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리오
네트
넷트
오네트
머릿수
수
mari
d라이브러리
"
마리
"(으)로 총 2,737건 검색되었습니다.
새로 밝혀진 파스퇴르의 두 얼굴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애원했다.파스퇴르는 그 이전에 자신의 광견병 백신으로 단 한건의 실패도 없이 개 50
마리
를 치료한 바 있다고 보고했었다.다시 한번 연구노트는 이 설명에 오류가 있음을 보여준다. 파스퇴르가 개를 대상으로 백신을 실험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이는 메이스테르에게 주입한 백신과는 전혀 다른 ... ...
독수리 주변의 5형제 별자리들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펭귄 '칠리윌리'를 떠올리게 한다.돌고래의 동쪽으로는 꼭 그 별자리 크기만한 조랑말 한
마리
가 얌전하게 서있고 돌고래 서편으로는 화살자리가 은하수 속에 숨어 있다. 주위가 어두워서 별이 총총하게 보이는 곳이라면 세 별의 위치를 한번 확인해 보기 바란다. 화살은 궁수가 독수리를 향해 쏜 ... ...
곤충들의 짝짓기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만나게 된다. 톡토기의 정포는 넓은 의미로 수컷 성기 역할을 하는 것이다. 대개 수천
마리
가 함께 사는 톡토기는 이런 교미방법만으로도 충분히 자손을 이어갈 수 있는 모양이다.처녀생식(단위생식)을 하는 곤충이다. 예를 들면 딱총 나무수염진딧물은 4월경 딱총나무에서 월동한 수정란에서 제1세대 ... ...
'살아있는 화석' 강극어를 살리자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강극어의 숫자는 평균 20.5
마리
에서 6.5
마리
로 줄어 들었다. 그래서 지금은 이 지역에 2백
마리
내외의 강극어만이 생존해 있을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그야말로 벼랑 끝에 몰린 것이다.이렇게 강극어의 수가 감소한 원인은 무엇일까. 자연적인 인구 유동현상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수를 조절할 만큼 ... ...
1. 생물종, 30년내 4분의 1 사라진다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효율이 높았기 때문이라고 추측되고 있다. 눈에 띄기 쉽고 목표가 뚜렷하며 한
마리
만 잡아도 많은 식량이 얻어지는 것이다. 인류의 손에 의한 집단멸종이제 오늘날의 지구로 돌아와 보자. 현재 지구상에 있는 생물종수는 몇이나 될까. 학자에 따라 다르게 추산되고 있지만, 대략 1백40만종에서 1천만 ... ...
귀화 식물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변하여 사람의 옷미나 동물의 몸에 묻어서 옮겨진다. '도꼬
마리
' '가시도꼬
마리
' '큰도꼬
마리
'는 열매에 갈고리 모양 가시가 많이 달려 사람이나 가축에 붙어서 옮겨진다. 그밖에 씨가 익으면 식물체에서 잘 떨어지는 성질이 있어서 땅에 묻히거나 곡물에 섞여 다른 곳으로 옮겨지는 능력이 있다. ... ...
"상대성이론 창안 1등공신은 부인 밀레바"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소년들처럼 17세 때 첫사랑에 빠졌다. 상대는
마리
빈텔러라는 하숙집 딸이었다. 그러나
마리
가 갖지 못한 지적 능력에 대한 갈증으로 시들해졌고, 20세 때 대학에서 만난 밀레바를 새로운 연인으로 선택하였다. 밀레바는 지성과 결단력을 갖춘 강렬한 눈빛의 재원으로 함께 공부하면서 두 사람은 ... ...
멧새, 바람피운 '아내'새끼 박대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짝 이외의 다른 암컷과 교미한다.1994년 '네이처'지에 실린 바에 따르면 학자들이 2백16
마리
의 새끼를 포함하는 58쌍의 멧새 가족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여 DNA지문법으로 조사해 보았더니 새끼들의 55% 정도가 그 영역을 지배하며 새끼를 돌보는 수컷의 새끼가 아니었다.뿐만 아니라 한배 새끼중 진짜 ... ...
선·평면·입체 외 또다른 차원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있는가의 여부를 확인한다. 그들은 울타리 문앞에 서서 그들 나름대로 셈을 한다. 한
마리
가 돌아올 때마다 작은 돌멩이를 하나씩 주머니에서 꺼내 앞에 놓는다. 이와 같이 해서 돌멩이의 개수와 양에 1대1 대응을 시킨 후 주머니 속에 돌멩이가 남아 있는가의 여부로서 모든 양이 무사히 돌아왔음을 ... ...
2 모델 동물실험 의약산업 혁명 눈앞에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신호는 혈액을 따라 흐르는 특수호르몬에 의해 뇌로 전해진다는 것도 알려졌다. 즉 두
마리
쥐를 혈관수술에 의해 혈액이 서로 통하도록 해 두고서 한쪽 쥐에게 뚱보가 되도록 억지로 많이 먹이면 그 쥐는 뚱보가 되고, 혈관이 연결된 다른 쥐는 음식을 먹지 않아 빼빼가 된다.너무 많이 먹은 뚱보 ... ...
이전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