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몸
신체
육체
인체염색체
염색체
몸채
사람몸
뉴스
"
인체
"(으)로 총 2,691건 검색되었습니다.
‘톡톡’과 ‘꾹꾹’ 압력 차이 구분하는 인공 피부 나왔다
2015.10.18
구분하는 등 새로운 감각 센서도 개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런 센서가 모두 개발되면
인체
기능을 거의 완벽하게 갖춘 의수, 의족도 등장할 수 있을 전망이다. 국내에서도 사람 피부와 닮은 인공피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지난해 12월 김대형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팀은 ... ...
[과학기자의 편파칼럼]‘NC vs 두산’ 플레이오프 편안히 즐기는 법
동아사이언스
l
2015.10.18
물질로 변합니다. 그 뒤에 아세트알데히드가 아세트산으로 변하면서
인체
에 무해한 물질이 되는 것이지요. 이 때 아세트알데히드는 체내에서 혈관을 확장시키는 능력이 있습니다. 즉 에탄올이 흡수가 된 뒤 빠르게 2차 분해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혈관이 확장돼 빨개지는 것이지요. 술을 마셨을 때 ... ...
신토불이 과학연구 노벨상 거머쥐다!
2015.10.06
반대했다. 반면 수천 년 동안 수많은 처방에서 청호를 써온 걸 아는 중국으로서는
인체
안전성에 자신이 있었다. 아무튼 이렇게 해서 아르테미시닌이 새로운 말라리아치료제로 세상에 나왔고, 증가추세로 돌아섰던 말리리아는 지난 15년 사이 환자수가 다시 절반으로 줄어들었다. 현재 ... ...
미분방정식으로 60년 생물학 난제 풀었다
2015.10.06
마련이다. 몸에 열이 나거나 여름철에는 수면 시간이 짧아질 수 있다는 것이다. 다행히
인체
생체시계는 온도 변화와 상관없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러한 성질은 1954년 발견됐지만 작동 원리는 60년이 지나도 밝혀지지 않았다. 수많은 생물학자와 수학자가 여러 가설을 발표했지만 번번이 검증에 ... ...
[2015 노벨 생리의학상, 왜 그들이 받았나]年 2억 명에게 희망, ‘기적의 약’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5.10.05
개발했다. 개똥쑥에 흥미를 갖게 된 투 교수는 정제 과정을 거쳐 아르테미시닌이라는
인체
에 작용하는 약물을 만들어낸다. 그리고 이는 효과적인 말라리아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다. - 노벨위원회 제공 그 시기 중국의 투 교수는 새로운 말라리아 치료법을 개발하기 위해 전통 약초에 연구의 초점을 ... ...
이 약 한 번 잡숴봐~ 운동 효과 제대로네
2015.10.04
연구가 동물실험 수준인 만큼 여러 약물을 섞어서 복용하거나 오랫동안 투약할 경우
인체
에 부작용이 생길 우려는 없는지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 ...
‘휴보’도 못 가진 손가락 단 산업용 로봇 첫 개발
2015.10.01
물건을 집어 올려 조립한다. 양 손에 각 16개 씩, 모두 50개의 관절을 갖고 있어 다양한
인체
동작을 흉내 낼 수 있다. 특히 오차 0.05㎜ 수준의 정밀한 조립작업이 가능하다. 이 로봇은 사람처럼 손끝에 전해져 오는 힘을 느끼고 이리저리 손을 움직여가며 부품을 정확하게 끼워 맞출 수 있다. ... ...
“깨끗한 디젤은 없다”
2015.09.29
더 많은 연료가 소모돼 연비가 낮아질 수밖에 없다. 암모니아 성분(요소)을 이용해
인체
에 무해한 질소와 물로 변환시키는 방식으로 질소산화물을 줄이는 장치도 있다. ‘선택적 촉매환원(SCR·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장치로, 배기가스에 요소수를 분사한 뒤 SCR촉매를 거치게 하는 것이다. 하지만 ... ...
치약 속 미세 알갱이가 환경을 파괴한다고?
2015.09.27
플라스틱 찌꺼기들이 무수히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하지만 마이크로비드가
인체
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아직 많지 않다. 드레이저 연구원은 “오염을 걱정하면서도 플라스틱 잔해의 치명성에 대한 연구는 너무 진행되지 않았다”며 “세계에서 신선한 물을 가장 많이 보유하고 ... ...
20년 뒤 미래, TV는 둘둘 말리고 신원인증은 ‘정맥’으로
2015.09.25
스마트그리드 기술이 선정됐다. ‘안전한 사회’를 위한 기술에는 식량안보 기술과
인체
인증 기술이 선정됐다. 오영호 공학한림원 회장은 “이번 미래 도전기술 선정 연구는 공학계 리더들이 바라본 20년 후 한국의 미래 먹거리 기술”이라며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우리나라가 집중해야 할 ... ...
이전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