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칙
법칙
규칙
초보
이론
학설
기준
d라이브러리
"
원리
"(으)로 총 5,201건 검색되었습니다.
Intro. 미래를 ‘공중 부양’ 시킬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다 이뤄졌다고 할 수는 없다. 여전히 풀리지 않는 문제가 쌓여 있다. 고온초전도체의
원리
는 무엇인가. 상온초전도체는 언제 발견될까. 혹은 아예 불가능한 것은 아닐까. 발견된 지 무려 100년이나 지났는데 이렇게 과학자들을 애태우는 분야가 또 있을까. 초전도 현상이 정말로 우리 미래에 날개를 ... ...
Part1. 상온초전도체 언제 탄생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새로운 의문이 나타났다. 우선 기존 이론으로 설명하지 못하는 고온초전도 현상은 어떤
원리
일까. 과연 초전도 현상은 얼마나 높은 온도에서까지 일어날 수 있을까.상온초전도는 우리가 일상적으로 접하는 온도에서 일어나는 초전도 현상이다. 규모가 크고 값비싼 냉각장치가 필요 없다는 얘기다. ... ...
현장점검-구제역 지하수 3년 뒤 진짜 위기 온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오염물을 분해하거나 철가루의 산화, 환원력을 이용해 오염물질을 분해하는 것이
원리
다. 비소나 크롬등 중금속은 물론, 유기오염물인 TCE, 질산성 질소를 분해 하는 데 효과가 있다. 이 연구원은 “현재 검토하고 있는 방법들 가운데에는 반응벽 방식이 이번 구제역 매몰지에서 발생할지 모를 지하수 ... ...
한국 문화 꽃피운 과학 찾아서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저자는 한국 유산이 과학성이 떨어지고 초라하게 느껴지는 이유로 제작 방법이나 작동
원리
같은 과학적인 설명을 구체적으로 기록한 자료가 없음을 들었다. 그나마 한문을 빌려 썼기 때문에 현재는 해석하기도 쉽지 않다. 또 수많은 자료들이 잦은 전쟁과 소홀한 관리로 거의 파손되거나 멸실됐고 ... ...
과목별 핵심 단원부터 정복하라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주제에 효소 저해제의 영향을 묻는 생물 논제를 추가했다. 물리에서는 발전기의
원리
를 이용한 논제에 두 발전방식 중 구리의 전기분해에 어느 것이 유리한지를 물어보는 화학·물리 통합형 문제를 출제해 최대한 통합논술을 지향했다. 그러면 2011년 고려대 수시 논술고사의 실제 논제들을 하나씩 ... ...
Part2. 꿈의 기술? 아직 피지 못한 꽃?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분야가 자기부상열차다. 자석의 다른 극이 서로 잡아당기고 같은 극은 서로 밀어낸다는
원리
를 이용한 교통수단이다. 수백 톤이 넘는 열차를 자석의 힘으로 띄우려면 매우 강한 전자석이 필요하다. 강한 자기장을 만들기 위해 엄청난 양의 전기를 흘려보내면 뜨거운 열이 발생하고 에너지 손실도 ... ...
고려대 봉사단 ‘쿠소’의 뜨거운 8박 9일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기우였다. 현지 학생들은 페트병 로켓이 발사될 때마다 환호성을 질렀다. 비행기의
원리
를 설명한 후, 실습으로 고무동력기를 하늘로 날려 보낼 때면 숨이 차도록 비행기를 따라 뛰었다. 현지에서 보기 힘든 체험형 과학교육을 접한 학생들은 실험 때마다 놀라운 집중력을 보였다. 교실 안은 ... ...
서울에서 즐기는 과학나들이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시설이 있다. 전기박물관에서는 전기의 탄생과 에너지발전의 역사, 첨단송배전시스템의
원리
와 핵융합, 고속증식로 등 미래의 전력을 소개한다. 삼성어린이박물관에서는 사진과 미디어아트를 경험할 수 있는 ‘사진과 미디어로 만나는 빛의 그림’ 영역을 비롯해 총 9개 영역과 100여 개 이상의 ... ...
천체망원경 제작에 도전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별들을 관측할 수 있는 것인지 신기했다. 그리고 그런 큰 배율의 망원경을 만들어내는
원리
는 무엇인지 궁금했다. 내가 직접 망원경을 만들 수 있을지 궁금해서 이번 탐구를 시작했다. (…중략…) Ⅱ. 탐구과정 1. 문제인식 - 망원경의 성능과 구조는 어떻게 다를까? - 갈릴레이식 망원경과 케플러식 ... ...
Part 5. 포스터로 보는 수학의 활약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과제 중 하나가 사람 두뇌의 비밀을 밝히는 것이다. 수학을 이용하면 뇌 전체에 대한
원리
뿐만 아니라 구성 요소 하나까지 이해할 수 있다. 함수 사이의 관계를 방정식으로 나타내는 미분방정식을 이용하면 뇌의 기능을 알 수 있다. 특히 뇌 신경망은 정보통신 네트워크처럼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 ...
이전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