력을 낼 수 있다. 터빈을 빠져나와 다시 기체가 된 이산화탄소는 컴프레서에서 압축돼 연소기로 가고 일부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