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등"(으)로 총 21,711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동수비대 우동이의 일기 "2기 시작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5호
- 7월 8일 저녁 7시, 온라인에서 우동수비대 1기 보고식과 2기 발대식이 열렸어. 마승애, 최태규 수의사님이 1기 데이터에 대한 보고를 하고, 2기 활동을 소 ... 이름을 꼭 써 줘! 우동수비대 스티커, 노트, 큐브 등 리워드를 받으려면 조사 기록을 등록한 뒤 현황판에 이름을 꼭 써줄 것! 잊지 마 ... ...
- [특집] 발굴조사현장, 직접 찾아갔습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5호
- 그러면 금속활자에 묻은 먹을 추출해서 연대분석을 하거나, 금속활자의 성분을 분석하는 등 더 정밀한 조사를 할 수 있지요. 이후에야 전문가들이 유물의 정확한 의미를 파악하는 연구를 할 수 있을 거예요. 여기에 최소 10년 이상이 걸릴 거예요. 이번 발견으로 우리나라 고고학자들과 역사학자들의 ... ...
- [가상 인터뷰] 엔켈라두스에 외계 생명체 있을지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5호
- 가설이 있었어?연구팀은 깊은 해저에서 뜨거운 물이 나올 때나, 생물체가 메탄을 만들 때 등의 상황을 가정해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만들었어. 그리고 어떤 상황에서 엔켈라두스의 수증기와 같은 성분이 만들어지는지 서로 비교했지. 그 결과 엔켈라두스 수증기 속 메탄 양이 생물체가 메탄가스를 ... ...
- [기획] 여름에 더 강해지는 악취!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5호
- 분석했어요. 그 결과 부패가 시작된 지 24~48시간 즈음에 아세트알데히드와 황화합물 등 악취 물질들의 농도가 급격하게 늘었어요. 그중에서도 주성분이 탄수화물인 채소와 곡류, 과일류 쓰레기는 부패한 지 48시간째에 아세트알데히드 물질이 가장 높게 발생했어요. 고기류 쓰레기는 주성분인 ... ...
- [만랩! 디지털 리터러시] 은밀하고 위험한 폭력, 혐오 표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5호
- 그런데 10명 중 7명꼴로 이런 표현을 접했다고 응답했어요. 대부분 SNS나 유튜브, 게임 등 온라인에서 경험했지요. 게다가 과반수가 친구 같은 가까운 사람에게 들었다고 하니, 이런 표현들이 얼마나 우리 일상에 스며들어 있는지 놀라지 않을 수 없습니다.혐오 표현이 폭력적인 단어나 말로만 ...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5호
-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공기 중에는 수많은 먼지가 둥둥 떠다니고 있어요. 이처럼 공기 등의 기체 속을 떠다니는 크기가 매우 작은 액체와 기체 입자를 ‘에어로졸(aerosol)’이라고 불러요.에어로졸의 액체나 고체 입자는 지름이 보통 0.01~100㎛(마이크로미터)예요. 1㎛는 1mm보다 1000배 작은 크기죠. ... ...
- [특집] 눈은 어떤 모습으로 내려갈까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5호
- 뭘까요? 눈의 시작은 아주 작은 얼음 알갱이예요. 하늘을 떠다니던 얼음 알갱이나 먼지 등이 눈의 씨앗이 돼요. 여기에 수증기가 달라붙으면서 눈 결정이 만들어지고, 땅으로 떨어지게 되지요. 눈 결정의 모양은 주변 공기의 온도와 공기 속 수분의 양에 따라 다양해요. 눈 결정 모양이 달라지면 눈이 ... ...
- [특집] 골칫거리 눈? 불가사리로 해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5호
- 때문에 망가진 도로를 복구하면서 제설제의 문제점에 대해 고민하게 됐어요. 그리고 고등학생 때 제가 연구했던 내용이 떠올랐지요. 불가사리의 성분이 염화이온을 빨아들이는 현상에 관해 연구했거든요. 불가사리를 활용한 친환경 제설제는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한 고민에서 시작됐어요. 여러분도 ... ...
- [특집] 눈송이를 들여다본 사람들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5호
- (snowcrystals.com)에서 볼 수 있어요. 벌레 모양, 생선 뼈 모양, 원통 모양, 바늘 모양 등 우리가 생각했던 눈 결정 모양과는 다른 다양한 사진을 만날 수 있답니다 ... ...
- [가상 인터뷰] 물방개의 앞발, 피부에 양보(?)하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4호
- 드는 암컷 물방개가 있으면 앞발을 이용해 등 표면에 착 달라붙어. 수컷 앞발에는 암컷 등에 밀착하고, 교미할 때 필요한 화학물질을 감지할 수 있는 부드러운 ‘점착 컵’이 있거든. 6월 17일, 성균관대학교 방창현 교수와 연세대학교 조승우 교수 공동연구팀은 내 앞발에 있는 점착 컵에서 ... ...
이전2332342352362372382392402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