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자
구성원
극소량
티끌
미립자
분자농도
농도
d라이브러리
"
분자
"(으)로 총 2,611건 검색되었습니다.
동물한테 배우는 비만치료법
과학동아
l
199012
흡수된 지방은 단 2%만 소비되고 나머지는 모두 지방세포에 축적된다. 더구나 지방
분자
를 비축하는 지방조직은 거의 무한정으로 확대될 수 있다. 지방조직을 이루는 세포가 원래 크기의 10배이상으로 부풀 수 있기 때문이다. 밴더빌트의과대학의 제임스 힐박사에 따르면 "지방세포는 얇은 막에 ... ...
PARTⅢ
분자
생물학의 기본언어들
과학동아
l
199012
증폭돼 같은 성질의 DNA
분자
가 다량으로 생산된다. 이렇게 얻은 DNA
분자
들은 모두 똑같은
분자
들이므로 이들을 하나의 클론(clone)이라고 부른다.DNA에서 어떤 염기를 간직한 뉴클레오티드가 어떤 순서대로 중합돼 있는가를 알아내는 염기서열결정방법은 1977년 영국의 생거와 미국의 맥삼, 길버트에 ... ...
암과 AIDS를 번쩍 들어 올릴 수도
과학동아
l
199012
일부만을 이용해유전자요법이 가능하게 된 것은 전적으로 유전자의 구조와 기능에 관한
분자
생물학적 지식이 늘어나고 시험관내에서의 유전자조작기술이 발달한 때문이다. 그러면 유전자요법을 실시할 때 어떤 유전자조작기술이 사용되는가. 유전자요법을 실행하고자 하는 사람이 가장 먼저 해야 ... ...
식인종을 떨게 하는 「꼬마」 프라이온
과학동아
l
199012
단백질이었을 것이라는 일부의 주장을 뒷받침하기도 한다.프라이온의 존재에 대한
분자
생물학적인 관심도 여러 분야에 걸쳐 점차로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 이르러 이 단백질은 순수한 형태로 분리되기 시작했다. 아미노산 서열분석을 통해 이 단백질을 만든다고 여겨지는 데옥시리보핵산(DNA)을 ... ...
PARTⅣ 생명과학자들의 최대고민
과학동아
l
199012
생긴 성비의 불균형이 교정되는 현상 등이 바로 자연의 내재율을 보여주는 산 증거다.
분자
생물학에 기반을 둔 유전공학기술은 이러한 자연의 섭리에 순응하며 개척돼 나가야 할 것이다. 이를테면 태아의 성감별이 자연의 섭리를 깨는 자료로 활용된다면 이러한 일은 법의 힘으로라도 강하게 막아야 ... ...
푸른 장미의 등장은 시간문제
과학동아
l
199012
붉은 장미에 이식시킨 뒤 과연 푸른 장미가 피는가를 지켜보는 것이다."이 계획에 참여한
분자
생물학자 에드위나 코니시의 말이다.연구팀은 곧 이 '푸른'유전자를 아그로박테리움 투메페시엔스라는 박테리아에 삽입시킬 예정이다. 그런 다음 장미의 꽃잎에 상처를 입히고 그곳을 통해 장미가 전에 ... ...
PARTⅠ 2000년대를 내다 본다
과학동아
l
199012
크다. 사실상 지금까지 유전공학기술은 농업분야에 거의 도움을 주지 못했다. 식물의
분자
생물학 연구가 상대적으로 뒤떨어져 있었기 때문이다.그러나 최근 짧은 기간동안 많은 연구가 진척돼 2000년대에는 엄청난 식량증산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예를 들면 벼해충에 강한 내성을 가진 벼가 ... ...
첨단시대 첨단학과, 그 전망은?
과학동아
l
199012
그 성과가 파급될 것으로 보인다.따라서 교과과정에는 생화학 생물물리학
분자
유전학 등 생명과학의 기초원리 뿐 아니라 생물공정등의 응용분야까지 포함돼 있다.유사학과로는 유전공학과 유전자과학과 생명과학과 등이 있으며 미생물의 공업적 이용에 보다 초점을 맞춘 발효공학과도 관계가 깊다 ... ...
가속기 시대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012
파장대에서 연속적으로 나오는 성질을 이용하면 고속화학반응의 관찰이 가능하며, 이를
분자
생물학에서 활용하면 DNA를 비롯한 여러 단백질구조를 연구하는데 좋은 도구가 된다. 살아 있는 세포의 미세한 과정도 관찰할 수 있다. 우리나라 사람들 중 노벨상에 가장 가깝게 접근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 ...
PARTⅤ 한국 유전공학의 현주소
과학동아
l
199012
SRC(과학연구센터)로
분자
미생물학연구센터(서울대 미생물학과 하영칠교수 주도)
분자
생물학 및 유전자조작연구센터(경상대 생화학과 조무제교수), ERC(공학연구센터)로 생물공정연구센터(한국과학기술원 장호남박사, 바이오리액터를 주로 연구할 계획이다)와 동물자원연구센터(건국대 축산학과 ... ...
이전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다음
공지사항