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몸
신체
육체
인체염색체
염색체
몸채
사람몸
뉴스
"
인체
"(으)로 총 2,691건 검색되었습니다.
혈관과 뼈 동시에 3D프린터로 출력
2015.07.21
잘 생기지 않아 조직이 괴사하는 문제가 해결된 셈이다. 심 교수는 “향후 뼈를 비롯한
인체
장기를 3D프린터로 출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것”이라며 “3D프린터로 잇몸 뼈를 만드는 연구를 계획하고 있으며 최종적으로는 팔과 다리뼈까지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 ...
우리 몸은 이족보행에 최적화된 구조인가?
2015.07.20
2일자 ‘네이처’에 논문의 의미를 언급한 사설이 실리기도 했다. 먼저 이번 연구결과는
인체
가 오랜 진화를 거쳐 선택된 가장 효율적인 구조라는 상식과는 달리 여전히 개선의 여지가 있는 불완전한 상태임을 보여줬다. 또 무동력외골격은 보행에 불편을 겪고 있는 많은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 ...
아프냐? 통증과 고통 느끼는 경로 다르다
2015.07.19
할지 판단한다. 과거에 고통을 유발한 상황이 뇌에 저장돼 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인체
가 통증을 인지하는 경로와 그로 인한 감정적인 반응인 고통이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일어날 것이라고 생각해 왔지만 구체적으로 밝혀지지는 않았다. 연구진은 사람과 쥐의 뇌에 동일하게 존재하는 ... ...
입고 움직이면 방향까지 파악하는 똑똑한 센서
2015.07.14
여부를 파악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웨어러블 기기의 발전과 함께 센서를
인체
에 부착할 수 있는 유연한 상태로 개발하려는 연구가 진행돼왔지만 기존 센서들은 움직임의 방향까지는 파악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신축성이 있는 기판 위에 전도성을 가진 은나노와이어를 전사하는 ... ...
질소 고정, 콩과식물만의 능력인가?
2015.07.13
않을 것이다. 2000년대 들어
인체
거주미생물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인체
에 대한 재정의(숙주와 미생물의 공생체라는)가 필요하다는 논의까지 있지만, 식물 역시 거주미생물과 삶이 복잡하게 얽혀 있다는 사실이 속속 밝혀지고 있다. 즉 사실상 모든 식물에는 식물내생생물로 불리는 ... ...
커피전문점 들어서면 스마트폰이 자동으로 충전
2015.07.07
위치와 방향에 상관없이 충전이 가능하다. 낮은 자기장을 이용해 충전하는 방식이어서
인체
나 다른 전자제품에 무해한 것이 특징이다. 카페 같은 실내 공간에 몇 대만 설치하면 실내 전체에서 스마트폰 등이 자동으로 무선충전된다. 지금도 무선충전 제품이 출시되고 있지만 충전장치에 ... ...
난소암으로 별세한 UNIST 교수의 ‘마지막 논문’
2015.07.07
알려져 있었지만 이 세포가 어떤 과정을 통해 생겨나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Tfh세포는
인체
에 침입한 병원체를 기억해 같은 병원체가 다시 침입했을 때 효과적으로 대응하도록 하는 면역세포인 B세포 분화를 촉진한다. 공동 교신저자이자 도 교수의 남편인 류성호 순천향대 의생명연구원(SIMS) ... ...
인슐린 생산량 조절하는 물질 찾았다
2015.07.05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3일자 온라인판에 게재했다. 마이크로RNA는
인체
가 DNA를 이용해 단백질을 만드는 과정을 조절하는 물질이다. 인슐린은 혈당과 생체대사를 조절하는 호르몬으로 비만과 당뇨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인슐린 생산을 근본적으로 조절하는 ... ...
암 치료 효능 8배 올리는 데 성공
2015.06.26
때보다 암 치료율이 8배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 교수는 “면역력 강화는
인체
를 지키는 방패를 튼튼하게 만드는 일과 같다”면서 “향후 암을 비롯한 다양한 질병에 대항할 수 있는 체내 면역력 강화 치료제 개발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화학 분야 권위지 ‘앙게반테 ... ...
병원체에 대한 고찰
2015.06.22
우리 몸 자체가 수백조 마리의 미생물이 사는 집이다. 즉 기존 패러다임에 따르면
인체
거주미생물의 존재를 설명하기 어렵다. 최근 장내미생물 연구가 급격히 이뤄지면서 이들과 면역계가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사실이 속속 밝혀지고 있다. 그 가운데 조절T세포를 주목할 만하다. 십여 년 전 ... ...
이전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