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뉴스
"
빛
"(으)로 총 4,075건 검색되었습니다.
여성 과학자로 사는 건 ‘산넘어 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1.11
전자공학 센터에서 연구하는 제스 웨이드 박사예요. 저는 이곳에서 유기화합물을 이용해
빛
을 내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를 개발하고 있답니다. Q 위키피디아에 여성 과학자에 대한 글을 쓰시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영어 위키피디아의 인물 항목 중 여성을 다루는 글은 겨우 17.7%에 ... ...
스마트폰 大화면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18.11.10
디스플레이를 스마트폰 모양에 최대한 딱 맞게 재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때
빛
을 발하는 기술이 플렉서블(휘어지는) 디스플레이다. 이 본부장은 “얇은 플라스틱 기판과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로 만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면 스마트폰에서 둥근 모서리와 모퉁이도 곡면으로 재단할 ... ...
6개국 과학자 "중성미자 검출기로 비핵화 검증 가능"(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18.11.09
물리학자들이 원전 주변에 검출기를 설치해 성질을 연구하고 있다. 한국은 전남 영광 한
빛
원전 주변에서 ‘리노(RENO)’, ‘네오스(NEOS)’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이번에 6개국 물리학자들은 이 중성미자를 검출하는 기존의 실험시설 기술을 그대로 이용해 북한 영변 원자로 약 800m 지점 지하에 ... ...
시야 넓고 몰입감 높은 AR 렌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1.06
그대로 보여주지만
빛
의 파장보다 더 크기가 작은 무늬를 물질표면에 새겨 넣어
빛
의 굴절을 원하는 대로 제어할 수 있다. 시스루 메타렌즈는 얇고 가벼워 증강현실 안경의 접안렌즈로 이용하면 기존 방식에 비해 시야각을 크게 넓힐 수 있다. 기존 렌즈들과 달리 사용자의 눈 바로 앞에 ... ...
실험실에서 키운 망막 오가노이드
과학동아
l
2018.11.06
자랐다. 연구팀은 이를 다시 9개 월 동안 키워 망막으로 만들었다. 이 망막 오가노이드는
빛
에 반응하며, 공을 반으로 자른 모양으로 지름은 약 2mm다. 연구팀은 이 망막 오가이드가 망막을 형성하 면서 색상을 감지하는 원추세포를 형성하는 과정도 관찰했다. 기존에 알려진대로 푸른색을 감지하는 ... ...
핵전쟁부터 AI까지 인류 생존 위협하는 10가지 위험
연합뉴스
l
2018.11.06
슈퍼화산이 폭발하면 주변 주민의 생명을 앗아가는 것은 물론 화산재와 연기가 태양
빛
을 가로막아 농업을 파괴하고 환경에도 해를 주게 된다. ◇ 양날의 칼 지구공학 = 지구공학은 지구 대기를 조절해 기후변화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있다. 카네기 기후 지구공학 관리 연구소의 ... ...
메타물질로
빛
주파수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4
바꿀 수 있어 광산업분야에 큰 혁신을 가지고 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민 교수는 “
빛
의 주파수 변화를 자유롭게 설계하고 예측할 수 있어 폭넓은 활용이 가능하다”며 “광학 분야 연구에 새 방향을 제시하게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성과는 광학분야 국제 학술지 ‘네이처 ... ...
지구 닮은 행성 존재 알리고 은퇴하는 케플러 우주망원경
2018.11.03
어떻게 주기적으로 변화하는지를 검색하기 위해 이러한 관측법을 씁니다. 기준 항성의
빛
이 얼마나 차단되었는지 그리고 변화가 얼마나 오랫동안 지속되는지에 따라 행성의 크기와 궤도 거리와 같은 기본적인 특성을 알아낼 수 있습니다. 과학자들은 행성의 밝기가 저하되는 정도와 시간 등을 ... ...
우주팽창 설명한 '허블의 법칙'이름 바뀐다…새 이름 ‘허블-르메트레 법칙’
동아사이언스
l
2018.11.02
박 교수는 “과거에는 강대국이 아닌 약소국의 과학자들이 이룩한 업적이 상대적으로
빛
을 못 본 사례가 많았다”며 “추후 논문이 발견됐거나 당시 약소국의 요청에 의해 국제적으로 종종 재평가하는 투표가 진행되기도 한다”고 덧붙였다. IAU도 자료를 내고 “법칙의 물리적 설명과 증거는 ... ...
우리은하, 100억년전 위성은하 먹고 자랐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2
올해 초 공개된 가이아의 22개월치 측정 자료를 바탕으로 태양 주변 약 10킬로파섹(
빛
의 속도로 3만3000년 가야 하는 거리)에 있는 약 700만 개의 별들의 움직임을 3차원 공간 속에 배치하고 각각의 별의 속력과 움직이는 방향의 변화를 파악했다. 연구 결과 관측한 별들 중 약 3만 개가 다른 별들과 ... ...
이전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