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상"(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최석정의 10차 라틴방진은 ‘아벨 군’?수학동아 l2018년 12호
- 개념 자체가 고차방정식의 해를 구하기 위해 만든 것이거든요. 아시다시피 5차 이상의 방정식은 근의 공식이 존재하지 않아요. 노르웨이 수학자 닐스 헨리크 아벨이 5차 방정식의 근의 공식이 없다는 것을 증명했고, 그 과정에서 군 중에서도 조금 특별한 아벨 군을 고안했죠. 이때가 19세기 ... ...
- 최초의 ‘행성 사냥꾼’ 케플러과학동아 l2018년 12호
- CCD) 42개를 장착해 총 9500만 화소에 이를 만큼 ‘눈’이 밝다. 우주의 한 지점을 수개월 이상 바라보면서 항성이 내는 빛의 밝기가 어떻게 변하는지 관측하는 방식으로 외계행성을 찾았다. 태양과 같은 항성은 핵융합을 통해 스스로 빛을 낸다. 그래서 이런 항성 앞으로 행성이 지나가면 빛이 일부 ... ...
- 韓 문명의 뿌리는 과학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대형병풍이다. 조선의 태평성대를 염원하며 그린 이상적인 도시 모습 곳곳에는 과학기술이 담겨있다. 남 학예연구사는 “그림을 통해 당시 선조들이 우리와 마찬가지로 기술의 발전이 삶의 질을 어떻게 향상시킬 지 고민했음을 알 수 있다”며 “그 ... ...
- Part 1. 성분부터 구조까지 전격 비교 깃털 vs. 털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구애를 하고, 비행만 하는 것은 아니다. 새가 깃털을 이용해 할 수 있는 일은 20가지 이상 알려져 있다. 깃털을 이용해 먹이를 찾거나, 먹이를 수월하게 먹는 새들도 있다. 검은해오라기는 얕은 물에서 천천히 걷다 서기를 반복하다가, 날개를 우산 모양으로 만들어 2~3초 간 자세를 유지한다. 그렇게 ... ...
- Part 4. 생체모방의 대명사, 깃털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과학자들은 송골매의 날갯죽지 근처의 특정 깃털들에 주목했다. 송골매가 일정 속도 이상의 비행을 시작하면 이 깃털들이 곧추서는 장면이 계속 포착됐기 때문이다. 과학자들은 공기의 흐름이 빨라지면 송골매의 날갯죽지 근처에 있는 깃털들이 진동하면서 속도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이 ... ...
- 허리 고치는 수술 로봇 ‘닥터 허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내부 공간은 아주 협소하다. 게다가 속에는 중요한 신경이 잔뜩 들어있다. 두 개 이상의 구멍을 뚫기도 쉽지 않을뿐더러, 설령 구멍을 뚫었다고 할지라도 매우 좁은데다가 그 속에 질소 가스를 주입하는 것 또한 불가능에 가깝다. 따라서 척추 수술에 기존 로봇을 투입하기란 무척이나 어려운 일이다 ... ...
- [과학자의 부엌] 진공과 온도의 효과적인 만남 수비드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대개 가정이나 일반 식당에서는 음식을 가열할 때 100도의 물에서 끓이거나 그 이상의 온도에서 기름에 볶습니다. 튀김 요리는 180도까지 온도가 올라갑니다. 그런데 90도도 되지 않는 저온에서 어떻게 고기와 채소를 익히는 걸까요. 심지어 닭 가슴살의 경우 다른 방법으로 조리했을 때보다 살코기가 ... ...
- part 2. 최저가 여행, 외판원 문제로 해결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아니에요. 각 도시를 떠날 때 비용이 최소인 경로만 따라가다 보면 어떤 도시를 2번 이상 거칠 수도 있거든요. 하한 값은 그보다 더 짧은 여행 경로가 없다는 사실만 나타냅니다. 이제 1회 이동을 시행했다고 가정합니다. 그러면 이 이동의 출발지와 도착지는 두 번 다시 출발지나 도착지가 될 수 ...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 - 도형의 닮음 편수학동아 l2018년 12호
- 길이를 알고 다른 삼각형은 한 변의 길이만 안다고 생각해보세요. 자로 직접 재지 않는 이상 죽었다 깨어나도 변의 길이를 알 수 없지만, 두 삼각형이 닮았다면 길이의 비를 알아내서 나머지 두 변도 알아낼 수 있습니다. 도형 문제를 풀 때 무척 유리하겠죠? 평면도형의 넓이는 보통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과(過)’와 ‘배부를 포(飽)’, ‘화할 화(和)’가 합쳐진 한자어예요. 용액에 용해도 이상으로 용질이 녹아 있는 상태를 말하지요. 용해도 이하로 녹아 있을 땐 ‘불포화 상태’라고 한답니다. 지날 과(過)는 ‘쉬엄쉬엄 가다’라는 뜻의 ‘책받침(辶)’과 ‘삐뚤어졌다’는 뜻의 한자 ‘와(咼)’로 ... ...
이전2342352362372382392402412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