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루
끌채
픽
뉴스
"
채
"(으)로 총 3,828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오부탄올 100년 만에 빛 보나
2016.10.10
공동으로 연구해 지난 2012년 학술지 ‘엠바이오’에 실은 논문은 발표된 지 4년이
채
안 된 현재 105회 인용됐을 정도로 획기적인 내용이다. 지난 9월 29일 GS칼텍스는 여수에 세계 최초로 2세대 바이오매스를 쓰는 바이오부탄올 시범공장을 착공했다. 내년 말 완공될 예정인 이 공장의 생산성에 ... ...
연봉이냐, 저녁이 있는 삶이냐 - 연봉 낮춰서 이직하는 경우
2016.10.09
현 회사에 남기로 하는 분들이다. 그렇다면, 처음 이직을 고려했던 상황은 개선되지 않은
채
계속 그 회사에 남아 같은 문제로 고민하고 힘들어 할 수밖에 없다. 결국 하나를 얻으려면 다른 하나는 버려야 함을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되는 순간이다. GIB 제공 ● 연봉 대신 무엇을 얻을 것인가 흔히 ... ...
여우를 사냥한 독수리 ‘화제’
2016.10.07
공유 사이트에서 큰 주목을 받은 이미지입니다. 거대한 날짐승이 네발짐승을 붙잡은
채
밀밭 위를 날아가고 있습니다. 신기합니다. 동화의 한 장면이라고 해도 될 것 같습니다. 사진은 호주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 레이크 발리에 사는 농부 스콧 벨이 촬영한 것입니다. 이 진귀한 장면이 촬영된 ... ...
집 나간 며느리도 돌아오는 ‘2016 가을 전어’
동아사이언스
l
2016.10.07
먹고 사는 덕에 식물성 먹이를 먹는 다른 물고기와 달리 역한 냄새가 나지 않아 내장
채
로 구우면 전어 특유의 풍미가 살에 배면서 진짜 전어의 맛을 느낄 수 있답니다. ... ...
태풍과 인류: 태풍에 대비하는 건강한 마음가짐
2016.10.06
부서지고, 일부 지역은 정전 피해를 입었다고 합니다. 특히 경주지역은 지진의 피해가
채
가시지도 않은 상태에서, 태풍이 다시 덮치는 바람이 피해가 더 큰 것 같습니다. 조속한 피해복구와 함께, 앞으로는 더 이상의 피해가 없기를 기원합니다. ● 인류세의 시작? 우리는 홀로세(Holocene)을 살고 ... ...
[2016 노벨 화학상]세상에서 가장 작은 기계, ‘분자 기계’
동아사이언스
l
2016.10.05
데 성공했다. 그림 3. 프레이서 스토더트는 고리형 분자가 막대형 분자에 꿰어진
채
양끝을 왕복해 움직이는 분자 기계를 만들었다. 이 움직임은 열에너지를 통해 미세하게 조정이 가능하다. - 노벨상위원회 제공 1994년 이래 스토더트팀은 다양한 로탁세인을 이용해 수많은 분자 기계를 ... ...
[2016년 노벨 화학상]‘가장 작은 기계’ 만든 과학자 3명 공동수상
2016.10.05
묶어놓은 것과 같다. 카테네인은 외부에서 화학적인 자극을 주면 고리는 그대로 연결된
채
두 분자가 구조를 바꾸며 움직인다. 스토더트 교수는 1991년 두 번째 분자 기계인 ‘로탁세인(rotaxane)’을 개발했다. 로탁세인은 얇은 실 모양의 분자에 고리형 분자를 꿴 분자다. 그는 이 로탁세인을 ... ...
초인적인 벼락치기, 성공 비법은…?
과학동아
l
2016.10.05
방법 등이 떠오르지 않아 ‘멘붕’에 빠져버렸다. 결국 파일을 절반도 완성하지도 못한
채
뜬눈으로 해가 뜨는 걸 구경해야만 했다. 이때 벼락치기를 망친 원인은 순식간에 해결해야 할 일에 대해 익숙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마감을 앞두고 해야 할 일을 순식간에 해치울 수 있는 비법 중 하나는 ... ...
[2016 노벨 생리의학상] 日과학자의 자가포식 메커니즘 발견
2016.10.03
유도했다. 그의 전략은 먹혀 들었다. 처음으로 자가포식을 발견한지 1년이
채
되지 않았을 때 그는 자가포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첫 번째 유전자를 발견했다. 그는 다음 실험에서 자가포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전자들이 만들어내는 단백질의 기능을 분석했다. 그 결과 다양한 단백질들이 ... ...
5가지 키워드로 본 한반도 지진
과학동아
l
2016.10.01
것이 1988년부터다 보니 실제로는 적용되지 않은 건물이 많기 때문이다. 서울에만 66만
채
에 이른다. ‘신속한 경보’만이 살 길이라는 말이 나오는 이유다. 해외에서는 스마트폰을 이용해 지진을 예보하고 조기경보한다. 미국지질조사국이 개발한 지진 조기경보 시스템 ‘셰이크얼러트’는 사람들이 ... ...
이전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