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분
실재물
재료
물질문화
문화
방사성물질
방사성
d라이브러리
"
물질
"(으)로 총 8,14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피부에 넣은 태양전지로 전기 만든다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m) 두께의 얇은 태양전지 기판을 유연한 필름 위에 붙인 뒤, 투명하고 생체 적합성이 높은
물질
로 코팅해 생체에 무해한 태양전지를 만들었다. 이것에 발광다이오드(LED)를 붙여 쥐의 피부 속에 넣자 태양빛을 받아 LED에 빛이 들어왔다. 연구팀은 또 심장이 불규칙하게 뛰는 쥐의 몸에 태양전지와 ... ...
[과학뉴스] 노케미족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호흡기 질환이 보고되고 있죠. 윤 교수는 “호흡기, 식도, 피부 등 세 가지 경로로 화학
물질
에 노출될 수 있는데 그 중 호흡기가 일반적으로 가장 위험하다”고 말했습니다. 익명의 취재원에 따르면 그럼에도 불구하고 살균제를 액상으로 붓는 것과 스프레이로 뿌리는 것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 ...
[과학뉴스] 화학반응 중간에 보는 현미경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결과물을 모두 분자 수준까지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안젤 루비오 막스플랑크
물질
구조역학연구소장은 “화학 합성 분야의 거대한 진전”이라면서도 “은의 표면에서 중간생성물이 안정화되는 원리에 대해서는 추가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케미스트리’ 5월 2일자에 ... ...
[News & Issue] ‘다중신호 천문학’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등 빛의 모든 스펙트럼 영역이 포함됐다.당시 후속관측에선 빛이 관측되지 않았다.
물질
이나 전자기파가 나오지 않는 블랙홀 쌍성 병합이었기 때문이다. 김정리 박사는 “그래도 중력파-전자기파 연계관측은 확실히 연습이 됐다”면서 “이제 중성자별 쌍성 병합이 일어나기만 하면 된다”고 했다. ... ...
[Knowledge] 청산가리 가득한 대나무를 먹는다?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단단한 셀룰로오스 조직을 분해시켜 에너지원으로 사용한다. 타닌 같은, 잎 속에 든 독성
물질
도 해독할 수 있기 때문에 열대 우림에 존재하는 대다수의 나뭇잎을 먹이로 이용할 수 있다.물론 초록 잎에도 약점은 있다. 영양분이 매우 부족하다. 이파리를 주식으로 삼으면 다른 동물과 경쟁하지 않는 ... ...
[Tech & Fun] 친절한 금자씨의 ‘락스 살인 사건’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의심 없이 락스 든 밥을 먹은 것도 이상합니다. 차아염소산나트륨은 워낙 부식성이 강한
물질
이다보니, 3년이 되기 전 몸에 이상이 나타날 수 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유성호 서울대 의대법의학교실 교수는 “(지속적으로 락스를 마셔) 위나 식도에 심한 부식이 일어나 천공이 발생할 경우, 변의 ... ...
[과학뉴스] 암흑
물질
, 사람 세포만큼 무겁다?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암흑
물질
의 질량이 1017GeV/c2보다 클 수 없다는 사실이 밝혀졌다”면서 “이제 곧 암흑
물질
이 우리가 예측한 질량범위에 있는지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 ...
[Knowledge] 시체부패는 ‘2차 방정식’을 따른다?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퍼져나간 시체 주변 영역을 시체부패섬(cadaver decomposition island)이라고 부른다. 부패
물질
의 영향으로 이 부분의 풀들이 말라 죽기 때문에 눈으로도 그 경계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시체부패섬은 시간에 따라 화학적 성질이나 미생물군집 구성 비율이 달라진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토양의 질소와 칼슘 ... ...
[출동! 섭섭박사] 살아 움직이는 라바램프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5호
그래서 일반 색소보다 좀 더 눈에 띄는 색을 내게 된답니다.형광색소는 물에만 녹는
물질
이에요. 원하는 색의 형광색소를 물에 녹여 색을 더해 주면 기름층과 정확히 구분할 수 있지요. 또 LED 막대 빛을 대었을 때 훨씬 눈에 띄는 빛을 볼 수 있답니다.반짝이는 램프가 움직이기까지 한다면 더 ... ...
[과학뉴스] 후천적 비만의 원인, 단초 밝혔다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신호전달
물질
로 알려진 ‘S6K1’이 유전자 발현 과정을 변화시켜 비만을 유도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S6K1의 후성유전학적인 역할을 밝힌 건 이번이 처음이다.한정환 성균관대 약학과 교수팀은 S6K1이 결핍된 쥐가 일반 쥐보다 지방조직이 절반가량 적다는 데 착안해 S6K1의 새로운 역할을 연구하던 중 ... ...
이전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