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d라이브러리
"
표면
"(으)로 총 4,27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암 발생 20년 전에 진단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카드뮴 같은 중금속으로 구성돼 있어 아직 동물실험 단계에 그치고 있다. 중금속
표면
을 나노캡슐로 둘러싸 인체에 남지 않고 배설될 수 있게 하거나 중금속을 사용하지 않는 강한 형광체를 개발하는 일이 숙제다. 맞춤형 암 치료로 이어지는 분자영상암을 추적해 만든 분자영상의 가장 큰 장점은 ... ...
항암제 성분의 알을 낳은 유전자변형(GM) 닭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별로 감쇄하지 않는다셀렌의 광전효과를 활용한 광전지 철 또는 알루미늄으로 된 기관
표면
에 셀렌을 증착하고 열가공하여 결정화한 다음 그 위에 금속 또는 산화카드뮴으로 된 반투명 박막을 접착시킨다그리고 이 박막에 빛을 쬐면 셀렌 결정층과 박막 사이의 경계에 광기전력 효과가 생겨 전하를 ... ...
탐나는 열성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사람들 중에서는 푸른 눈과 흰색 피부를 가진 사람이 주로 살아남았다. 멜라닌은 피부
표면
에 있는 색소로 자외선을 흡수해 이것이 체내로 들어가는 현상을 막는다. 멜라닌 색소의 양이 많을수록 피부색이 짙어진다.푸른 눈과 흰색 피부는 멜라닌 색소가 적어 햇빛에 있는 자외선이 체내로 잘 ... ...
중국 인도 일본, 올해 달나라 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2호
각종 정보를 모은다.인도도 9월 달 탐사선 찬드라얀 1호를 쏜다. 이 우주선의 착륙기는 달
표면
에 충돌해 달에 대한 자료를 모은다. 찬드라얀 1호는 적어도 2년 이상 달을 돌며 탐사 활동을 벌인다 ... ...
놀이공원은 살아있다 .! 힘이 있으니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2호
까끌까끌 마찰력마찰력은 운동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며 운동을 방해하는 힘이다.
표면
이 꺼칠꺼칠한 물체일수록 마찰력이 크다. 눈썰매가 움직이면 썰매바닥 아래에 있는 눈이 녹아 물이 되면서 마찰력을 줄여 주기 때문에 눈썰매가 잘 내려간다. ⇢눈 위에서 뒹구느라 옷이 다 젖어 버린 ... ...
연이 끄는 화물선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에오신 유전자는 흰색에 대해 우성이고 붉은색에 대해 열성이다물체의 온도에 따라 물체
표면
에서 발산되는 복사에너지의 세기를 이용하여 물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계기 방사(放射)고온계라고도 한다일반적으로 주파수가 사인파 진동 주기의 역수인데 대해 감쇠진동(減衰振動)이나 발산진동 ... ...
과학자도 놀란 창덕궁의 비밀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이직과 신극례가 이 직책에 임명됐다고 태종실록 4년 9월 1일에 기록돼 있다.*확산반사
표면
이 고르지 않은 물체에서 반사된 빛이 여러 방향으로 반사돼 나가는 현상으로 ‘난반사’라고도 한다.*소핏실내연주공간에서 발코니 하단을 지칭하며, 소리의 반사를 유도해 발코니 밑 객석과 1층 안쪽 ... ...
컴퓨터를 현미경으로 업그레이드 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크기로 몸체에 붙어 있는 USB 케이블을 통해 영상을 컴퓨터로 전송한다.렌즈는 물체의
표면
을 20~200배로 확대할 수 있으며, 주변에 있는 4개의 발광 다이오드(LED) 램프로 고배율이나 어두운 곳에서도 밝은 영상을 볼 수 있다. 또한 자동으로 색과 노출을 보정해 표본의 색이나 주변의 밝기에 상관없이 ... ...
해적왕 잭의 지도정복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1호
한번 떠나 보자구.세상을 보여 주는 그림, 지도문명의 발전과 함께한 지도지도는 지구
표면
의 모습과 상태를 기호나 문자를 사용해 실제보다 줄여서 그린 그림이다. 인류는 석기 시대부 터 벽화를 통해 지도를 표현했으며 서로 왕래가 시작되면서 본격적으로 지도를 만들기 시작했다. 지금까지 ... ...
지금 화성에는 물이 흐르고 있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멀리 흐르기는 불가능하다.미국 애리조나대 필립 크리스테텐 박사는 “먼지가 얼음
표면
을 덮고 있다가 바람 등으로 먼지가 걷힌 뒤 얼음이 녹아 흐르면서 협곡이 생길 수 있다”고 설명했다.물론 이 주장에도 반박의 여지는 남아 있다. 화성에 얼음층이 생겼다면 5만~30만년 전인데, 그 기간 동안 ... ...
이전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