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공위성
텔스타
우주선
첨성
달별
뉴스
"
위성
"(으)로 총 3,267건 검색되었습니다.
美핵미사일 발사장에서 3D프린팅 로켓 날아오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0
수 있지만 테란1은 그보다 훨씬 작은 준중형 승용차 한 대에 해당하는 약 1250㎏의 인공
위성
을 지구 저궤도에 올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오는 2021년을 발사를 목표로 개발 중인 한국형발사체 누리호의 탑재중량 1500㎏과 비슷한 수준이다. 릴래티비티 스페이스의 목표는 단순히 로켓을 ... ...
"토성 고리들 형성 시기는 1억∼1천만년 전"
연합뉴스
l
2019.01.20
토성 고리의 총질량은 1.54×10^19㎏(10의 19제곱㎏)이며 이는 지름이 390㎞인 토성의
위성
'미마스' 질량의 40% 정도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이런 질량을 토대로 고리들이 토성이 형성된 45억년 전이 아니라 1억∼1천만년 전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며 과거에는 고리 질량이 지금보다 더 컸을 것으로 ... ...
북한 비핵화 검증기술 개발 추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18
핵무기 비축량 감축 및 검증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를 통해 제안했다. 그는 "최근
위성
영상 분석을 통해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북한, 이란 등의 핵 시설과 우라늄 농축 활동을 밝혀냈다는 데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다"며 "빅데이터 분석과 인공지능(AI) 기술은 향후 이런 감시능력을 강화시켜 줄 ... ...
세계 첫 인공 유성우 2020년께 일본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18
레나 ALE 대표는 “인공 유성우는 천문학과 엔터테인먼트를 결합한 것"이라며 "발사된
위성
도 지구 궤도를 최대 2년간 돌다 별똥별로 떨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의 엡실론 4호기가 18일 오전 9시 50분에 발사에 성공했다.-JAXA ... ...
남극 빙하 사라질 위기…韓·美·英 주도 국제 남극 프로젝트 시동
동아사이언스
l
2019.01.18
미국과 영국, 한국이 주도하는 국제 협력단은 2021년까지 바다와 맞닿아 빠르게 녹고 있는 서남극의 스웨이츠 빙하(왼쪽 사진) 정밀 탐사에 ... 도달한다는 목표다. 극지연구소 해수면변동예측사업단 연구자들이 남극 빙하에서
위성
위치확인시스템(GPS) 센서를 설치하고 있는 모습. - 극지연 ... ...
태풍 예상진로 발표간격 '24시간→ 12시간'…홈페이지 '워룸' 형태로 개편
동아사이언스
l
2019.01.17
근해에선 내비게이션으로, 연근해는 무선 단파방송으로, 먼바다에서는 천리안
위성
2A호를 활용해 가까운 바다부터 먼바다까지 촘촘한 기상정보를 제공하기로 했다. 도로 폐쇄회로(CC)TV 카메라 영상과 기상관측 자료를 통합해 눈이나 비가 오거나 안개가 꼈을 때 도로 위험을 알리는 고속도로 ... ...
'디지털소통 강화한다더니'… 잠자는 과기정통부 유튜브
동아사이언스
l
2019.01.17
미치지 않는 조회수다. 과기정통뷰 유튜브 채널에 업로드된 놓치면 후회하는 천리안
위성
2A호 발사 전과정 공개 동영상. 유튜브 화면 캡처. 다른 동영상도 사정은 비슷하다. 세간의 관심이 큰 '슬라임'에 관한 영상인 ‘[투머치 사이언스] 슬라임에 숨겨진 과학’은 한 달간 조회수가 243회로 그나마 ... ...
中, 창어4호 달착륙 당시 영상 공개…표면 온도 측정 돌입
동아사이언스
l
2019.01.14
이 영상은 오작교라는 이름의 ‘췌차오’
위성
을 통해 지구로 보내졌다. 췌차오
위성
은 탐사선이 달 뒤편으로 갈 경우 지구와의 직접 교신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지난해 6월 별도로 발사됐다. '창어 4'가 촬영한 비디오에서 캡쳐한 본 카르만 크레이터의 모습. 중국국가항천국 제공 창어 4호는 ... ...
전국 17개 시·도 전부 대기환경기준 초과…최대 3.9배로 웃돌아
동아사이언스
l
2019.01.14
공동 대기 질 조사(KORUS-AQ)’에서도 이와 비슷한 사례가 관측된 적이 있다. 항공기와
위성
, 선박, 지상관측소를 총동원해 전국 대기 질을 관측한 건 아직까지 당시가 유일하다. 당시 연구에 참여한 김세웅 미국 어바인 캘리포니아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는 “한반도에 고기압이 자리하면서 ... ...
中, 창어 4호가 찍은 달 뒷면 파노라마 사진 첫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9.01.13
촬영한 것이다. 이 사진은 지구와 달 뒤편을 다 볼 수 있는 위치에 있는 통신중계
위성
'췌차오(오작교)‘를 거쳐 지구로 전송됐다. 달은 공전 주기와 자전 주기는 27.3일로 같아 달의 뒷면에서 지구와 직접 교신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중국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해 5월 췌자오를 ... ...
이전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