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찬성
저항
이의
상반
역
항쟁
항거
d라이브러리
"
반대
"(으)로 총 4,967건 검색되었습니다.
여름바다의 낭만 등대의 모든 것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치우쳤다는 뜻이므로 선수(배의 머리)를 오른쪽으로 돌려야 한다. 붉은색 표식은
반대
로 배를 왼쪽으로 돌려야 한다. 노란색과 검색이 섞여 있는 부표는 동서남북의 방위를 표시할 때 쓴다. 붉은색+검은색 부표는 막다른길을 뜻하고 붉은색+흰색 표식은 안전 지역을 나타낸다.광파표지에도 비슷한 ... ...
가장 빠른 반도체를 디자인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기술이었다.정 교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절에 들어가 매달리는 사람도 있지만, 난
반대
”라며 “막판까지 미뤄놓다가 마지막에 멋진 아이디어를 내놓은 셈”이라고 말했다.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을 때도 그랬다. 그는 프로젝트 발표 3일을 남겨놓고 떠오른 아이디어로 ... ...
“평범한 우등생보다 잠재력이 중요”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비해 올해 뽑은 학생들이 적극성, 자기주도적 사고력 분야의 점수가 의미있게 높았다.
반대
로 부정적이거나 소극적인 성격, 사회성이 약한 성격은 크게 줄었다. 교수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도 비슷하다. 올해 신입생이 수업 시간에 보여 주는 태도에 대해 조사한 결과 낙천적이고 ... ...
슈퍼히어로의 천리안 위성 따라잡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준비 완료! 정지궤도까지! 2주간의 긴 여행현재 모든 준비를 마친 천리안 위성은 지구
반대
편 남아메리카 대륙의 ‘기아나’라는 작은 나라의 쿠르 우주센터로 옮겨져 5월로 예정돼 있는 발사를 기다리고 있다. 천리안 위성은 최대 9.6톤이나 되는 무게를 하늘위로 쏘아 올릴 수 있는 아리안 5호 ... ...
PART 4 아름다운 수학의 결정체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더하거나 땅밑을 보강하는 방법 등을 추천받았지만, 최종 선택한 의견은 기울어진
반대
편의 흙을 파내는 방법이야. 그 결과 현재 피사의 사탑은 기울기를 멈추고, 수직에서 3.9m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첨성대가 기운다!배재대학교 연구팀은 우리나라의 첨성대가 북쪽으로 7.2cm, 동쪽으로 2.4cm ... ...
앵무새의 정리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북극점에 선을 그으면 삼각형이 됩니다. 이 삼각형의 내각의 합은 180°가 넘습니다.
반대
로 180°보다 작을 때도 있습니다. 말안장과 같이 생긴 곡면에 삼각형을 그리면 내각의 합이 180°보다 작습니다.이처럼 평면이냐 곡면이냐에 따라 우리가 아는 기하학이 달라집니다. 보통 평면 위에 있는 도형의 ... ...
물속으로 얼음이 가라앉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물질이다.물의 신비라고 하면 우리가 몰랐던 뭔가 새로운 것이겠지 싶지만 사실은 전혀
반대
다. 오히려 우리에게 너무나도 익숙한 점들이다. 두 번째 물의 특징은 물의 밀도가 4℃에서 가장 높다는 점이다.보통 물질은 온도가 높아지면 부피가 팽창하고 밀도는 줄어든다. 온도가 떨어지면 부피는 ... ...
염색의 진화, 쪽빛부터 카멜레온까지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낮으면 색상이 어두워진다. 그 결과 주변 열을 많이 흡수해 몸을 따뜻하게 유지한다.
반대
로 기온이 높으면 색상이 밝아져 열의 흡수를 막아준다. 직물 표면에 색소와 발색제, 소색제가 든 마이크로캡슐이 붙어 있기 때문이다. 높은 온도에서는 소색제에 녹아 있는 색소가 발색제와 결합하지 못해 ... ...
뱅글뱅글 도는 태풍의 모양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불며 공기가 이동하는 것이다. 이때 바람은 중심을 향해 직선으로 불지만 실제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휘어져 들어온다. 지구가 자전하며 생기는 힘인 전향력 때문이다. 따라서 태풍의 모양은 바람개비가 도는 모양과 비슷한 나선모양이 된다. 한편 한가운데 동그란 구멍은 태풍의 눈이다. 태풍의 ... ...
100% 예측은 어려워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있다는 결정론적 세계관을 주장했다. 라플라스는 모든 현상을 선형으로 보는 수학자였다.
반대
로 프랑스의 수학자 푸앵카레는 모든 현상은 뚜렷한 원인과 결과로 나타낼 수 없는 복잡한 체계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두 사람 모두 그 시대를 대표한 최고의 수학자였지만 서로 다른 생각을 했다 ... ...
이전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