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상"(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 갯벌 열대우림보다 훌륭한 탄소 저장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으으~, 끈적끈적! 자꾸 발이 빠지는 이곳은 바로 우리 망둑어 가족의 고향, 갯벌! 예전에는 쓸모없는 땅이라 여겨지던 갯벌이 새로운 블루카본 ... 간척으로 갯벌이 농경지가 되었고, 그만큼 블루카본의 양도 줄어들었죠. 앞으로 더 이상의 갯벌이 파괴되지 않도록 많은 관심을 가져 주세요 ... ...
- 배설물에서 DNA를 찾아 멸종위기종을 보호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매우 어렵답니다.그런데 지난해 강원도 화천군 DMZ 일대에 사향노루가 적어도 6마리 이상 서식할 것이라는 소식이 알려졌어요. 이를 확인할 수 있었던 결정적인 단서는 바로 사향노루의 똥이었어요. 어떻게 배설물만으로 이를 알아낼 수 있었을까요? 국립생물자원관 연구팀은 매달 2주씩 5개월 간 ... ...
- [지구사랑탐사대] 뜨거운 도시의 비밀을 밝혀라! 매미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켜지듯 일제히 울기 시작해요. 장이권 교수님은 “매미의 울음을 관찰하면 도시의 이상고온 현상뿐만 아니라 지구 온난화의 영향도 파악할 수 있다”고 설명했어요. 실제로 열기가 뜨거운 도심일수록 다른 지역보다 말매미가 많이 운다는 거예요.이 설명을 들은 지사탐 대원들의 표정이 ... ...
- [실전! 반려동물] 해피가 저를 떠나려는 걸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경과가 좋기 때문에 반려견의 피부를 자주 확인하는 것이 좋답니다. 갑자기 행동이 이상해졌다면 치매를 의심하세요!나이가 들면 개도 사람처럼 치매에 걸릴 가능성이 높아져요. 하지만 개는 사람과 달리 말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치매인지 쉽게 알아낼 수 없지요. 그래서 치매에 걸렸을 때 ... ...
- [현장취재] 인기 크리에이터가 되고 싶은 친구들 모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때문이에요. 학교 공부도 하기 싫고, 그렇다고 컴퓨터 게임도 하기 싫은 날이었어요. 이상하게도 컴퓨터를 끄기는 싫더라고요. 그래서 빈둥빈둥 컴퓨터 바탕화면에 있는 이것저것을 눌러보다 영상 편집 프로그램인 ‘윈도우 무비 메이커(Window movie maker)’를 클릭했어요. 그리곤 프로그램을 가지고 ... ...
- DNA로 네스호 괴물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호수 ‘네스호’에는 ‘네시’라는 이름의 괴물이 산다는 전설이 있어요. 네시가 20m 이상의 거대한 크기이고, 긴 목을 가진 공룡의 모습이라는 목격담이 중세시대부터 수백 년동안 전해지면서 유명해졌지요. 하지만 아직까지 네시의 실체는 밝혀지지 않았답니다.지난 5월, 뉴질랜드 오타고대학교의 ... ...
- [통합과학 교과서] 작은 공들의 세상 속으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플라톤은 사물이 물, 불, 흙, 공기의 4원소로 이뤄져 있다고 주장했고, 데모크리토스는 더 이상 쪼갤 수 없는 입자로 이뤄져 있다고 주장했어요.이후 2000년이 지난 1803년, 영국의 과학자 돌턴에 의해 데모크리토스의 주장이 다시 제기됐어요. 돌턴은 화학 반응에서 반응물과 생성물의 질량이 같고(질량 ... ...
- 도시노후화, 시민의 안전을 위협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안전을 위협하는 경우가 늘고 있어요. 전국 초등학교의 10%, 중학교의 7.5% 정도가 40년 이상 된 노후 학교로 주기적인 점검과 보수가 꼭 필요하지요. 학교뿐만이 아니에요. 다리, 댐, 상하수도 등 우리나라 도시를 이루는 다양한 시설물이 노후화를 겪고 있어요. 우리나라는 1970~80년대 빠른 ... ...
- 노후 하수관, 로봇으로 꼼꼼히 검사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도로에 싱크홀이 발생하는 거예요.환경부는 2015년부터 2년 동안 전국을 돌며 20년 이상 된 노후 하수관 1만 5600km를 조사했어요. 그 결과 파손으로 싱크홀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는 하수관 7만 6000여 개를 발견했지요. 즉, 1km 당 평균 4.9개의 결함이 있는 셈이에요. 환경부는 이번 조사를 바탕으로 향후 ... ...
- [특별기고]목숨을 건 체험기...아마존에서 살아남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달리 지나가는 길의 나뭇가지 등을 잘라버리는 등 파괴적이어서 같은 장소를 두 번 이상 조사할 수가 없다. 따라서 사전에 철저한 계획을 세워 대상 지역을 정하고, 최대한 숲에 큰 위해가 가지 않도록 조사 횟수나 기간 등을 조절한다. 또, 채집한 동물들은 다음날 동정과 측정을 마친 뒤 채집했던 ... ...
이전2302312322332342352362372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