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모
생김새
모양
외모
형상
외관
양상
d라이브러리
"
모습
"(으)로 총 8,57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베일에 싸였던 ‘나선형 천체’ 비밀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결과, 실제로는 4~5겹의 양파 껍질 같은 구조를 이루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006년에 알려진
모습
은 입체적인 물체를 평면에 투영해서 본 것이기 때문에 나선은하처럼 보였던 것이다.연구팀은 두 개의 쌍성이 타원궤도를 돌면서 구성 물질을 방출하고 있기 때문에 이런 나선 껍질 구조가 형성됐다는 것 ... ...
[Future] 위조할 수 없고 빼돌릴 수도 없는 양자지폐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통과하는 순간 그 기준을 잊어버리고 새로운 판단 조건에 맞는 측정값으로 자신의
모습
을 드러 낸다”고 설명했다. 위스너가 제안한 양자지폐의 개념은 돈이 갖는 고유 일련번호를 양자역학적 특성(편광)으로 정보화해 표현한 것이다. 한 예로 이달에 있는 제19대 대통령선거일인 ‘509’를 ... ...
[Future] 꽁꽁 언 그곳의 생명 비결 ‘얼음 화학’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위성 유로파를 상상한
모습
.유로파를 뒤덮은 얼음을 매개로 생명의 기원이 되는 분자가 합성될 수 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2025년 목성의 위성 유로파에 착륙선을 내리겠다고 지난 2월 밝혔다. 유로파는 10~100m의 얼음으로 덮여 있는데, 여기서 생명체의 기원이 되는 물질이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 ...
[Issue] 개나리와 벚꽃이 동시에… 봄꽃이 미쳤다?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꽃풍년’이었습니다. 꽃잎 날리는 벚나무 아래에 개나리가 노란 자태를 뽐내는
모습
이 얼마나 아름답던지요. 이런 풍경은 1980년대 이전까지만 해도 절대 볼 수 없던 풍경입니다. 과거에는 개나리가 피고 한 달이 지나야 벚꽃이 피었기 때문입니다. 어쩌다 봄꽃들이 동시다발적으로 개화하게 된 ... ...
[과학뉴스] 하늘을 걷는 신종 원숭이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4호
새로운 원숭이 종을 발견했다고 발표했어요. 이 신종 원숭이는 움직이는
모습
이 마치 하늘을 걷는 것처럼 보여 ‘스카이워커(skywalker) 훌록 기번스’라는 이름을 갖게 됐답니다.이 원숭이는 지난 2008년 중국 남서부와 동부 미얀마 사이의 숲 속에서 처음 발견됐어요. 이후 연구팀은 미국자연사박물관 ... ...
Part 3. 해저 광구 탐사, 무인잠수정이 책임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4호
실장“ 인공지능 잠수정이 바다를누빌 거예요”게의
모습
을 본떠 만든 생체모방형 ROV‘크랩스터’가 지난 해 12월 약 5000m 수심에서 성능 검증을 마쳤어요. 크랩스터는 기존의 ROV와 달리, 다리 관절을 이용해 게처럼 기어다니거나 헤엄칠 수 있어요. 그래서 해류가 강한 환경에서도 쓰러지지 않고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두근두근 비밀 편지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4호
우리는 ‘본다’라고 느껴요. 그런데 휘어진 빛이 시각 세포를 자극하면 실제와는 다른
모습
을 보게 되기도 해요. 이런 현상을 ‘굴절’이라고 부른답니다.음료수 잔의 빨대가 꺾여 보이거나, 물속에서 헤엄치고 있는 물고기를 손으로 잡기 힘든 이유가 바로 굴절 때문이에요. 물에 의해 빛이 휘면서 ... ...
[포토 뉴스] 초고속 진공 열차 ‘하이퍼루프’ 테스트 현장 첫 공개
과학동아
l
2017년 04호
2017’에서 미국 네바다 사막에 건설 중인 하이퍼루프 테스트 시설 ‘데브루프’의
모습
을 공개했다. 하이퍼루프는 스페이스X와 테슬라의 설립자인 일론 머스크가 2013년 처음 제안한 미래형 운송수단이다. 하이퍼루프의 기본 원리는 진공에 가깝게 기압을 낮춘 긴 튜브에 사람이 탑승한 유선형 ... ...
[Future] 행성 중력 이용해 우주 탐사해 볼까
과학동아
l
2017년 04호
프랑스령 기아나의 쿠루기지에서 발사한 스마트-1 달 탐사선에 장착된이온엔진의 가동
모습
을 그린 상상도. 스마트-1호는 달에서 3년간의 임무를 마친 뒤, 2006년 9월달 남반구 표면 화산분화구인 ‘엑설런스 호수’와 충돌한 뒤 소멸됐다. +더 읽을거리in 과학동아 31년 기사 디라이브러리(정기독자 ... ...
뇌 속 내비게이션의 길 찾기 전략 4
과학동아
l
2017년 04호
넓은 잎을 가진 굴참나무와 낡은 의자가 있었는데…’처럼 예전과 달라진 공간의
모습
도 바로 가려낸다.전략 1 ‘내 위치’를 먼저 확인한다길을 찾으려면 무엇이 필요할까. 일단 내가 어디에 있는지 알아야 한다. 뇌에는 이렇게 내 ‘위치’를 담당하는 세포가 있다.대뇌의 좌·우 측두엽 안쪽에 ... ...
이전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