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리오
네트
넷트
오네트
머릿수
수
mari
d라이브러리
"
마리
"(으)로 총 2,737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환경문제의 새 시각 '가이아'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흰개미는 역할에 따라 제각기 여왕개미 수캐미 병정개미 일개미로 발육하여 수만
마리
씩 큰 집단을 이루고 살면서 질서 있는 사회를 형성한다. 흰개미는 흙이나 나무를 침으로 뭉쳐서 집을 짓는다. 아프리카의 초원에 사는 버섯흰개미는 높이가 4m나 되는 탑모양의 둥지를 만들 정도이다. 이 집에는 ... ...
야생동물 생태연구집념-산야 헤매기 40년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찾아 홋카이도 오키나와 중부지방 동북지방 외딴섬 등에서 일본의 조류 1백여 종 약 6만
마리
를 잡아 가락지를 끼워 날려 보낸 적이 있다. 1966년 겨울 어느 날 새벽 일본 국도 1호선의 도요하시(豊橋)에서 백할미새를 포획해 가락지를 끼워 날려 보낼 때는 거센 겨울바람 때문에 눈물과 콧물이 뒤섞여 ... ...
β카로틴, 알츠하이머병에도 효과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치매증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그래서 산화를 막는 효과가 있는 카로틴을 골라 쥐 24
마리
를 세 그룹으로 나눈 뒤, 일주일에 걸쳐 카로틴 0.6%를 섞은 먹이와 카로틴 3%를 섞은 먹이, 카로틴을 전혀 섞지 않은 먹이를 각기 주었다.결과는 카로틴을 준 쥐의 적혈구 속 과산화지질이 카로틴을 전혀 주지 ... ...
바다 속에서 솟아오른 화산섬 하와이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볼 수 있다.1m의 얕은 수심에도 열대어들이 있으며 노랑색을 띈 어떤 고기들은 1백여
마리
씩 떼를 지어 다닌다. 고기들이 바위 위에 붙은 먹이를 쪼는 모습은 매우 흥미롭다. 스킨다이빙을 하다가 큰 물고기가 바로 밑에서 웅크리고 있는 것을 보면 두려움이 느껴지기도 한다.해양공원은 하와이 ... ...
생물- 수질오염원인 과학적 탐구요령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인식요즘 북한강 유역에 사는 사람들이 강물 오염에 대해 두려움을 느끼고 있다. 수천
마리
의 고기가 죽어 떠 있는 것이 발견되었다. 물고기들은 출혈을 동반한 비참한 상태로 죽었는데, 물 속에 무엇이 있는 지 알 수 없었다. 과학자들이 물 오염 원인을 찾아낼 때까지 상수 시설은 문을 닫고 있는 ... ...
동물도 자살한다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하나는 크고 하나는 작은 두 개의 알을 낳는다. 극 지방의 혹독한 환경 때문에 어미는 한
마리
만을 독립적으로 키울 수 있다. 보통 큰 알에서 태어난 놈이 살아남지만, 큰 알이 사고를 당할 경우에 대비해 두개의 알을 낳아두는 것이다.오코너 박사는 어린 새가 죽임을 당하거나 자살을 묵묵히 ... ...
인간사회 축소판 개미의 세계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보통 진딧물이 모여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이들 진딧물의 주변을 살펴보면 여러
마리
의 개미들이 서성거리는 것을 볼 수 있다. 진딧물은 필요 이상으로 식물의 즙액을 빨아 그 여분을 감로라는 달콤한 액체 형태로 배출한다. 그리하여 개미가 진딧물을 가볍게 때리면 진딧물은 뱃속에 모아둔 ... ...
쥐의 생체시계 유전자 발견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주입한 수컷쥐와 처리하지 않은 암컷쥐 사이에서 자식을 얻었다. 그 결과 3백4
마리
중 한
마리
만이 24.8시간인 것이 있었다. 이 쥐가 가진 유전자를 '시계유전자'라 이름 짓고 다시 교배시켰다. 여기서 태어난 N2에는 생체시계가 보통 것보다 긴 것이 있었다.다시 N2끼리 교배시켜 태어난 자식 F2 중 ... ...
확률은 도박에서 왔다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믿음을 가질 때 생겼다. 여름날 하루살이가 떼지어 움직이고 있다. 이들 중 어느 한
마리
만을 주목해 보면 자기 멋대로 움직이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전체적인 한 덩어리를 보면 그 흐름속에 하나의 법칙이 있어 그 법칙에 따라 움직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이와 같이 전체와 하나의 관계를 ... ...
오염측정의 새 방법 '바이오마커'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바이오마커의 개발에도 노력하고 있다. 그래서 엘리자베스 강에서 살고 있던 63
마리
의 사향쥐들은 수면시간을 측정하고 난 뒤 다시 그들이 살던 집으로 무사히 되돌려 보내졌을 것이다 ... ...
이전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