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습"(으)로 총 8,578건 검색되었습니다.
- 얼꽝 용승이 인스타그램 스타 만들기 대작전!수학동아 l2017년 06호
- 공간에 있는 물체를 2차원 평면인 사진으로 옮기는 거야. 그래서 사진 속 물체는 실제 모습보다 입체감이 떨어질 수밖에 없어. 연예인의 실물이 더 예쁘고 잘생겨 보이는 이유도 사진이 뚜렷한 이목구비를 잘 표현하지 못하기 때문이지. 사진 속에서도 입체감을 살리고 싶으면 빛을 비추는 각도를 잘 ... ...
- [DJ CHO의 롤링수톤] 걸어 다니는 오케스트라 한스 짐머의 ‘오일러 방법’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사운드트랙’이라는 개념이 나타납니다.◀ 곡 작업을 하고 있는 한스 짐머의 모습. 한스 짐머의 멋진 스튜디오도 화제가 됐었다.사운드트랙은 영화에 들어가는 모든 소리를 통칭하는 말입니다. 음악을 비롯해 각종 효과음과 목소리 등도 포함하지요. 엄밀히 말하면 영화 음악은 사운드트랙의 ... ...
- [Origin] 명상은 과학이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자기 의지와 상관없이 예기치 못하게 반응하게 된다(브루스 후드, ‘지금까지 내가 알던 모습이 모두 가짜라면’).알파파 늘리고 스트레스 줄이는 마음빼기 명상명상은 ‘나를 돌아보는 것’이다. 나를 돌아보면 내가 살아오면서 쌓아왔던 수많은 기억들이 영화 한 편처럼 지나간다. 이때 나를 ...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7년 06호
- 77km가 나왔던 모양이다. 하지만 “난폭하게 몸부림치는 다랑어의 행동이 다랑어 본연의 모습이라고 볼 수 없다. 설사 이를 용인하더라도 낚싯줄이 끌려가는 속도가 얼마나 정확하게 어류의 유영 속도를 나타냈는지에 대해서는 아무도 판단할 수 없다.”(117쪽)바이오로깅이 물리학과 생태학의 ... ...
- [가상인터뷰] 하루에 2시간 자는 아프리카 코끼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폴 맹거 위트워터스트랜드대 교수팀은 야생 아프리카코끼리가 생활하는 모습을 35일 동안 관찰했어요. 그 결과 아프리카코끼리가 하루에 평균 2시간 자며, 심지어 46시간 동안 잠을 자지 않을 때도 있단 사실을 알아냈죠.이렇게 오랫동안 잠을 자지 않을 땐 30km 이상을 이동했답니다. 그리고 보통은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3] 농구 선수 ‘ 순시카네 꼬를너’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겨워 눈물이 핑 돈 썰렁홈즈. 하지만 ‘순시카네 꼬를너’는 무언가 계산을 하느라 바쁜 모습인데….아슬아슬하게 퍼즐을 먼저 풀었지만, 자유투 넣기에는 실패한 썰렁홈즈. 안타까운 마음을 다잡는데…. 그때! 갑자기 아나운서의 목소리가 들려왔다. “네네! 자유투 던지기 전에 전광판을 봐 ... ...
- 실리콘밸리&스탠퍼드대 프리미엄 미래 인재 캠프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언론을 통해 여러 전문가가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해야 한다’고 인터뷰하는 모습을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2016 세계경제포럼의 주제도 4차 산업혁명이었을 정도입니다. 1차, 2차, 3차에 이은 4차 산업혁명은 로봇 공학,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3D 프린팅 같은 IT기술을 기초로 합니다. 첨단 기술 그 ... ...
- [Photo] 마법의 돌 ‘녹지 않는 얼음’ 석영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금홍석이나 적철석, 전기석 등 여러 종류의 광물을 결정 안에 가둬 다양하고 신비스런 모습을 빚어낸다.이처럼 다양한 석영의 변종 광물은 인류 문명을 풍요롭게 만들었다. 3, 4월호에 소개한 플린트나 흑요석은 도구로써 초기 인류에게 실용적인 도움을 줬다.내 손목 위에도 수정이 있다과학적인 ... ...
- Part 3. 최고의 빵 만드는 ‘태양의 손’은 누구?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빵들은 그다지 커지지 않았다.빵을 반으로 갈라보니 생이스트를 넣은 빵끼리도 단면의 모습이 달랐다. 반죽을 굽는 동안 칼로 그은 부분에서 수증기가 더 빨리 더 많이 빠져나갔기 때문이다. 그래서 칼집이 난 부분의 안쪽에는 구멍이 크게 생긴다. 칼집을 하나만 내 커다란 구멍 한 개가 뻥 뚫려 ... ...
- [과학뉴스] 고양이 발바닥과 랍스터가 반짝!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고양이 발바닥 성운(NGC 6334, 오른쪽 위)’과 ‘랍스터 성운(NGC 6357, 왼쪽 아래)’의 모습이 담겨 있지요. 원래 이 성운들은 1837년 영국의 천문학자 존 허셜이 처음으로 발견했어요. 하지만 당시의 망원경으로는 성운들의 대략적인 위치 정도만 판단할 수 있었지요.망원경으로 본 두 성운이 모두 밝고 ... ...
이전2262272282292302312322332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