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야"(으)로 총 7,602건 검색되었습니다.
- 연꽃과 도마뱀 키우는 기계공학자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반도체를 가공하는 기술을 이용해 섬모를 만들었는데, 접착력이 부족했다. 다른 분야에 쓰던 공정을 그대로 사용해서는 섬모 끝의 주걱같이 생긴 구조를 따라 만들 수 없었던 것이다. 알고 보니 이 주걱 구조가 접착력의 핵심이었다.당시 박사과정 학생이었던 정 교수는 기존 반도체 공정에 자외선을 ... ...
- [지식] 무엇이든 붙여 드립니다~!수학동아 l2015년 06호
- 강력 접착제는 일상생활에서는 물론, 산업, 공업, 학문을 넘어 범죄 수사와 의료 분야에도 도움이 되고 있다. 이런 활약이 가능할 수 있었던 건 분자의 무한한 가능성 덕분이 아닐까 ... ...
- [재미] 103년 전 발견한 보이니치 문서 외계인 문서의 미스터리수학동아 l2015년 06호
- 이 단어들은 천문이나 인체 부분에서는 키워드로 꼽히지 않았다. 보이니치 문서가 분야마다 특정한 주제를 가지고 쓰였다는 증거다.일각에서는 13세기 당시 연금술사들이 노하우를 정리해 놓은 것이라고 주장한다. 다른 사람들이 이 책을 손에 넣어도 비법을 절대 훔칠 수 없도록 자기들만 알아볼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공학과 의학의 만남이 인공피부를 만든 거죠”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바이오, 화학 공정 등 다양한 분야의 교수님이 계십니다. 기초 수업을 들으면서 어떤 분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나중에 본인의 세부 전공을 정하면 됩니다 ... ...
- [과학뉴스] 호암재단, 5월에 노벨상 수상자 초청 강연회 열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이날 강연회에서 ‘췌장 섬세포 생물학과 당뇨’라는 의학계의 중요 이슈와 함께, 과학 분야에서 창조적 상상력을 발휘할 수 있는 방법 등에 대해 이야기할 예정이다.서울시교육청·성균관대·호암재단이 공동주최하는 이번 강연회는 한국 청소년들에게 노벨상 수상자를 만날 수 있는 기회를 ... ...
- [Knowledge] 펨토초 엑스선으로 본 세상, 분자가 결합하는 찰나를 포착하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재현한 것이다. 즈웨일 교수는 이 연구로 1999년 노벨 화학상을 받았다. 그가 창시한 이 분야는 ‘펨토화학’이라 불리게 됐다.펨토화학은 이후 꾸준히 진화했다. 그 중심에 즈웨일 교수의 제자였던 이효철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물질및화학반응 연구단 그룹리더(KAIST 화학과 교수)가 있다. 1994년 ... ...
- [지식] 2015 아벨상 수상자 존 내시, 루이스 니렌버그수학동아 l2015년 05호
- 이르러 훨씬 다양한 목적에 활용 가능하도록 발전했다”며, “비선형 편미분방정식 분야의 모든 연구에 이들이 영향을 미친 셈”이라고 밝혔다.2015 아벨상 시상식은 오는 5월 19일 노르웨이의 수도 오슬로에서 열린다. 내시 교수와 니렌버그 교수는 상패와 함께 상금 600만 크로네(약 8억 4000만 원)를 ... ...
- INTRO. 응답하라! 1990과학동아 l2015년 05호
- 허나 과학기술만큼은 복고를 허락하지 않는다. 첨단을 향해 가장 거침없이 달려 나가는 분야가 바로 여기니까. 오늘만큼은 우리도 잠시 멈춰서 뒤를 돌아보자. 우린 어떤 과학기술을 누리고 살아왔을까. 어떤 과학기술을 꿈꿨을까. 플로피 디스크와 에반게리온이 있었던 90년대엔.▼관련기사를 계속 ... ...
- PART 1. 토요일 토요일은 과학이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아니면 우리가 만들어낸 환상이었을까.] 표준화를 향한 과학기술의 질주과학기술 분야에서 다양성은 장점이자 단점이다. 특히 대량생산을 해야 하는 상업용 기술 시장에서는 다양함보다는 ‘표준’이 우선시 돼야 한다. 이 표준은 어떻게 만들어지는 걸까.표준은 다양한 초기 기술들이 서로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하다] 무선전력전송, 피 안 뽑는 혈당측정기 만든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다행히 체온이 0.3℃밖에 안 오르더군요.” 캡슐형 내시경 연구는 작년 12월 전자파 분야의 권위지인 ‘국제전기전자기술자협회 마이크로파이론및기술(IEEE-MTT)’에 실렸다.캡슐형 내시경, 심장박동기, 혈당측정기, 인공시신경 등 무선전력전송기술을 적용할 차세대 의료기기는 무궁무진하다. ... ...
이전2262272282292302312322332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