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뉴스
"
빛
"(으)로 총 4,075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존 광통신망으로 10배 빠른 인터넷 구현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7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정 프로젝트리더팀은 광통신망에 들어오는
빛
이 약해도
빛
에 실린 정보를 깨끗이 읽고 복원할 수 있는 ‘고속 광수신 모듈’ 기술을 개발해 인터넷 정보 송수신 과정의 효율을 높였다. 여기에 광섬유로 전달되는 정보를 아주 짧은 시간에 처리해 지연을 방지하는 ... ...
액정 ‘결함’ 이용해 고성능 센서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7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하지만 최근 들어 이런 액정의 구조 변화가 오히려
빛
을 제어하는 광학 성능, 탄성 같은 구조적 기능을 향상시킨다는 결과가 잇따라 나왔다. 문제는 구조 변화가 일어난 액정 일부 성분을 제품 속에 일관성 있게 분포시키기 까다롭다는 점이다. 연구진은 ... ...
인공근육 제여하는 인공신경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6
만들어 하나로 연결했다. 실험 결과 인공 생체 시스템은 마치 한 몸처럼 움직였다.
빛
자극을 받게 되면 인공 생체 시냅스가 인공 신경을 통과해 인공 근육섬유까지 신호를 전달했다. 이렇게 신호를 받은 인공근육 섬유는 수축한다. 인공신경의 핵심기술인 ‘유기 나노선’은 최대 100%까지 ... ...
레이저로 ‘우주 등대’ 만든다
과학동아
l
2018.11.26
11월 5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레이저로 태양의 적외선보다 10배 이상 강한
빛
을 내는 인공조명을 만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구경 30m 망원경과 2MW급 레이저로는 4.23광년 떨어진,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항성 ‘프록시마 센타우리’에서 탐지 가능한 신호를, 구경 45m 망원경과 1MW급 레이저로는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매번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당신은 '마이너리티'
2018.11.25
되어 있습니다. 아마 조선시대에는 기발한 생각을 하며 모험을 좋아하던 사람이 크게
빛
을 보지 못했을 것입니다. 조상 대대로 물려받은 땅에서 조상 대대로 물려받은 방식으로 묵묵히 농사를 짓고 사는 편이 안전하죠. 하지만 이러한 주장은 좀 이상합니다. 농업 혁명은 아시아뿐 아니라, 인도와 ... ...
[암호기술 혁명]⑤드론 해킹 동형암호로 차단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4
단적으로 보여준다. 동시에 온 세상이 사물인터넷(IoT)으로 연결될 미래가 결코 장밋
빛
일 수만은 없다고 경고한다. 때문에 3~4년 전부터 제어기술 연구자들 사이에서는 제어 시스템을 해킹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는 보안 기술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증가했다. 심형보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 ...
[암호기술 혁명]③생체정보 철벽 보호하며 2.5초 만에 신원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18.11.24
비교는 단순히 숫자를 비교하는 방식은 아니다. 동일한 사람이라도 촬영할 때마다
빛
의 세기, 촬영 방향, 각도 등에 따라 홍채 정보가 조금씩 다를 수 있는 만큼 ‘해밍 거리(Hamming Distance)’를 계산해 본인 여부를 확인한다. 해밍 거리는 정보를 구성하는 이진수 두 개에서 동일한 자리끼리 숫자를 ... ...
한국 연구팀, ‘자원 천국’ 그린란드서 납-아연 묻힌 5곳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3
가 운용 중인 팔사(PALSAR) 등의 지상 분광관측용 인공위성이 사용됐다. 인공위성에 기록된
빛
의 파장을 분석하면 지상에 있는 대략의 자원 구조를 알 수 있는 원리다. 먼 외계 행성의 토양 구조를 알아낼 때도 비슷한 방법을 이용한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리모트 센싱’ 최신호에 게재됐다. ... ...
과학창의재단, 과학콘텐츠 제작 지원 대상 40개작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8.11.20
중단편 부문에서 대상을 받았다. - 동아시아 제공 ‘관내분실’과 ‘우리가
빛
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등 과학소설(SF)로 지난해 ‘제2회 한국과학문학상’ 중단편 부문에서 대상과 가작을 동시에 수상해 화제가 된 포스텍 화학과 출신의 김초엽 작가가 정부 과학문화 콘텐츠 육성사업의 ... ...
곤충 눈 구조 모방한 초박형 카메라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0
분야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
빛
: 과학과 응용’ 10월 24일 자에 게재됐다. KAIST 연구진이 개발한 초박형 디지털 카메라를 통해 얻은 영상(왼쪽)과 제노스 페키의 시각기관을 통해 얻은 영상(오른쪽). KAIST 제공. ... ...
이전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