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공위성
텔스타
우주선
첨성
달별
뉴스
"
위성
"(으)로 총 3,267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에서 본 일제 강제징용 상징 ‘군함도’
동아사이언스
l
2019.02.27
일제시대 강제징용지였던 일본 하시마 섬(군함도)의 모습. 다목적실용
위성
3호로 지난 13일 촬영했다. 사진 제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일본 남서쪽 나가사키 항 ... 일제 시대 강제징용지 가운데 하나였던 러시아 사할린 코르사코프 항구. 다목적실용
위성
3A호로 작년 4월 촬영했다. 사진 제공 ... ...
UAE 첫 우주인 곧 탄생…러시아 소유즈호 타고 우주정거장으로
동아사이언스
l
2019.02.26
10월 독자적으로 만든 첫
위성
을 발사하기도 했다. ‘칼리파샛(KhalifaSat)’이란 지구관측
위성
으로 일본에서 발사됐다. UAE 우주청은 UAE 건국 50주년을 기념해 2020년에 화성탐사선을 발사해 2021년에 도착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모하메드 알 아바비 UAE 우주청장의 모습. UAE우주청 제공 ... ...
"미세먼지,20여년간 감소 추세…인식 격차 줄여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2.26
배출량이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다”며 “중국은 자료가 선진국 수준으로 도달했고
위성
등을 통한 일부 연구 지표는 우리보다 앞서 있지만 한국 과학자들도 과학적으로 중국과 논의할 수 있는 시기에 도달했다”고 말했다. 이정용 환경부 푸른하늘기획과 팀장이 정부의 미세먼지 대책 ... ...
위성
추력기·성냥갑만한 미세먼지 측정기…창업 아이템된 논문·특허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2.22
참가자들은 저마다의 아이템을 열심히 홍보하며 관람객들의 발길을 잡았다. 관람객이
위성
스타트업 '우주로'의 설명을 듣고 있다. 조승한 기자 shinjsh@donga.com 고려대 ‘요리로’는 3D 식품 프린터로 만든 파스타와 디저트를 부스에 늘어놓았다. 부스에서는 “조리가 당장 필요없는 고구마무스나 ... ...
양자정보통신 진흥 종합계획 추진
동아사이언스
l
2019.02.21
생성까지 가능한 중국의 ‘양자통신실험
위성
(QUESS)’. 중국 국립우주과학센터(NSSC) 제공. 양자역학을 기반으로 데이터 암호화에 쓰이는 양자통신이나 양자 컴퓨팅 등 양자정보통신 기술과 산업을 중장기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양자정보통신 진흥 종합계획(가칭)’이 수립된다. ... ...
해왕성 14번째 초미니
위성
발견 “40억 년 전 충돌로 형성”
동아사이언스
l
2019.02.21
‘나이아드’를 재발견하는 부수적 성과도 얻었다. 연구팀은 “트리톤과 해왕성 사이의
위성
들이 충돌로 형성됐다는 기존 이론을 뒷받침하는 연구 결과”라며 의의를 설명했다 ... ...
"머신러닝 과용이 과학에 위기를 불러올 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19.02.17
연구팀이 머신러닝 기술을 이용해 아프리카 지역의 야간 조명을 도시, 물, 농경지의 주간
위성
이미지와 비교했다. 이를 통해 아프리카 지역의 전기수급 상황 및 경제 활동을 추측했다. 머신러닝은 최근 몇 년 사이 과학 연구에 빠지지 않고 사용되는 기술이 됐다. 하지만 머신러닝 기술을 거친 ... ...
토성의 ‘절대 고리’가 사라진다
2019.02.16
학술연구교수 행성 천문학자. 경희대 우주과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토성의
위성
타이탄을 주제로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달 표면의 우주풍화 현상과 편광 특성을 연구하며 모교에서 학술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관련기사 : 과학동아 2월호 [SPACE] 토성의 ‘절대 고리’가 ... ...
"우주에서 전기 만들자" 우주 태양광 연구에 세계가 뛰어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5
갖는 한국은 원전을 대체할 청정에너지를 찾는 게 쉽지 않다”며 “발사비용,
위성
구조 개선과 경량화, 전력전송효율 개선 등 수많은 난관이 있지만 국제사회와 협력하면 새로운 성장에너지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수고했어. 오퍼튜니티"
동아사이언스
l
2019.02.14
인해 태양광 패널에 모래가 쌓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없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NASA는
위성
사진을 통해 모래폭풍이 걷힌 것을 확인한 이후 지속적으로 교신을 시도했지만 실패했다. 지난 8개월 동안 600번 이상을 교신을 시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NASA는 12일 오후 마지막 교신을 시도했다. 마지막 ... ...
이전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