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리
대행
대변
대표
대치
대체
대리인
d라이브러리
"
대신
"(으)로 총 5,629건 검색되었습니다.
괴물 탄도탄은 지그재그로 난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물질로 로켓 표면을 감싸면 아무리 많은 열을 받아도 온도가 그 이상 올라가지 않는다.
대신
감싼 물질이 조금씩 녹아 사라지는데, 짧은 시간 동안 탄두를 보호하기에 충분하다. 뾰족한 패스트포인트 방식에 많이 쓰인다.최근에는 마찰열을 극대화시켜 오히려 무기로 이용하려는 연구도 있다. 이 ... ...
모든 비과학에 맞선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도킨스는 철학자 데 이비드 흄의 말을 빌어 “기적이 불가능하다고는 말하지 않는”다.
대신
“기적을 개연성이 낮은 사건으로(즉 일어날 확률이 낮은 사건으로) 보고 다른 가능성과 비교해 보자”고 주장한다.‘파티마의 기적’도 마찬가지다. 1917년, 포르투갈 파티마에서 소녀 세 명이 마리아가 ... ...
과학영재·글로벌 리더 ‘더’ 뽑는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뛰어나고 종합정성평가 결과도 좋으면 모집인원의 일정비율은 기초수학능력 구술면접
대신
종합다면면접(기존 다면면접+수학교과 관련 기초수학능력평가)을 받도록 합니다. 학생들이 우수성 입증 자료로 주로 무엇을 제출합니까? 과학고나 영재학교 학생들은 R&E 결과물 등 제출할 것이 많습니다. ... ...
Part4. 인삼 약효도 장내미생물 덕분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복합체인 천연물 약품의 경우 장에 흡수돼 혈관으로 들어가지 못하는 성분이 많지만
대신
장내미생물에 영향을 미쳐 결과적으로는 인체에도 작용한다는 말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제2의 나, 장내미생물Part1. 당신의 장유형은 무엇입니까?Part2. 말도 안되는 배들 4SPart3. 정신건강까지 ... ...
초강력 레이저 쏴 인공태양 밝힌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생각을 확 바꾼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나왔다. 1억℃의 핵융합 물질을 직접 용기에 담는
대신
아무 것도 없는 허공에 띄워 가두자는 것이다. 방법은 2가지, 자기장을 이용하는 것과 초강력 레이저를 이용해 가두는 것이다(자기장을 이용한 핵융합 실험로가 대덕연구단지에 있는 케이스타(KSTAR)다).이 중 ... ...
곤충의 몸도 뚫는 거미의 송곳니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점이다. 끝부분이 반대 부분에 비해 거의 두 배 더 단단했다. 끝부분은 키틴이 적은
대신
아연과 염소 이온의 농도가 높았다. 아연 이온은 송곳니 안에 있는 단백질 간에 결합을 단단하게 하는 역할을 해 내마모성과 강도를 높인 것이다.연구팀은 “거미의 송곳니 구조가 생각했던 것보다 복잡하고 ... ...
불타는 얼음 정말 불내나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이산화탄소 밀어 넣어 메탄 뽑아낸다치환법은 메탄이 있던 자리에 다른 기체를
대신
밀어 넣어 하이드레이트 구조를 파괴하지 않고도 메탄을 생산하는 기술이다. 에너지원인 메탄을 생산하면서 동시에 화석연료 부산물인 이산화탄소를 저장할 수 있어 그야말로 꿩도 먹고 알도 먹는 기술이다. ... ...
꽃집 장미는 모두 성형미인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식물체가 갖고 있지 않은 유전자를 넣어주려면 유전공학 기술을 사용해야 한다.보형물
대신
유전자를 집어넣는 유전자 조작기술불가능. 바로 파란 장미의 꽃말이다. 꽃말만큼이나 푸른 장미를 교배육종으로 만들어내는 것은 불가능하다. 앞서 말했듯 장미에 애당초 푸른색 색소를 만들어내는 ... ...
“과학의 매력은 어렵다는 것”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수식도 함께 풀었다고 덧붙였다. 대중을 위한 과학서적은 수식을 쓰지 않기 위해
대신
길고 장황한 설명으로 지면을 할애하는데, 일단 수식을 풀고 나면 수학의 명료함 덕분에 이해하기가 더 쉬워진다는 것. 그런데 해당 과학을 전공하는 대학생들도 외우기 싫어하고 풀기 싫어하는 것들을 ... ...
국내 최강 IT기술 이제는 바다로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숨은 잠수함 한 대만 쫓던 러시아는 얻을 수 없는 성과였죠.”김 교수는 단일 대상
대신
떼 지어 다니는 물고기, 여럿이서 함께 움직이는 스쿠버다이버들을 동시에 추적하려는 과정에서 신기술을 얻었다고 설명했다. 양국의 융합연구가 이룬 첫 번째 쾌거다. 수중 GPS 기술이 향상되자 연구팀은 ... ...
이전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