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량
계측
계량
관측
생각
추측
module
d라이브러리
"
측정
"(으)로 총 4,720건 검색되었습니다.
논술 준비는 기본개념 정리부터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통해 자신을 평가받아라. 자신의 글이 이상적인 답안에 어느 정도 접근했는지를 스스로
측정
하기는 어렵다. 주위에 첨삭 지도가 가능한 교사에게 부탁해도 좋고 가족이나 자신보다 나이가 많은 친척들에게 부탁해 자신의 글을 객관화시키길 바란다 ... ...
한글, 21세기를 위한 15세기 발명품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능력을 키우는 방식이다. 프로그램을 마친 뒤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으로 뇌의 활동을
측정
한 결과 좌뇌의 측두두정엽 영역과 전두엽 영역이 정상 아동과 비슷한 수준으로 활성화됐음을 확인했다. 템플 박사는 “독서치료프로그램이 일으킨 뇌의 기능 변화를 처음으로 관찰했다”며 “적절한 ... ...
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섬유 발견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결과는 ‘사이언스’ 9월 11일자에 발표됐다. 연구팀은 “탄소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해
측정
한 결과 이 섬유는 3만 6000년~3만 1000년 전에 만들어진 것으로 나타났다”며 “체코 돌니 베스토니체에서 발견된 섬유보다 약 7000년 먼저 만들어진 것”이라고 밝혔다.지층 샘플에서는 야생 아마 섬유와 ... ...
“눈동자만 움직여도 현란한 영상과 소리 펼쳐져요”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근육이 저리거나 자주 쥐가 나는 경우에 아무 이상이 없는지 진단하는 의료기기다.
측정
하고자 하는 부위에 약한 전기 자극을 가하는 동글납작한 전극을 붙인다. 근전도 전극은 근육이 수축하거나 이완할 때 내보내는 전기 신호를 감지하고 이상이 있는지 진단하며 이 신호는 컴퓨터 모니터에서 ... ...
세포의 꿈틀거림까지 영상에 담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최근 생명과학 연구에서 유용하게 쓰이는 설비다. 점들을 연속적으로
측정
해 2차원, 3차원 영상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미토콘드리아 같은 소기관이 세포 안에서 어떻게 분포해 있는지 알 수 있다.영상센터에서는 기초과학 연구뿐 아니라 실제 의료계에서 적용할 수 있는 연구도 병행하고 있다. 특히 ... ...
수학은 처음에는 수학이 아니었다?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한다. ‘geometry’는 그리스에서 온 단어인데 ‘geo’는 ‘땅’을 뜻하고, ‘metry’는 ‘
측정
하다’라는 뜻이다. 눈치 빠른 친구라면 감이 딱 왔을 것이다. 기하학은 바로 땅의 크기를 재는 방법에서 시작된 학문인 것이다. 수학에는 ‘해석학’이라는 분야도 있다. 고등학교에 올라가면 배우는 미분, ... ...
음치 원인은 뇌 영역 간 소통 부족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신경학자 사이키 루이 박사는 실험 참가자 20명을 대상으로 뇌에서 발생하는 전기신호를
측정
했다. 그 결과 음치인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뇌 앞부분인 전두엽과 옆부분인 측두엽이 서로 주고받는 전기신호가 훨씬 적다는 사실을 발견했다.루이 박사는 “전두엽은 뇌에서 음을 만들어 내는 ... ...
오감으로 관람하는 체험형 과학전시회 뜬다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운동을 배울 수 있으며 ‘사춘기의 적’인 여드름을 예방하는 방법도 알 수 있다.체지방
측정
과정에서는 최근 문제가 되는 청소년 비만이나 성장기 비만을 예방하기 위한 올바른 식습관, 운동 방법도 알려준다. 또한 성장기 청소년이 시력이 쉽게 나빠지는 원인과 예방법도 알 수 있다.우리 몸을 ... ...
나로 호, 우주강국 ‘궤도 진입’ 실패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노하우는 레이저를 쏴 지표의 높낮이를
측정
하거나 소형 위성 간의 거리를 오차 없이
측정
해 편대 비행시키는 기술에도 응용된다. 내년 5월 정부는 나로 호와 똑같은 로켓을 다시 쏘아 올릴 예정이다. 그 로켓에도 과학기술위성 2호와 같은 겉모양과 성능을 지닌 위성이 탑재된다. 글 이정호 기자 ... ...
첨단 연구장비 활용과 개발 지원하는 국가연구시설장비진흥센터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뇌자도는 초전도 코일을 이용해 뇌신경에서 발생하는 전류인뇌파를 1000분의 1초마다
측정
하고 영상화시켜 뇌신경의 위치를 나타내는 기기다.기존의 기능성 자기공명영상장비(fMRI),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장비는 각각 2초, 60초에 1번 영상을 얻을 수 있을 뿐이라 빠르게 변화하는 뇌신경 활동을 ... ...
이전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