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량
계측
계량
관측
생각
추측
module
d라이브러리
"
측정
"(으)로 총 4,720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과학영재학교, 서울과학고, 경기과학고 2010학년도 입시유형 전격비교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물리를 심도 있게 공부한 학생만이 답할 수 있었다. 화학영역은 저울을 이용해 질량을
측정
할 때 대기 조성과 오차의 관계를 묻는 문제와 주어진 자료를 이용해 헬륨 풍선이 받는 부력을 계산하는 문제를 출제했다. 생물영역은 주로 세포에 관련된 문제가 많았다. 생물이 작은 세포들의 집합으로 ... ...
비상! 우주가 위험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지구의 그림자에 가리면 찾을 수 없단다. 레이저인공위성의 궤도와 위치를 정확히
측정
하는 데 쓰는 레이저는 레이더나 망원경보다 정밀해서 더 작은 우주 쓰레기도 찾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 그러나 굉장히 정교한 기술이 필요하기 때문에 아직 우주쓰레기를 찾는 데 활용하기는 힘든 상태야 ... ...
시료 표면 분석해 업그레이드된 신소재 만든다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분자와 철의 정확한 질량은 각각 55.9538과 55.9349다. 그래서 정확한 질량을 구하지 못하면
측정
한 물질이 규소인지 철인지 알 수 없다. 만약 입자의 양이 아주 미세하다면 기존 SIMS로는 이것이 철인지 규소인지 알 수 없다. 나노SIMS는 철과 규소가 가지는 0.0189amu의 질량 차도 정확하게 구분한다.원 ... ...
생활 속 밀도 이야기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소금물에 염화칼슘을 더 넣었다.3 달걀이 완전히 떠오른 상태에서 용액의 비중을 다시
측정
한다.4 용액의 농도가 증가하면서 비중계가 떠올라 값이 1.1로 증가했다.얼음과 물은 예외적인 현상앞에서 서술한 것처럼 대부분의 물질은 액체 상태보다 고체 상태에서 밀도가 크다. 필자가 가지고 있는 ... ...
팬데믹 막는 역학조사의 세계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번째 단계는 질병 발병이나 감염 위험이 있는 고위험군을 조사해 유행의 발생과 규모를
측정
하는 일이다.어떤 지역에서 식중독 환자가 발생했다고 하자. 우선 환자로 의심되는 증상을 보이는 사람들의 발생을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 설사나 복통, 구토와 같이 식중독과 비슷한 질환을 보이는 환자가 ... ...
효시(嚆矢)와 제논의 역설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스쳐 지나가는 속도는 2다. 즉 두 대상이 다 움직일 경우는 속도의 차이인 상대속도를
측정
해야한다. 따라서 제논의 이 역설은 모순이다.수학은 논리적인 사고를 키우기 위해 배우는데, 이는 결국 모순이 없게 생각을 다듬어 어떤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수학을 공부하면 본인도 ... ...
‘빛 패러다임’으로 반도체 한계 돌파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구조에서의 빛의 집속 현상 등을 규명했으며, 이를 실제로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공정과
측정
기술도 다른 연구실과 협력해 발전시켰다.이런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지난해 교육과학기술부가 운영하는 글로벌 연구실(GRL)과 우수연구센터(SRC)로 선정돼 과제를 수행하고 있으며, 저명한 학술지에도 ... ...
과학고 입시 예상문제 완전분석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않도록 발효관을 세운 다음, 솜으로 입구를 막고 발생하는 기체를 10분 간격으로
측정
한다. D 발효관의 맹관부에 기체가 충분히 모이면 팽대부의 용액을 스포이트로 덜어내고 40% 수산화칼륨용액을 15mL정도 넣은 후 변화를 관찰한다. E 생물체 내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호흡과정의 반응식은 다음과 ... ...
자연 속의 역제곱법칙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태양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논제 2] 아래그림은 은하의 회전 속도를
측정
한 결과이다. 은하의 원반 가장자리에 있는 별들은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멀지만 일정한 공전속도를 갖는다. 하지만 케플러의 법칙으로는 이를 설명할 수 없고 구심력의 개념을 이용하면 은하의 질량 ... ...
나노로봇 움직이는 나노발전기의 힘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때 생기는 난류에 따라 흔들리는 나노발전기가 전기를 만들면 나노센서는 각종 정보를
측정
해 무선으로 보내는 원리다. 또 나노발전기는 인체에 이식하는 약물전달시스템에 유용하다. 현재 인슐린이나 항암제는 체외에서 투여하지만, 앞으로 약물전달시스템이 나노발전기와 결합하면 체내에 ... ...
이전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