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량
계측
계량
관측
생각
추측
module
d라이브러리
"
측정
"(으)로 총 4,720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른쪽? 왼쪽? 보행의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자동차와 사람이 좌측, 또는 우측통행하는 사진을 순서 없이 보여 주며 뇌파의 변화를
측정
하는 실험을 했다.실험 결과, 자동차가 우측통행할 때는 사람도 우측보행을, 반대로 자동차가 좌측통행할 때는 사람도 좌측보행을 해야 감정을 담당하는 전두엽에서 알파( α)파가 많이 발생한다는 사실이 ... ...
노벨상 특집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교수는 우주의 기원을 규명하는 데 결정적인 근거가 되는 ‘우주배경복사’의 온도 차를
측정
한 공로로 2006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습니다. 수리학자 아버지를 둔 스무트 교수는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에서 수학과 물리학을 공부한 뒤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학교 물리학과 교수로 있으면서 ... ...
명품 바이올린의 비결은 ‘균’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프란시스 슈바르체 박사팀은 스트라디바리우스를 분해한 뒤 나무 판의 공명 주파수를
측정
한 결과 나무에 소량의 균류가 번식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인공적으로 균류를 번식시킨 나무로 제작한 바이올린도 소리 평가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9월 30일 디스커버리 온라인판에 ... ...
쓰나미 뚫고 통가 해저자원 탐사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뜻으로 실제 시료를 다루는 실험실이다. 그 반대는 물론 드라이랩(dry lab)으로
측정
장비가 얻은 데이터를 컴퓨터로 분석하는, 즉 손에 물을 묻힐 일이 없는 곳이다. 배 안에서는 연구원들이 분주하게 돌아다니며 짐을 옮기고 있다. 이들의 표정에는 오랜 시간 준비해온 탐사가 임박했다는 긴장과 ... ...
열 나는 반도체, DNA로 해결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2단계 연구과정에서 나노와이어와 DNA 분자를 붙이고 여기서 흐르는 전류를 실시간으로
측정
하는 데 주력할 계획이다. 이 시도가 성공하면 생명공학을 비롯한 다른 분야에서도 관심이 이어질 것으로 황 교수는 보고 있다. 2013년 3단계 연구과정에 이르면 실제로 하이브리드 소자를 선보일 예정이라고 ... ...
미세한 텅스텐 바늘로 표면 훑어 원자 단위로 분석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만든다. 탐침은 재질을 알기 때문에 일함수를 알 수 있고 탐침과 원자 사이의 전위차를
측정
하면 원자가 가진 일함수도 수학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표면의 특성을 알아내기 위해 나노 단위만큼 미세하게 분석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표면을 이루는 성분 가운데 가장 작은 단위인 원자는 지름이 ... ...
세티, 외계인과의 ‘콘택트’에 도전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외계인들의 정확한 소통 수단을 모르는 현 시점에서 전파는 가장 합리적인
측정
대상”이라고 강조했다.쇼스타크 박사에 따르면 인류는 1974년 지구의 문명을 설명하는 메시지를 담은 전파를 헤르쿨레스자리에 있는 구상성단 ‘M13’에 보내기도 했다. 지구에서의 거리는 2만 5000광년. 전파를 ... ...
바이오 전자코로 향을 음미하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고분자 소자간의 흡탈착 특성을 이용하기 때문에 제한된 종류와 농도에서만 냄새분자를
측정
했지만, 인간의 후각수용체를 직접 사용하는 바이오 전자코는 다양한 종류와 낮은 농도의 냄새도 검출할 수 있습니다”박 교수는 “바이오 전자코가 앞으로 실용화되면 유독가스처럼 사람이 맡을 수 ... ...
광통신 구현한 광섬유 디카의 핵심 CCD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수백만 개의 작은 CCD내부에 모인다. 모인 전자의 양은 빛의 양과 비례하기 때문에 이것을
측정
하면 처음 들어온 빛의 양을 알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는 이를 바탕으로 실제 이미지를 디지털로 재구성한다. 단 빛의 많고 적음만 알 수 있기 때문에 만들어지는 이미지는 흑백이다.이때 CCD 위에 삼원색 ... ...
참을 수 없는 가려움의 유혹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신경다발인 척수시상로(STT)에 존재하는 신경세포의 섬유에 전극을 부착해 전기신호를
측정
했다. 연구팀이 히스타민을 원숭이에게 주입하자 원숭이는 가려움을 느끼고 몸을 긁기 시작했고 잠시 후 신경세포로 전달되는 전기신호가 사라지는 현상이 관측됐다.그러나 20~40초 정도가 지나자 신경세포는 ... ...
이전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