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면
측근
옆면
사이드
경사면
근처
언저리
d라이브러리
"
옆
"(으)로 총 2,768건 검색되었습니다.
뇌 필름 끊기는 이유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가지 이유를 알아보자.30대 직장인 K씨는 건망증 때문에 남모를 고민에 빠졌다. 회사에서
옆
부서에 갔다가 "내가 뭘 하려고 여기 왔지?" 하고 멍하니 서있거나 상사로부터 금방 지시받은 일을 잊어버려 낭패를 보는 일이 자주 생겼다. 어떤 때는 집 전화번호나 주소가 떠오르지 않았고, 읽기 쉬운 잡지 ... ...
이슬 머금은 자태로 먹이 유혹 끈끈이주걱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날씨가 따뜻해지면 뭉친 겨울눈이 서서히 풀리면서 끈끈이액을 분비하기 시작한다. 그
옆
에 종자로부터 발아된 아주 작은 끈끈이주걱이 뭉쳐있는 것을 볼 수 있다. 4월 말부터 6월 초순에 끈끈이액이 가장 왕성하게 분비돼 식충 작용이 활발히 이뤄지고, 6월 중순이면 잎이 있는 한가운데에서 꽃대가 ... ...
공기흐름 막는 액세서리, 달면 손해?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흐름을 원만하게 해줘 항력 발생 억제에도 도움을 준다. 공기역학적 측면에서 살펴볼때
옆
면은 주행중 바람에 의한 소음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소음을 주로 일으키는 요소로는 사이드 미러와 안테나를 들 수 있다. 사이드 미러는 앞문에 붙어 있는 경우보다 보닛에 유선형으로 붙어있는것이 ... ...
기능성 색소의 세계 온도따라 벽지 색깔 바뀐다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전압에 따라 현란하게 변하는 색소의 세계를 알아보자.우리는 일상생활을 하면서 항상
옆
에 있기에 그 고마움을 모르고 지나는 것이 많다. 그 대표적인 예로 공기를 들수 있다. 색깔도 공기와 같은 대접을 받는다. 만약 색이 없다면 이 세상은 흑백으로만 구별될 것이다. 공기의 고마움을 모르듯 ... ...
유아·아동기 두뇌개발교구, 품질보다 활용이 중요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이론과 원리가 있기 때문에 그냥 아이들이 가지고 장난감처럼 놀게 하는 것보다
옆
에서 부모나 교사가 잘 지도 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마지막으로 '자연' 이라는 교구를 활용하자. 아이의 두뇌는 어떤 교구나 기구에 의존하는 것보다 자연에 숨어 있는 현상들을 ... ...
1. 힘과 운동-그래프 해석 중요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앞으로 나아간다. 오징어는
옆
에 달린 지느러미를 사용해서 앞으로 나아간다. 오징어는
옆
에 달린 지느러미를 사용해서 앞으로 나아간다. 그러나 위험이 닥치면 앞에 달려있는 깔대기로 물을 뿜어내면서 재빨리 뒤로 도망친다. 이 동작은 제트기가 날아가는 모습과 매우 닮았다(그림8) ... ...
사라진 황새 천수만에서 발견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트인 곳을 싫어한다. 대신 깨끗한 작은 산간의 저수지에 잘 머문다.왕암저수지는 차도
옆
철조망 안에 위치한 작은 저수지여서 일반인이 찾기 어려운 곳이다. 저수지 한쪽 귀퉁이에 한무리의 원앙이 발견됐다. 3백49마리였다. 지금까지 이렇게 큰 무리가 월동한다는 사실이 알려진 적이 없었다. 매년 ... ...
잇따른 외계행성 발견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해도 교신하는 데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외계행성을 찾는 작업은 1천억W의 서치라이트
옆
에 있는 1백W 전구를 구별하는 것만큼 어렵다. 행성은 그만큼 어둡다. 그래서 외계행성의 발견은 거의 불가능한 것처럼 보인다. 그런데 외계행성을 어떻게 발견할 수 있었을까.별 주위에 행성이 있다면 별은 ... ...
당신의 발은 어떤 모양입니까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것이 좋다.볼의 넓이도 적당해야 한다. 신발 안쪽에 길이를 표시하는 숫자가 있고 그
옆
에 볼의 넓이를 표시하는 영문자가 새겨져 있다. 즉 '245C' 혹은 '255EE' 등으로 표시돼 있는데 A가 볼이 가장 좁은 신발이고, E가 볼이 넓은 신발이다. 아주 볼이 넓은 신발은 EEE로 새겨져 있다. 볼 넓이가 큰 사람은 ... ...
아름답게 빛나는 행성상성운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빔과 먼지덩어리가 어떻게 발생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자세히 알려지지 않았다. 단지
옆
에 어두운 동반별이 있어서 적색거성과 상호작용을 일으켰을 것이라고 추측할 뿐이다.NGC7027도 다른 행성상성운처럼 별의 최후를 간직한 화석과 같은 존재다. (사진3)을 보면 거성의 대기가 처음에는 ... ...
이전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