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찬성
저항
이의
상반
역
항쟁
항거
d라이브러리
"
반대
"(으)로 총 4,967건 검색되었습니다.
F1머신은 왜 비행기 날개를 거꾸로 달았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날개를 거꾸로 달아놓은 것 같은 모양이다. 양력을 받아 공중에 뜨려는 비행기의 원리를
반대
로 이용하는 셈이다. 또 머신 바닥에 붙은 ‘디퓨저’와 앞바퀴에 붙은 ‘배지 보드’는 차체에 공기 소용돌이가 생기지 않도록 들어오는 공기를 빠르게 후미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일반적으로 F1의 우승을 ... ...
지구온난화, 엘니뇨에 영향 준다는 근거 없어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있었다.불규칙적이긴 하지만 동태평양의 수온이 평년보다 올라가는 엘니뇨는 이와
반대
현상인 라니냐와 번갈아가며 나타난다. 이는 ‘남방진동(인도양과 적도 부근 태평양에서 일어나는 기압변동)’과 밀접하게 연결되면서 ‘엘니뇨 남방진동(El Nino-Southern oscillation, ENSO)’이라는 현상을 ... ...
part2, 목적에 따른 글쓰기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한다는 점. 범위가 너무 방대한 경우에는 실험할 내용이 너무 많아서 시간이 오래 걸고,
반대
로 주제가 너무 간단한 경우에는 심도 있는 연구를 할 수 없다. 주제를 정할 때는 선생님이나 전문가의 조언을 받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시간 계획과 팀 구성이 중요 연구 활동 자체는 생각보다 어렵지 ... ...
전자를 이용한 로렌츠 힘의 응용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읽고 물음에 답하라. (가) 전류는 단위시간당 전하량의 흐름으로 전자의 이동방향과
반대
로 정의된다. 도선 내부에는 수많은 전자가 브라운 운동을 하는데 전원을 연결하지 않을 경우 평균적으로 제자리에 위치한다. 전류가 발생하기 위해서는 도선 양쪽의 전기적 위치에너지를 다르게 해 전자가 ... ...
나무의 숨겨진 힘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옮겨 심자마자 비료를 듬뿍 주는데, 이는 나무에게 도움이 되는 것일까. 그렇지 않다.
반대
로 나무가 살 수 없게 만드는 일이다. 나무가 땅에 뿌리를 내려 무기염류를 물관에 저장하기도 전에 비료를 주면 땅의 수분포텐셜이 낮아진다. 그러면 나무의 뿌리를 통해 수분이 빠져나가서 죽어버릴 수 ... ...
가격 차별의 매력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비싼 요금을 내는 고객을 늘리기 위한 통신회사의 전략이다.휴대전화 요금과
반대
의 경우도 있다. 가정집에서 쓰는 전기요금이 대표적이다. 많이 쓰면 쓸수록 요금을 비싸게 만들어 전기를 아끼도록 한 정책이다. 한 달에 300kWh을 쓴 가정과 301kWh을 쓴 가정의 전기요금을 계산해 보자.300kWh 가정 : 1430 ... ...
‘4대강 살리기’ 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수문 하나의 폭이 30m에 불과하다. 이렇게 큰 수문이 강 곳곳에 설치되다 보니 사업에
반대
하는 학자들로부터 운하의 전 단계가 아니냐는 의심을 받기도 한다. 40m면 한강 대형 유람선의 15배 무게인 5000t짜리 배가 지나다닐 수도 있는 폭이기 때문이다.우리가 서 있던 도남서원이 있는 강의 서쪽은 흙만 ... ...
수학 퍼즐에 빠진 철학자, 마틴 가드너의 삶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대표주자였다. 카르납 교수 덕분이었을까. 이때부터 가드너는 근거가 희박한 유사과학을
반대
하는 자세를 취하게 된다. 또 수학과 결합한 철학에 집중했으며 과학 전반에 관심을 갖게 됐다.1년간 대학원을 다닌 가드너는 프리랜서 작가 활동을 시작한다. 여러 잡지에 글을 기고하던 그는 미국의 유명 ... ...
좋은 곳 어디에나 함께해 줘~!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이 도로의 이름은 바로 7번국도. 우연인지 몰라도 참으로 멋진 이름이 붙었다. 7번 국도와
반대
로부산에서 남해와 서해안을 따라 가는 길도 아름다운만큼 7번 못지않다. 그래서인지 이 도로의 이름은 77번국도다. 총 연장 1288km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긴 국도기도 하다.기업에서도 숫자 7은 가장 좋은 ... ...
1936년 한스 셀리에 박사의 스트레스 현상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셀리에를 회고한 한 글에서 “그의 주장은 단순히 사적이고 직관적인 이유로 지지되거나
반대
됐다”고 썼다.학계의 거리두기와는 별도로 산업계는 셀리에 교수의 스트레스 이론에 높은 관심을 보였다. 특히 2차 세계대전을 겪으면서 군대는 스트레스에 주목했는데, 군인들의 스트레스 관리가 ... ...
이전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