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중국유학일기] 책 660만 권 보유한 우한대 도서관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오전 11시~오후 1시)와 저녁 식사(오후 5~7시) 시간에는 1시간 동안 나갔다가 들어와도 예약이 취소되지 않는다. 도서관은 오전 8시부터 오후 10시 30분까지 개방되며, 시험 기간에는 1층을 24시간 개방한다. 사실 우한대 도서관의 기본 시설이 그다지 우수한 편은 아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대학 도서관도 ... ...
- [해외취재] 장이권 교수님과 야생 속으로 GO! 생생 대만 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볼 수 없는 대만의 고유종으로, 갈색을 띠고 있었어요. 수컷이 약 4cm, 암컷은 약 5cm로, 암컷이 수컷보다 몸집이 컸지요. 이날 밤 개구리 아파트를 비롯해 다양한 종의 도마뱀붙이, 거미, 누룩뱀 등을 볼 수 있었어요. 짜릿했던 샹핑숲에서의 하룻밤이었지요! 시민과학으로 살려낸 이인천 마지막 ... ...
- 인공강우로 미세먼지 해소될까?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약 200km인데, 한반도 서쪽 태안반도와 가장 가까운 중국의 산둥반도까지의 거리가 약 320km이기 때문이다. 같은 이유로, 한 지역에서 인공강우 실험을 진행했다고 해서 주변 지역에 가뭄이나 홍수 같은 이상기후를 유발할 가능성은 매우 낮다. 한편 빙정핵으로 사용되는 요오드화은이 호흡기 및 피부 ... ...
- 포도알 먹지 마세요, 전자레인지에 돌려 보세요과학동아 l2019년 04호
- 함유된 물과 표면에 있는 칼륨, 나트륨 등의 분자는 전자레인지에서 나오는 파장 약 12cm인 마이크로파를 흡수해 이온화되기 쉽다. 특히 포도알의 곡면 때문에 마이크로파가 빠져나가지 못하고 포도알 안에서 공명 현상을 일으켜 에너지를 증폭시켰다. 연구팀은 증폭된 에너지로 인해 물 분자 등이 ... ...
- [탄생 150주년] 알아두면 쓸모있는 신기한 주기율표 이야기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발견하지 못했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장 교수는 “테크네튬은 반감기가 약 21만 년으로 비교적 짧은 편에 속한다”며 “생성 이후 거의 모두 붕괴했기 때문에 지구에서는 발견하기 어려운 원소”라고 덧붙였다. 실제로 자연 상태의 테크네튬이 처음 발견된 것은 1962년이었다. 테크네튬이 ... ...
- '캡틴마블' 옥에 티과학동아 l2019년 04호
- 500nm 파장의 광자 1개가 가진 에너지는 약 3.97×10-19J(줄)이므로, 포톤 블라스트는 약 1.8×1010W(와트)의 일률을 갖게 된다. 100W짜리 백열전구를 동시에 180억 개 켤 수 있는 수준이다. 최 교수는 “이 정도 수준이면 캡틴 마블의 포톤 블라스트에 맞은 적은 날아가기도 전에 흔적도 없이 증발할 가능성이 . ...
- [영국유학일기] 현실 대학생이 알려주는 런던 문화생활 즐기기과학동아 l2019년 04호
- 가장 먼저 가입한 건 말레이시아 동아리였다. 고등학교 시절을 포함해 말레이시아에서 약 10년을 지냈기 때문에 한인 동아리보다 먼저 가입했다. 활동은 전혀 안 했지만, 말레이시아 동아리에서 매년 주최하는 ‘M-night’라는 공연은 항상 보러 간다. 고등학교 시절의 분위기와 비슷해, 그것만으로도 ... ...
- [전지적 수학 시점] 크레이지아케이드. 삼각 배치로 물풍선 연속 터뜨리기수학동아 l2019년 04호
- 그러려면 물풍선의 특징을 잘 알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물풍선은 맵 위에 놓으면 약 3초 후에 저절로 터지지만, 그 전에 다른 물풍선의 물줄기가 닿으면 곧장 터집니다. 그래서 물풍선의 배치가 중요합니다. 정신 없이 터뜨려야 이긴다!시간이 충분하다면 물줄기를 피하는 게 그리 어렵지는 ... ...
- [가상인터뷰] 개구리 합창, 일정한 법칙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정보를 주고받을 때 전송 속도가 빨랐고 서로 충돌하지도 않았어. 또, 사용되는 전력도 절약됐단다. 연구을 이끈 아이하라 교수는 “전력 사용이 적으면 기기의 수명을 늘릴 수 있다”고 설명하면서 “무리 지능이 사물인터넷 사회를 실현하는 힌트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단다 ... ...
- 日, 사지마비 환자 일으켜 세우나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대규모 임상시험을 거쳐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최종 승인을 받아야 하는 만큼, 학계와 의약업계에서는 난치성 환자를 위한 줄기세포 치료제의 안전성이 입증될 경우 임상시험을 최소화하는 등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도 교수는 “환자들의 기다림은 길어지는데, 국내에서는 ... ...
이전2302312322332342352362372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