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면
측근
옆면
사이드
경사면
근처
언저리
d라이브러리
"
옆
"(으)로 총 2,768건 검색되었습니다.
잇따른 외계행성 발견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해도 교신하는 데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외계행성을 찾는 작업은 1천억W의 서치라이트
옆
에 있는 1백W 전구를 구별하는 것만큼 어렵다. 행성은 그만큼 어둡다. 그래서 외계행성의 발견은 거의 불가능한 것처럼 보인다. 그런데 외계행성을 어떻게 발견할 수 있었을까.별 주위에 행성이 있다면 별은 ... ...
치아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수mm 두께로 깎는다. 그 뒤 금이나 금속으로 3개의 치아모양을 만들어 빠진 치아 부위와 양
옆
치아에 끼운다. 앞니를 1-2개 뽑은 경우 같은 방법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눈에 금방 띄어 보기에 흉하다. 때문에 금속 위에 흰색의 도재(도자기 원료)를 입혀 보통 치아와 비슷한 색깔과 모양을 만든다 ... ...
3. 일반상대성 이론의 예언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따라 움직이므로 직진하지 않고 휘어야 한다. 아인슈타인은 일반상대성이론을 통해 태양
옆
을 지나는 빛이 약 2초의 각만큼 휠 것이라고 예언했다. 그러나 그의 예언은 당시의 학자들에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일반상대성이론이 워낙 난해한 수학에 의존하고 있고, 빛이 휘어야 한다는 사실이 너무 ... ...
말 더듬는 이유 밝혀졌다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이때 소요된 평균 시간은 1백분의 7초였다.다음에는 피실험자에게 소의 사진을 보여 주고
옆
에서 말이라고 중얼거리는 등 피실험자의 주의를 흩어놓는다. 레벨트 박사에 따르면 말이라는 어휘 개념이 활성화될 때 소라는 정답을 말하기까지 1백분의 8초가 걸렸다. 그러나 전혀 관계가 없는 어휘 ... ...
3. 통합과학문제 이렇게 출제됐다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실험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근육에 매단 추의 질량은 m이고, 소리굽쇠의 주기는 T이다.
옆
실험 장치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연축곡선을 얻었다. 추가 올라간 높이는 h이고, 중력 가속도의 크기는 g이다.(단, 추의 질량 이외의 다른 질량은 무시한다.)이 실험에서 '수축기' 동안의 근육의 평균 일률은 ... ...
1. 사고실험으로 이어진 16세 소년의 꿈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중력에 의해 빛이 휜다는 충격적인 논문을 발표한다. 그리고 1911년에는 태양
옆
을 스쳐 지나가는 빛을 관찰함으로써 빛이 휘는 정도를 잴 수 있다는 논문을 발표한다. 마침내 1915년 11월 25일 중력에 대한 고민의 완결편이라고 할 수 있는 일반상대성이론을 발표한다. 그 요지는 "질량을 가진 물체는 ... ...
컴퓨터로 그리는 아이들의 세상 "나도 피카소가 될래요"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그릴 수 있도록 그림요소들을 제공한다. 화면 3-1. 화면 오른쪽 칠판에 밭이 보인다. 그
옆
에는 당근 옥수수 배추 오이 무 감자 등이 있다. 밭에 무엇을 심을 것인지는 순전히 화가의 몫이다. 화면 3-2. 감자 호박 등을 마우스로 누르면 톡 튀어나온다. 그것을 마우스로 끌어서 밭에 갖다 놓는다. 화면 3-3. ... ...
2. '야방·컴섹스방·욕방···' 어찌하오리까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있던 대화방의 제목들이다. 7백여명의 사람들이 이방저방을 기웃거리는 대화방의 제목은
옆
의 것과 비슷한 류가 많았고 그런 방일수록 유난히 사람들로 북적거렸다.최근 몇 년 동안 업무상 필요한 전자우편이나 과거 신문기사 검색외에는 PC 통신 공간에 머무르는 일이 적었던 필자로서는 오랜만에 ... ...
워드프로세서로 1년 계획 세우기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파일 이름을 입력한다. 그림 파일의 이름을 정확하게 모른다면 파일이름 입력난
옆
에 있는 두루말이 모양의 아이콘을 마우스로 누르면 그림 파일 불러오기 대화상자가 나타난다. 여기에서 그림파일이 있는 경로를 지정하고 원하는 그림파일의 이름을 지정하면 된다. 그런 다음 열기 버튼을 선택하면 ... ...
목소리로 건강 체크한다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片耳型) 청진기를 사용한다. 이것은 청진할 수 있는 부위가 어느 정도 한정돼 있고,
옆
으로 귀를 기울이고 청취해야 하는 결점이 있는 반면, 쌍이형보다 잡음이 적어 태아(胎兒)의 심음을 청취하는데 잘 사용된다.청진기를 몸에 대는 부위는 당연히 몸의 소리가 가장 크게 전달되는 장소다(그림2, ... ...
이전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