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로봇으로 환생한 오로베이츠 팝스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살았던 동물 ‘오로베이츠 팝스티’의 걸음걸이를 복원했어요. 오로베이츠 팝스티는 약 2억 9000만 년 전, 고생대 페름기에 살았던 네발 동물로, 물에서 육지로 올라왔다고 알려져 있지요. 연구팀은 지난 2004년, 독일 중부 투릴리안 숲 채석장에서 발굴한 뼈 화석을 CT 촬영해 형태를 추측하고, 발자국 ... ...
- 한국 인공태양 완공 10년, 1억 도로 타올랐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운전을 위한 가장 큰 어려움이었던 극저온 냉각 시운전을 단 한번에 성공했다. 약 한 달 뒤인 6월 13일, KSTAR는 최초로 플라스마를 발생시키는 데 성공했다. 12년의 연구가 빛을 발한 순간이었다. 그로부터 10년 뒤인 2018년, KSTAR 연구진은 플라스마 중심 이온온도를 1.5초간 1억 도 이상으로 올리는 데 ... ...
- 화면만 터치, 디스플레이 지문인식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있다. 스마트폰의 축전기를 구성하는 기존 투명전극 소재의 경우 전기 민감도가 낮아 약 100kHz의 신호를 송수신에 사용했다. 문제는 화면에서 수십~200kHz의 주파수를 가진 빛이 꾸준히 생긴다는 것이다. 신호가 중첩돼 제대로 지문을 인식할 수 없는 셈이다.2018년 7월 박장웅 울산과학기술원(UNIST) ... ...
- [과학뉴스] 빛 쪼이면 2분 안에 뚝딱, 회전하는 3D 프린터 나왔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아크릴레이트 액체 속에 3D 물체가 통째로 만들어졌다. 수cm 크기의 물체를 프린팅하는 데 약 2분이 걸렸다. 연구에 참여한 헤이든 테일러 UC버클리 기계공학과 교수는 “새롭게 개발한 3D 프린터는 지지대가 필요하지 않아 다양한 기하학적 모양의 물체를 만들 수 있고, 기존 방법보다 표면이 더 ... ...
- 블랙홀의 그림자를 추적하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정확한 모습을 파악하는 데 제약이 된다. 그러나 다행히 현대의 영상화 기술은 이런 제약 속에서도 관측한 데이터를 믿을 만한 영상으로 복원하는 수준에 이르렀다. EHT 프로젝트에서 관측 결과 영상화를 담당하는 케이티 바우만 미국 하버드대 박사후연구원은 이를 건반이 빠진 피아노로 연주하는 ... ...
- Part 5. 작은 축제에서 찾아보는 올림픽의 미래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줄였어요. 화장실 용수와 샤워 부스를 빗물로 대체한 결과, 매해 수십 만 리터의 물을 절약하고 있답니다. 또 포르투갈 붐 페스티벌은 오염물질을 잡아먹는 미생물로 관객들이 쓰고 난 물을 정수해 한 번 더 사용하는 캠페인을 펼치고 있어요 ... ...
- [과학뉴스] 캥거루는 언제부터 껑충껑충 뛰게 됐나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과정을 연구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번 연구로 유대류의 독특한 뜀뛰기 능력의 기원은 약 2000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게 됐다. 논문의 제1저자인 웬디 덴 보어 스웨덴자연사박물관 고생물학과 연구원은 “정밀한 모델링 기법으로 고대 유대류의 세부 능력과 진화 과정을 밝혀 갈 것”이라고 ... ...
- 20대 '신선한' 난자 얼리시겠습니까?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대체로 엄마, 이모 등 출산 경험이 있는 친인척이다(폐경 이후여도 상관없다). 만약 딸이 엄마의 자궁을 이식받는다면 딸과 손녀가 아기 때 같은 집에서 자란 셈이다. doi: 10.1016/S0140-6736(14)61728-1, doi: 10.2147/IJWH.S75635이들은 여성에게 ‘커리어 해방’을 가져다줄까? 서울마리아병원 가임력보존센터 ...
- 수압, 감수하시겠습니까... 해저 36m 수중 데이터센터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사용한다.아예 추운 북극에 데이터센터를 건설하기도 한다. 페이스북은 2013년 북극에서 약 96km 지점인 스웨덴 룰레오에 데이터센터를 설치했다. 북극의 찬바람을 이용해 냉각을 하기 위해서다. 2013년 강원도 춘천에 건설한 네이버 데이터센터 ‘각’도 마찬가지다. 춘천은 한국에서 평균 기온이 가장 ... ...
- '주노'가 보내온 목성 클로즈업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고흐의 유화처럼 고혹적인 목성 사진을 감상해보자.덩치와 달리 목성의 밀도는 지구의 약 4분의 1에 불과하다. 목성이 주로 수소와 헬륨으로 구성된 가스 행성이기 때문이다. 자전 속도는 초당 12.6km로 태양계에서 가장 빠르다. 지구에서 목성까지의 거리는 최소 6억2800만km에서 최대 9억2800만km다 ... ...
이전2342352362372382392402412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