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력
전류
전원
전자
결정적 단계
장편소설
장편물
d라이브러리
"
전기
"(으)로 총 5,041건 검색되었습니다.
달려라! 녹색 자전거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비슷해 보이지만 휘발유를 쓰지 않아 오염이 없고, 페달만으로도 움직일 수 있다.
전기
자전거의 구조 마지막 도전이런 이런, 아직 자전거가 익숙하지 않은 종희! 보다 못해 지도사 선생님께서 다시 기초부터 차근차근 가르쳐 주시기 시작했어요. 특별 훈련의 성과가 있어야 할 텐데….❶ 자전거 끌기 ... ...
② 꼼꼼히 계산하면 친환경 보인다.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석유나 천연가스와 같은 화석연료로 만든다. 수도권의
전기
열차는 결국 화석연료로 만든
전기
로 달리는 셈이다. 환경을 지키려면 정말 꼼꼼한 계산이 필요하다.911 테러가 미국 날씨에도 영향을?!2001년 9월 11일 미국 뉴욕에서 최악의 비행기 테러가 일어나자 미국연방항공청은 3일 동안 미국 전체 ... ...
쓰나미 뚫고 통가 해저자원 탐사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체험하고 싶은 마음에 그냥 들어갔다. 소음은 상상 이상이었다. 배에
전기
를 공급하는 발
전기
가 돌아가는 소리인데, 실제 배가 운항해 엔진이 작동하면 이 정도는 아무것도 아니라고 한다. 8기통 엔진 두 대가 장착돼 있어 3000마력이 넘는 힘이 나온다.다시 갑판으로 올라오자 부두에서 온누리호 ... ...
열 나는 반도체, DNA로 해결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의 품질을 높인 셈이다. 핵심은 금속성 촉매를 사용하지 않고도 원하는 형태와
전기
적 특성을 지닌 초고순도 나노와이어 를 만든 데 있다.이 연구의 의미는 크다. 현재 실리콘 나노와이어 공정은 반드시 금속성 촉매를 사용해야만 하고, 이때 생기는 금속 불순물은 나노와이어가 기존 반도체 공정에 ... ...
나무 심고
전기
요금 아끼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떨어진 곳에 나무를 심느냐도 중요하다고 해요.또한 집의 서쪽에 플라타너스를 심으면
전기
를 사용하느라 배출된 탄소를 100년 동안 31%나 줄일 수 있다고 해요. 시원한 그늘뿐만 아니라 경제와 환경에도 도움이 된다니, 정말 아낌없이 주는 나무네요 ... ...
Part 1. 암호의 세대교체!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어. 마침내 1918년 독일의 발명가 슈르비우스와 그의 친구들은
전기
로 작동하는 암호기계를 만들었어. ‘에니그마’라는 이름의 이 기계는 암호 역사상 최고의 성능을 자랑했지. 에니그마는 독일군에게 천군만마와 같은 힘이 됐어. 에니그마 암호는 한동안 해독될 기미가 ... ...
진도 울돌목에 국내 최초 조류발전소 떴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연구원은 “조류의 흐름이 차단막에 막혀 발전효율이 떨어지고, 난류가 생겨 생산되는
전기
의 양이 불규칙한 2차적인 문제가 나타났다”고 말했다.취재가 끝날 때쯤 발전소에 근무하는 주병곤 선장의 배를 타고 발전소 주변을 둘러 볼 수 있는 기회가 생겼다. 거센 조류를 온몸으로 느낄 수 있는 ... ...
피지 사탕수수 기행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옮겨 연료로 쓴다. 찌꺼기를 태워 즙을 끓여 농축시키고 남은 열은 발
전기
를 돌려
전기
를 만들어 공장에서 사용한다. 타고 남은 재는 수거해 천연비료로 쓴다. 사탕수수는 버릴 게 없는 셈이다.수분을 날리면 즙은 점차 걸쭉해지면서 갈색시럽이 된다. 여기에 실험실에서 만든 작은 설탕입자, 즉 핵을 ... ...
참을 수 없는 가려움의 유혹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주입하자 원숭이는 가려움을 느끼고 몸을 긁기 시작했고 잠시 후 신경세포로 전달되는
전기
신호가 사라지는 현상이 관측됐다.그러나 20~40초 정도가 지나자 신경세포는 다시 정상적으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기슬러 박사는 “가려운 부분을 긁고 나서 잠시 후 또 가려운 이유는 신경세포가 활동을 ... ...
3Q로봇블록과 함께 생체모방 배워요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로봇이 저절로 움직이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운동역학을 이해해야 했기 때문이다. 그 뒤
전기
전자학과 전산학 전문가들이 로봇 연구에 합류했다.로봇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회로와 프로그램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인공지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뇌과학자들도 로봇 개발에 참여한다. ... ...
이전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