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칙
법칙
규칙
초보
이론
학설
기준
d라이브러리
"
원리
"(으)로 총 5,201건 검색되었습니다.
“해피 파이데이 투 유”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둥근 모양의 물건들로부터 원주율에 대해 알려주는 강연을 했다.이어 원주율을 계산하는
원리
를 체험으로 이해하기 위한 시간이 마련됐다. 4D프레임 수리과학창의연구소의 도움으로 빨대 모양의 교구를 이용해 초등부 학생들은 ‘미래 상상 우주선’ 을, 중·고등부 학생들은‘토성’을 제작했다. ... ...
[수학클리닉] 수 체계 정확하게 이해하기!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다시 접할 때 관련 문제에 손댈 수 없죠. 1.4679679679…를 분수로 나타내어라.오늘은
원리
를 이용해 풀이해 볼게요. 1.4679679679…를 x라 하고 이를 분수로 나타내기 위해서는 뺄셈을 이용해 순환마디를 모두 없애야겠죠. 도전! 나만의 수학문제 만들기천태선 선생님은 수학 공부의 완성은 스스로 ... ...
스마트시대, 우리는 스마트해졌나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못할까.뇌는 컴퓨터가 아니다인간의 발명품인 카메라의 작동
원리
로 눈의 작동
원리
를 설명하듯이 뇌 역시 종종 컴퓨터에 빗대 설명한다. 실제로 기억 같은 용어는 공통으로 쓴다. 그 결과 사람들은 뇌를 ‘젖어 있는’ 컴퓨터로 생각하곤 한다.지난 반세기 컴퓨터의 성능은 눈부시게 발전해 왔다. ... ...
초등 탐구토론의 메카 서울교대 과학영재교육원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물을 끓이며 온도를 측정해 물의 변화를 살펴보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때 온도계의 작동
원리
를 이해한다면 자신만의 온도계까지 고안할 수 있다. 여기에 덧붙여 자신이 고안한 온도계를 두고 동료와 토론한다면 자신의 사고를 더 높은 수준으로 이끌 수 있다.학년을 뛰어넘는 협동“형, 이렇게 ... ...
[수학으로 생각하기] 일본 대지진 바로 알기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즉시, 곧이어 큰 피해를 끼치는 S파가 온다는 사실을 알리는 것이 지진 조기경보의
원리
다. P파와 S파의 시간 차 덕분에 고속철도를 멈추거나 가스공급을 차단해 지진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P파와 S파의 속도는 땅속 물질에 따라 정해져 있기 때문에 PS시만 알면 관측소에서 진원까지의 거리를 ... ...
포천 사랑방교회 어린이학교 MIE 수업 현장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기사 ‘아름다운 무지개다리’ 로 진행했습니다. 수학동아 조가현 기자가 무지개의
원리
를 연구한 수학자 데카르트에 대해 알려주고, 데카르트가 연구한 내용을 설명합니다. 어린이학교 학생들은 자주 볼 수는 없지만 빨주노초파남보로 알록달록 예쁜 무지개가 만들어지는 과정이 신기한 듯 ... ...
첨단 기술로 배를 띄워라! 선박저항성능연구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안녕? 난 바다의 귀염둥이 돌고래야!방금 ‘뿌웅~!’ 하는 소리 들었지? 인간들이 만든 거대한 물고기가 지나가고 있어.저 물고기는 저렇게 큰데도 어떻게 물 위에 떠서 다닐 수 ... 진동시키면, 물이 함께 출렁이면서 파도가 만들어진다. 야외 수영장의 인공 파도도 똑같은
원리
로 만든다 ... ...
메시와 루니는 수학천재?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축구를 잘하기 위해서는 수학에 시간을 투자해야 한다” 며 “수학을 모르면 공의
원리
를 이해할 수도 없고 베컴처럼 공을 휘감아 찰 수도 없다” 고 말했다 ... ...
Part1. 당신은 호모 사피엔스 100%인가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진행해 왔다. 이번 연구를 이끈 스반테 패보 막스플랑크연구소 진화인류학부장은 “같은
원리
를 이용해 네안데르탈인과 유라시아인의 이동 경로를 추적한 결과, 약 8만~5만 년 전 중동 지역에서 혼혈이 일어났다고 보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라는 결론을 내렸다”고 밝혔다.현재 고인류학계에서는 ... ...
Part 2. 미국까지 3시간, 지구가 좁아진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노즐)으로 갈수록 다시 넓어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것이 바로 스크램제트 엔진의
원리
다. 스크램제트 엔진은 현재 미사일에 사용하고 있으며 아직 비행기에 활용할 만한 수준은 아니다. 이동호 교수는 “지상에서 뜨고 내릴 때에는 공기도 느리게 들어가기 때문에 제트 엔진을 사용하고 ... ...
이전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