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등"(으)로 총 21,711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 인터뷰] 수학으로 조선을 일으켜라! 최석정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6호
- 이용해 어떤 일이 일어날 가능성을 계산하기도 해요. 또 오늘날 전자제품이나 자동차 등에 없어선 안 되는 ‘반도체’에도 이용된답니다. 회로에 신호를 보낼 때 서로 겹치지 않도록 만들어야 하거든요. Q. 조선의 수학을 발전시킨 분이라고 들었어요! 허허, 쑥스럽군요. 저는 서양과 중국의 ... ...
- [특집] 지구가 부글부글!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살펴보면 유색인종이 사는 곳이 백인이 사는 곳보다 더웠죠. 이는 인종과 나이, 직업 등의 자료와 위성 영상으로 찍은 지표면의 온도를 합쳐 살펴본 결과예요. 수잔 아멜라 박사는 “소득이 낮은 지역일수록 건물이 많고 도시 숲이나 식물이 부족했다”고 원인을 분석했어요. 이어 “이 연구는 ... ...
- [특집] 기후 재난을 피하려면?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분포를 파악할 수 있어요. 그래서 열이 집중되는 곳엔 나무를 심거나 무더위쉼터, 그늘막 등 폭염을 피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할 수 있어요. 또 주변 환경의 변화에 따라 온도가 어떻게 변했는지도 추적할 수 있지요. 실제로 대구 북구는 2010년과 지난해 열분포도를 비교했더니 10년 전 심은 나무가 ... ...
- [이달의 과학사] 2006년 8월 24일 명왕성, 행성에서 탈락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연구를 했어요. 2001년부터 명왕성 궤도 밖에서 ‘에리스’, ‘세드나’, ‘하우메아’ 등 많은 천체를 발견했죠. 이 천체들은 명왕성과 비슷한 특징을 갖고 있었어요. 에리스의 경우 크기는 명왕성과 비슷하고 질량은 오히려 크죠. 그러면 에리스를 10번째 행성으로 인정해야 할까요?이전까지 ... ...
- [기획] 허블우주망원경 또 고장나면 어쩐담!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성능을 실험하는 진공 챔버를 만들고, 앞으로 스피어엑스로 어떤 연구를 할지 등을 준비하고 있지요. 이번 미션에 미국과 한국 딱 두 나라만 참여한답니다. Q스피어엑스 우주망원경은 다른 우주망원경들과 어떻게 차이가 있나요?허블을 포함해 스피처, 찬드라 우주망원경과 같은 대형 망원경은 ... ...
- [파고 캐고 지질학자] 아름다운 석회동굴은 지하수가 깎아 만든 작품!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됩니다. 이를 석주라고 부르죠. 그 외에도 조건에 따라 커튼, 동굴진주, 동굴산호, 석화 등 다양한 동굴생성물이 만들어집니다.동굴생성물은 환경에 따라 자라는 속도가 달라요. 30cm 높이의 석순이 겨우 1000년 만에 자라기도 하고, 50만 년 이상이 걸리기도 합니다. 하지만 지질학자들은 대부분 ... ...
- 지구사랑탐사대 온클 꿀팁 대 방출! 지사탐으로 슬기로운 여름방학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다르거든요. 여기에 색과 무늬가 좀 특이한 종을 발견하거나, 발견한 탐사종의 주변 환경 등 관심이 닿는 대로 찍어서 올려도 됩니다. 대원들의 탐사 기록은 과학자들에게 보내는 러브레터예요. 사진과 기록 안에서 대원들의 메시지가 전달되는 게 느껴져요.엄 저는 보통 3~4장을 올렸는데, 탐사종을 ... ...
- [과학 뉴스] 외계 기술 문명 찾는다! 갈릴레오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바깥에서 온 성간 천체로는 최초로 관측된 오무아무아는 포물선 궤도를 돌지 않는 등 혜성과 소행성 같은 일반 천체와 완전히 다른 특성을 보였지요. 이런 이유로 로엡 교수는 2018년 오무아무아가 외계 기술 문명의 증거일 수 있다는 논문을 발표했어요. 갈릴레오 프로젝트는 “오무아무아를 설명할 ... ...
- [만화 뉴스] 소 반추위 세균이 플라스틱 분해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합성 폴리에스터 성분인 PET를 분해하는 것을 발견한 거예요. 연구팀은 토마토 껍질 등에 있는 폴리에스터가 소 사료에도 있다는 점에 주목해, 소의 세균이 PET도 소화할 수 있을 거라고 예측했어요. 이를 증명하기 위해 반추위의 소화액과 세균을 폴리에스터에 배양했어요. 그 결과 폴리에스터가 ... ...
- [현장취재] 개구멍을 엉금엉금! 탐험의 시작백룡동굴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통과하자 동굴 벽에 꽃처럼 맺힌 동굴 산호를 비롯해 천장에 너울거리는 동굴 커튼 등 화려한 동굴생성물들이 눈길을 사로잡았습니다. 수백만 년 전부터 만들어져 지금까지 자라는 것으로 추정되지요. 그러다 어렴풋이 너른 공간이 보였습니다. 주동굴의 끝에 있는 대광장이었습니다. 대광장엔 ... ...
이전2302312322332342352362372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